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종화의 충무로 클래식]
[정종화의 충무로 클래식] 멜로드라마의 대가 조긍하가 연출한 '육체의 고백'
<육체의 고백> 제작 동성영화공사 / 감독 조긍하 / 상영시간 140분 / 제작연도 1964년
1950년대 이후 한국영화를 대표하는 장르를 하나 꼽는다면 단연 멜로 드라마일 것이다. 사실 멜로드라마는 우리가 편하게 쓰는 말이긴 하지만 규정하기 까다로운 용어이기도 하다. 1970년대 초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서구 영화 학계의 논의에서 확인할
글: 정종화 │
2021-01-25
-
[영화비평]
강간복수극과 서부극이 공존하는 '나이팅게일'이 택한 최소한의 윤리적 행동
제니퍼 켄트 감독의 <나이팅게일>에는 두개의 장르가 공존한다. 하나는 강간복수극이고 다른 하나는 서부극이다. 강간복수극 이야기를 먼저 하자. 이름에 속한 두 단어로 쉽게 정의될 수 있는 장르다. 주인공이나 주인공의 배우자 또는 연인이 강간당한다. 주인공은 강간범들을 한명씩 최대한 잔인하게 죽인다. 20세기 중후반 여성 주도 액션물에 관심이 있는
글: 듀나 │
2021-01-19
-
[프런트 라인]
영화 <딕 존슨이 죽었습니다> 사망잔데요, 사망은 안 했어요
2021년 첫 영화로 무엇을 말할까 고심하다가 뒤늦게 이 영화를 만났다. 극장이 비어가는 가운데 변화하는 플랫폼 환경에서 발견한 작은 희망이다. <스위트홈>을 비롯한 화제의 시리즈도 재미있게 봤고 이에 대한 할 말도 많지만 아무래도 2021년의 첫 시작은 이걸로 하고 싶다. 그러니까 하고픈 말은, (어쩌면 이미) 죽었지만 (아직, 아니 영원히)
글: 송경원 │
2021-01-19
-
[스페셜1]
2021 한국 엔터테인먼트 산업 전망 - 앞으로의 과제는?
결국 극장이다. 극장의 운명을 놓고 긍정적 전망과 우려 모두 분분하다. 설문 응답자 중 다수의 영화계 관계자들이 전례 없는 위기를 맞은 2020년의 극장가가 정상 궤도로 회복하는 수순을 2021년의 첫 번째 당면 과제로 점쳤다. “정부의 부양책”과 “극장 관람을 독려하는 인센티브 제도”, “직접적인 지원” 등 극장 구제를 위한 손길을 촉구하는 답변들에서
글: 김소미 │
사진: 백종헌 │
2021-01-16
-
[스페셜1]
2021 한국 엔터테인먼트 산업 전망 - SF의 시대가 왔다
스릴러의 시대가 가고 SF의 시대가 오려는가. 설문에 참여한 55인으로부터 31표의 압도적인 지지를 받은 장르는 ‘SF’(science fiction)다. 드라마, 스릴러, 액션 장르가 전통적으로 우세한 한국 상업영화 시장에서 SF의 미래가 이토록 밝게 예측된 적은 없었다. 엄밀히 말해 SF 시대의 개막은 일찌감치 2020년의 서두에서도 예견된 바 있으나
글: 김소미 │
2021-01-16
-
[스페셜1]
2021년 한국 엔터테인먼트 산업 전망 - 올해 가장 주목해야 할 스튜디오와 연출자는?
OTT를 중심으로 영상산업이 재편되면서 영화 제작사와 드라마 제작사의 합종연횡이 이루어졌고 거대 콘텐츠 기업이 탄생했다. 플랫폼의 다변화에 발빠르게 대응하고 있는 스튜디오들이 결국 이번 설문에서도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2021년의 트렌드 키워드로 꼽힌 OTT, 한류와 글로벌, IP 확장, 크로스오버에 정확히 부합하는 제작사들이 업계 관계자들로부터 주목
글: 이주현 │
사진: 씨네21 사진팀 │
2021-01-16
-
[스페셜1]
2021년 한국 엔터테인먼트 산업 전망 - 올해 가장 기대되는 영화와 시리즈는?
2021년에 가장 주목하는 한국영화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를 한줄로 요약하면 영화적인 영화에 대한 기대감이다. 영화적 스펙터클과 카타르시스에 대한 목마름이 느껴지는 동시에,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작 영화들이 시장에서 어떤 결과를 낼지 주목하는 시선이 느껴진다. 압도적 표차로 1위를 차지한 최동훈 감독의 <외계인>, 2위로 뽑힌 한재림 감독의 &
글: 이주현 │
2021-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