-
[스페셜1]
[빛낸 배우들④] <택시운전사> <군함도> 이정은 - 더 실험하며, 더 부지런하게
초면인데 초면 같지 않은 사람이 있다. 이정은도 그런 사람이다. 순한 인상덕도 있지만 이정은을 보고 ‘어디서 많이 본 것 같은데’라는 생각이 든다면 그건 실제로 그를 어디서 많이 봤기 때문일 확률이 높다. 영화 <택시운전사> <군함도> <옥자> <보안관> <재심> <곡성>, 드라마 <도
글: 이주현 │
사진: 최성열 │
2017-08-07
-
[스페셜1]
[빛낸 배우들③] <택시운전사> 이봉련 - 버티기 혹은 돌파하기
“경사났어, 경사.” 친구에게 다급한 연락을 받고서 이봉련은 자신의 이름이 언급된 걸 알았다. 모 매체에서 봉준호 감독이 ‘가장 주목하는 연극배우’로 이봉련을 꼽은 거다. “대구 사는 부모님이 현수막이라도 걸 기세다. (웃음)” 이봉련은 <옥자>에서 미란도코리아의 세상 불친절한 한국지사 안내 데스크 직원으로 나와 미자의 액션의 빌미를 제공하고,
글: 이화정 │
사진: 최성열 │
2017-08-07
-
[스페셜1]
[빛낸 배우들②] <군함도> 윤대열 - 기회를 믿었다, 나를 믿었다
“어제 <공작> 쫑파티가 있었다. 사람들한테 <씨네21>과 인터뷰한다 했더니 성공했다더라. 이런 날이 내게도 오다니. 울어도 되나?” 생애 첫 인터뷰. 윤대열의 얼굴엔 웃음이 만개했다. 웃을 때마다 기분 좋은 곡선을 그리던 깊은 주름, 명암이 분명한 굴곡진 얼굴은 배우 윤대열의 훌륭한 무기 중 하나다. “김성수 감독님이 그러셨다. ‘
글: 이주현 │
사진: 최성열 │
2017-08-07
-
[스페셜1]
[빛낸 배우들①] <군함도> 김중희 - 매번 새롭게 만납시다
영화 <군함도>를 보기 위해 극장을 찾는 독자라면, 상영관 옆자리에 앉는 관객이 누군지 유심히 살펴보는 게 좋겠다. 어쩌면 ‘야마다 부소장’이 앉아 있을지도 모르는 일이니까. “영화가 개봉한 날부터 하루에 한번씩은 <군함도>를 꼭 봤다. 관객의 반응이 궁금해 매일 다른 극장에서 영화를 보고 있다. 가장 기분 좋을 때? 영화 속 나를
글: 장영엽 │
사진: 최성열 │
2017-08-07
-
[스페셜1]
[스페셜] <군함도>와 <택시운전사>를 빛낸 배우들 ①~⑧
캐릭터의 이름이 없다고, 분량이 적다고, 주요 서사에 복무하지 않는다고 그 배역이 무의미한 건 아니다. 마찬가지로 그 캐릭터를 연기한 배우의 존재가치가 줄어드는 것도 아니다. 캐릭터의 단면을 보여줘야 하는 배우일수록 그 단면이 설득력을 획득하도록 더 치열하게 작품 준비를 하곤 한다. 모노드라마가 아닌 이상 한편의 영화엔 수많은 배우가 동원된다
글: 씨네21 취재팀 │
사진: 최성열 │
2017-08-07
-
[스페셜1]
[BIFAN의 영화인들⑥] <공범자들> 최승호 감독 - 공영방송을 포기하지 말라
MBC, KBS 등 공영방송은 지난 9년간 이어진 ‘이명박근혜’ 정권의 가장 큰 피해자다. MB 정권이 들어서자마자 정연주 KBS 사장이 해임됐다. 엄기영 MBC 사장은 권한을 하나둘씩 빼앗기더니 결국 사표를 쓸 수밖에 없었다. 정권은 검찰, 경찰, 감사원 등 사정기관을 동원해 언론을 탄압했고, 그 과정에서 많은 언론인이 물러나야 했다. ‘뉴스타파’ 최승
글: 김성훈 │
사진: 박종덕 │
2017-07-31
-
[스페셜1]
[BIFAN의 영화인들⑤] <68 킬> 트렌트 하가 감독 - 폭력과 유머가 뒤섞인 반전 매력
<68 킬>은 로이드 카우프먼이 이끌었던 미국 독립영화 스튜디오 트로마의 후예가 만든 작품답게 폭력과 섹스 그리고 유머가 난무하는 골때리는 영화다. 지질한 남자 칩(매튜 그레이 구블러)과 어디로 튈지 모르는 여자 라이자(애나린 매코드), 두 연인은 라이자의 ‘슈거 대디’(만남을 대가로 선물과 돈을 제공하는 돈 많은 중년 남자를 일컫는 말)의 돈
글: 김성훈 │
사진: 백종헌 │
2017-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