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1]
<강철비> 양우석 감독 - 현실 정치와 세월이 왜곡시킨 오해의 벽을 뛰어넘어야 한다
-웹툰 <스틸레인> 얘기부터 해보자. 1994년 1차 북핵 위기 당시 충격을 받고 북핵 문제와 관련된 자료를 조사했다고 들었다. 당시 북핵 위기의 어떤 점이 충격적이었나.
=며칠 전, 윌리엄 페리 전 미국 국방부 장관이 1994년 북핵 위기 때 북한과의 전쟁을 검토했었다는 사실이 공개되지 않았나. 그때만 해도 국제사회는 북한이 핵을 보유하고
글: 김성훈 │
사진: 최성열 │
2017-12-18
-
[스페셜1]
양우석 감독의 신작 <강철비>, 북한 쿠데타와 북핵이라는 이슈를 대담하게 끌어들이다
조선공화국이 미치고 펄쩍 뛸 노릇이다. 핵무기로 공포를 조장해서라도 북·미 수교를 맺어 미국으로부터 체제를 인정받고 싶은 조선공화국에 영화 <강철비>는 비현실적이다 못해 자신의 존재를 부정당하는 이야기나 마찬가지다. ‘경애하는 위대한 령도자 김정은 동지의 고귀한 업적 덕분에 부강번영하는’(<로동신문> 12월 11일자 345호 인용)
글: 김성훈 │
2017-12-18
-
[스페셜1]
양우석의 <강철비> vs 김용화의 <신과 함께-죄와 벌>, 물러설 자리는 없다
NEW의 <강철비>(감독 양우석)를 시작으로 롯데의 <신과 함께-죄와 벌>(감독 김용화), CJ의 <1987>(감독 장준환)까지 대형 투자·배급사의 올해 마지막 카드가 전부 공개됐다. 결론부터 얘기하면 어느 한편도 놓치기 힘든 작품들이다. 덕분에 관객은 취향에 맞게 골라보는 재미가 있고(가능하면 다 보시라), 한치 앞도
글: 씨네21 취재팀 │
2017-12-18
-
[스페셜1]
중국판 애국영화 <특수부대 전랑2>의 엄청난 흥행이 말하는 것
“미국 해병대가 최고입니까. 그런데 왜 구경만 한답니까.” 중국 특수부대 ‘전랑’ 출신인 렁펑(우징)은 “미국 해병대가 있어 안전한 미국 대사관으로 가자”는 미국인 의사 레이첼의 말을 반박한다. 빈정 상한 레이첼이 미국 대사관에 전화를 걸자 “지금은 연결할 수 없다”는 안내 멘트가 흘러나온다. 렁펑은 “외국 군함들은 전부 철수했다. 그중에 미군 함대도 있
글: 김성훈 │
2017-12-11
-
[스페셜1]
<메리와 마녀의 꽃> 지브리 그 이후를 말하다
당연한 말이지만 영화는 집단 창작의 결과물이다. 감독이 설정한 방향 외에도 스탭의 개성이 영화의 요소요소에 영감을 부여한다. 애니메이션의 경우 연출의 구성만큼 중요한 게 바로 작화다. 제작 스튜디오의 특색이 더욱 도드라지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누가 그렸나, 어떤 이들의 그림체인가 하는 점이 곧 작품의 정체성이 된다. 오랜 시간 일본 극장애니메이션의 대표
글: 송경원 │
2017-12-11
-
[스페셜1]
지브리 이후의 일본 애니메이션의 미래, 중국 애국영화로 짚어보는 중국 영화산업의 미래
중국와 일본은 그야말로 가깝고도 먼 나라다. 극장가에서 중국영화나 일본 애니메이션을 접하는 건 그리 어렵지 않다. 하지만 흥행으로 이어지는 사례가 드물고, 구체적으로 현재 중국영화가 어디까지 발전했는지, 일본 애니메이션이 어떤 곤란을 겪고 있는지 알 길이 없다. 이에 <씨네21>에서는 요네바야시 히로마사 감독의 일본 애니메이션 <메리와
글: 씨네21 취재팀 │
2017-12-11
-
[스페셜1]
[호러 하우스②] <컨저링>·<애나벨> 시리즈·<그것> 성공시킨 ‘뉴라인 시네마’
피터 잭슨 감독의 <반지의 제왕> 시리즈를 제작해 크게 성공한 제작사 뉴라인 시네마는 실은 블록버스터영화 제작보다는 다른 제작사에서 쉽게 도전하기 어려워하는 저예산 공포영화 제작에 더 관심을 쏟아왔다. 희대의 살인마 프레디 크루거를 탄생시킨 <나이트메어> 시리즈, 샘 레이미 감독의 <이블데드>(1981), <크리터스&
글: 김현수 │
2017-1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