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커버스타]
[커버스타] 더도 덜도 없이 디테일을 살리는 꾸준함 - <봉이 김선달> 라미란
“치타 아줌마야 워낙 알려졌고 얼마 전엔 할아버지들이 ‘군대 갔다온 아줌마 아니야’ 하고 알아봐주시더라.” 드라마 <응답하라 1988>부터 예능 프로그램 <일밤-진짜 사나이>로 어딜 가나 유명세다. “감독님들에게 ‘왜 저는 안 부르세요’가 레퍼토리였는데, 요즘은 ‘스케줄 한번 볼게요’ 하고 있다. 내가 이런 고민을 하게 될 줄이야…
글: 이화정 │
사진: 백종헌 │
2016-06-28
-
[커버스타]
[커버스타] 함께 호흡하며 완성하는 즐거움 - <봉이 김선달> 고창석
선수가 떴다. 도청 기술자 백문(<찌라시: 위험한 소문>(2013)), 금고 털이에 최적화된 호기로운 바람잡이 구인(<기술자들>(2014))에 이어 고창석, 이번에는 조선 최고 사기패에 투입됐다. <봉이 김선달>에서 그는 위장의 달인인 보원 역으로 스님이 됐다가 사냥꾼이 됐다가 또 다른 누군가가 되길 반복한다. “계속 변장
글: 정지혜 │
사진: 백종헌 │
2016-06-28
-
[커버스타]
[커버스타] 첫 코믹 연기 할 수 있다는 자신감 - <봉이 김선달> 유승호
전역한 지 1년6개월. 그사이 유승호는 두편의 영화(<조선마술사> <봉이김선달>)와 두편의 드라마(<상상고양이> <리멤버-아들의 전쟁>)를 찍었다. 자연스럽게 자신이 있어야 할 곳으로 돌아와 부지런히 2년의 공백을 메웠다. “군대 있을 때, ‘연기할 때가 진짜 좋았구나, 연기할 때 내 마음이 참 편했구나’ 그런
글: 이주현 │
사진: 백종헌 │
2016-06-28
-
[커버스타]
[커버스타] 유쾌하고 뻔뻔하게 - <봉이 김선달> 유승호, 고창석, 라미란
라미란이 “시상식 때도 안 입는다”는 드레스를 입고 등장했다. 이내 드레스 자락 휘날리며 사진 촬영장의 분위기를 주도한다. 유승호는 눈웃음으로, 고창석은 푸근한 미소로 라미란의 진두지휘를 따른다. <봉이 김선달>의 현장도 이랬을까. “라미란 선배님이 현장에 오시는 날엔 긴장해야 했다. 자꾸 웃음이 터져 NG를 냈다.” (유승호) 유쾌한 사기극
글: 씨네21 취재팀 │
사진: 백종헌 │
2016-06-28
-
[커버스타]
[스페셜] 주제별로 살펴보는 2000년대 이후의 대만 청춘영화들
모호해서 더 아름다운 그 시절의 감정
<남색대문> <영원한 여름> <꽃을 걸 수 없는 소년> <먀오 먀오> <점프 아쉰>
<남색대문>(2002)에서 소년 장시호(진백림)가 몽크루(계륜미)에게 한 키스의 의미는 무엇일까. 모든 게 남녀로 확연히 구분되지 않던 시절. 대만 청춘영화의 큰 줄
글: 이화정 │
글: 윤혜지 │
2016-06-14
-
[커버스타]
[스페셜] 대만 청춘영화가 특별한 몇 가지 이유
글 윤혜지
‘청춘영화’라는 명명은 지나치게 광범위하다. ‘청춘’이란 단어를 통해 떠올릴 수 있는 이미지가 너무 많아 때로는 무신경하게 들리기까지 한다. 그렇다면 청춘영화라 부를 수 있는 건 어떤 영화일까. 꿈, 가족, 희망, 성장, 좌절, 첫사랑 등 많은 키워드들이 대개 청춘영화의 소재나 주제로 쓰인다. 그 키워드를 관통하는 공통점을 찾자면 청춘영화는 시
글: 윤혜지 │
글: 이화정 │
2016-06-14
-
[커버스타]
[커버스타] 만인의 첫사랑 - <나의 소녀시대> 왕대륙 인터뷰
누구는 에릭이, 또 누구는 양조위가 보인다고 했다. 또 다른 누구는 이병헌을, 또 누구는 마쓰모토 준을 말했다. 유덕화나 주성치를 봤다고 하는 사람들도 만났다. 언급한 모든 사람이 서로 닮지 않았는데, 희한하게도 91년생인 ‘요즘’ 배우 왕대륙은 그보다 앞선 90년대 청춘 스타들 모두의 요소를 장착한 것처럼 보인다. 이른바 ‘괴물’의 탄생이라고 불러도 될
글: 이화정 │
사진: 손홍주 │
2016-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