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런트 라인]
'바쿠라우'가 조우한 (영화의) 혁명에 관하여
무주산골영화제는 해마다 전세계 영화감독 중 동시대 영화미학의 최전선에 서 있는 감독을 선정해 소개하는 ‘무주 셀렉트: 동시대 시네아스트’를 진행한다. 올해의 감독은 브라질을 대표하는 영화감독이자 정치와 혁명의 시네아스트 클레베르 멘돈사 필류다. 그의 전작을 모두 극장에서 만날 수 있는 기회를 부디 놓치지 마시길.
장르 너머, 폭력을 먹고 자란 꿈
*
글: 송경원 │
2021-06-09
-
[윤덕원의 노래가 끝났지만]
[윤덕원의 노래가 끝났지만] 황망함
벌써 10년 전 이야기인데, 서울대학교에서 국립대 법인화를 밀어붙이려는 대학본부와 학생들이 충돌해서 학생들이 대학본부를 점거하고 농성을 벌인 일이 있었다. 그 과정에서 몇몇 학생들이 본부 앞 잔디밭에서 자발적으로 만든 페스티벌에 몇몇 인디밴드들이 참여하게 되었고, 대학본부와 우드스톡 페스티벌의 이름을 합쳐서 ‘본부스톡’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장난스럽게
글: 윤덕원 │
2021-06-10
-
[강화길의 영화-다른 이야기]
[강화길의 영화-다른 이야기] 다시 볼 수 없는 영화
<쥬라기 공원>은 절대 쉽게 볼 수 없는 영화였다. 동네의 모든 비디오 가게에서 항상 대여 중인 영화였으니까. 두편은 기본이고, 다섯편씩 들여놓은 가게들도 있었다. 하지만 비디오가 담긴 플라스틱 박스는 언제나 텅텅 비어 있었다. 대체 언제쯤 들어오냐고 물어보면 사장님들은 모두 비슷하게 대답했다. “이제 빌려갔으니까 아마 사흘 후?”
그리고
글: 강화길 │
2021-06-07
-
[커버스타]
윤지련 작가와 김성호 감독이 말하는 '무브 투 헤븐: 나는 유품정리사입니다'
5월 14일, 넷플릭스를 통해 공개된 오리지널 시리즈 <무브 투 헤븐>은 장르색을 구분하기 힘든 드라마다. 유품정리사라는 낯선 직업을 가진 이들의 작업은 단순한 ‘청소업체’가 행하는 물리적 행위 이상의 의미를 획득한다. 극중 유품 정리를 ‘마지막 이사’라고 표현하는 것에서도 느낄 수 있듯 유품정리사는 안타깝게 세상을 떠난 고인들의 삶과 공간을
글: 김현수 │
2021-06-02
-
[커버스타]
[인터뷰] '무브 투 헤븐: 나는 유품정리사입니다' 이제훈
이제훈의 얼굴 근육은 쉴 틈이 없다. 그가 연기한 인물들이 생각에 잠길 때나 누군가를 비웃거나 화를 낼 때나 박장대소할 때도 그는 함께 연기하는 배우들보다 몇배는 더 자주 눈썹을 들썩이고 입꼬리를 달싹거린다. 드라마 <시그널>(2016)의 박해영 경위를 연기할 때는 이런 그의 부지런한 표정이 인물의 감정보다 종종 앞설 때가 있었다. 하나 <
글: 김현수 │
사진: 최성열 │
2021-06-02
-
[디스토피아로부터]
[송길영의 디스토피아로부터] 준며들다 ‘맫며들다’
앞서 발표된 곡들이 NFT(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한 토큰)로 발매되어 듣기 어려워진 아이돌 그룹 ‘매드몬스터’의 4번째 싱글 《내 루돌프》 뮤직비디오가 3주 만에 조회 수 500만건을 가볍게 달성하고 순항 중이다. 영상에 달린 3만개가 넘는 엄청난 댓글까지, 그야말로 우리를 ‘맫며들게’ 만들고 있다.
감동한 ‘60억 포켓몬스터
글: 송길영 │
2021-06-03
-
[국내뉴스]
CJ ENM, 콘텐츠 제작에 5년간 5조 투자... 글로벌 토탈 엔터테인먼트 꿈꾼다
CJ ENM이 콘텐츠 제작에 5년간 5조원을 투자해 영화, 드라마, 웹툰, 공연 간 트랜스 미디어 콘텐츠를 만들어내는 완결형의 자체 제작 생태계 구축에 나선다. 강호성 CJ ENM 대표는 31일 마포구 상암동 CJ ENM에서 비전스트림 행사를 열고 ▲콘텐츠 제작 역량 고도화 ▲음악 메가(Mega) IP 확보 ▲디지털 역량강화 ▲ 제작역량 글로벌화에
글: 김소미 │
2021-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