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스토피아로부터]
[임소연의 디스토피아로부터] 여신이 되기보다 물방울이 되겠다
지난 12월3일 과학책방 갈다가 주최한 ‘사이언스 미디어 페스티벌’에서 차진엽 안무가의 <원형하는 몸>을 영상으로 봤다. 지난해에 같은 제목으로 국립극장 무대에 오른 공연을 봤을 때의 감동이 되살아났다. 동시에 무대 위가 아닌 영상 속에서 펼쳐지는 공연은 완전히 다른 작품이라는 사실도 깨달았다.
공연장에 들어서자마자 가장 먼저 눈에 띈 것은
글: 임소연 │
2023-12-14
-
[디스토피아로부터]
[김수민의 디스토피아로부터] 콘크리트 유토피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 국가들의 국민연금 보험료율과 소득대체율은 평균 ‘18%, 40%’다. 한국은 ‘9%, 40%’다. 보험료율을 대폭 올리지 않으면 기금이 바닥나는 시점이 앞당겨지고 3~4할대 보험료율을 짊어지는 날이 온다. 그렇지만 요즘, 보험료율은 조금 올리고 소득대체율은 무려 50%로 올리자는 주장이 연금 개혁을 교란한다. 한국 국민연금
글: 김수민 │
2023-12-07
-
[디스토피아로부터]
[김소영의 디스토피아로부터] 선생님이라는 어른
지방 도시의 문화행사에 강연을 하러 갔다. 기차 시간을 여유 있게 잡은 덕분에 행사장에 일찍 도착했다. 점심도 먹었겠다, 강연 장소에 열린 북 페어를 기분 좋게 구경했다. 몰랐던 지역 출판사의 책과 동네 책방 사장님들이 세심하게 골라온 책, 엽서와 스티커, 심지어 그것들을 담을 천 가방까지 샀다. 내 책을 판매하는 부스들도 있었다. 예정된 강연을 고려해
글: 김소영 │
2023-11-30
-
[디스토피아로부터]
[정준희의 디스토피아로부터] 거꾸로 가는 시계
현 정치권력의 핵심 중 핵심으로 알려진 모 의원이 속칭 ‘험지 출마’ 요구를 받았다. 그의 응답은 실로 호기로웠다. 지역구 지지자로 이뤄진 산악회 창립기념식을 연 것이다. 100대에 가까운 버스가 동원됐고 수천명이 체육관에 운집했다. 한때 엄청난 욕을 먹었던 광고, “요즘 어떻게 지내느냐는 친구의 말에 ***로 답했습니다”가 떠올랐다. 멸사봉공의 자세로
글: 정준희 │
2023-11-23
-
[디스토피아로부터]
[임소연의 디스토피아로부터] 리얼하지 않을수록 혁신이다
‘폼팩터(form factor)’라는 용어가 있다. 컴퓨터 하드웨어의 크기나 모양 등 물리적 사양을 지칭하는 용어였으나 이제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의 제품 외형을 가리키는 용어로 자주 사용된다. 예를 들어 2G 시대 휴대폰의 형태가 플립, 폴더, 슬라이드 등 다양했다면 (심지어 ‘가로 본능’이라고 불리는 독특한 폼팩터가 등장하기도 했다) 3G 시대
글: 임소연 │
2023-11-16
-
[디스토피아로부터]
[김수민의 디스토피아로부터] 신세계
“윤통이 옛날부터 너무 보수적이었다는 말이 있더라.”(어느 정치 평론가) “법조 기자할 때 대화를 나눠본 윤 검사는 전혀 극우적이지 않았다.”(모 언론 기자) 윤석열 대통령의 성향을 두고 정치권 주변 사람들은 ‘선천설’과 ‘후천설’로 나뉜다. 나는 후자다. 보수우익적이다 싶은 것을 강박적으로 모아놓은 정책 체계가 되레 수상하다. 이명박씨와 박근혜씨도 그렇
글: 김수민 │
2023-11-09
-
[디스토피아로부터]
[김소영의 디스토피아로부터] 할머니
나이가 드는 건 좋은데 노인이 되는 건 두렵다. 나는 생활의 경험을 쌓고 나에 대해 더 잘 알게 된 지금이 과거 어느 때보다 좋다. 앞으로도 그럴 것 같다. 그런데 노인이 된 나는 상상이 되지 않는다. 눈이 침침하고 근력이 부족하고 청력이 떨어지는 신체상의 노화도 걱정이지만, 사회적으로 어떤 존재가 될 것인지 떠올리면 겁부터 난다. 모든 신기술에 꼴등으로
글: 김소영 │
2023-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