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2]
[인터뷰] 사랑과 시간이 개입하지 않는 삶은 없다, <머티리얼리스트> 셀린 송 감독
서사가 계급과 배경을 두고 사랑의 자격을 논하는 일은 현대적인 동시에 복고적이다. 결혼이 필수가 아닌 선택인 시대. 자본주의의 이해관계를 결혼의 성취에도 적용하다 보면 사랑이 모든 걸 이긴다는 낭만은 옛날이야기처럼 취급되곤 한다. 한데 고전도 크게 다르지 않다. 제인 오스틴의 <오만과 편견>은 계급사회의 통혼 속에서 진정한 사랑을 발견하는 이야기
글: 정재현 │
2025-08-07
-
[스페셜2]
[기획] ‘물질만능주의자’가 아닌 <머티리얼리스트>
<머티리얼리스트>에 마돈나의 <Material Girl>이 등장하지 않아서 놀랐다. 지지난해 <바비>에 아쿠아의 <Barbie Girl>이 등장하지 않은 것과 비교해도 이쪽이 훨씬 신기하다. “우리는 물질만능의 세상에 살고, 나는 속물인 여자일 뿐이야”라는 <Material Girl>의 유명한 후렴구는
글: 정재현 │
2025-08-07
-
[스페셜2]
[기획] 정체성의 삼각형, <머티리얼리스트>로 돌아보는 셀린 송의 세계
장편 데뷔작 <패스트 라이브즈>로 세계적 주목을 받은 셀린 송 감독이 차기작 <머티리얼리스트>로 돌아왔다. 올해 5월엔 셀린 송의 희곡 <엔들링스>가 한국 초연 무대를 가졌다. 2024년과 2025년. 한국 관객은 동시대 가장 주목받는 한국 출신 감독의 작품을 연달아 감상하는 때 아닌 호황을 누리는 중이다. <머티리
글: 정재현 │
2025-08-07
-
[스페셜2]
[기획] 시네필이 사랑할 책방, 영화 전문 서점 겸 출판사 코프키노에 가다
같은 제목의 영화가 된 소설 <북샵>은 한 여자가 책방을 짓고, 지키는 이야기다. 그 끝에 공간과 함께 남은 것은 공간에 관한 말이다. “그 누구도 서점에서는 결코 외롭지 않다.” 작품을 매듭짓는 이 문장은 서울 중화동의 ‘시네필 책방’ 코프키노와 공명한다. 지난 1월 문을 연 이곳은 외롭고 싶지 않은 시네필들을 위한 자리를 표방하기 때문이다.
글: 남선우 │
사진: 최성열 │
2025-08-07
-
[INTERVIEW]
[인터뷰] 우리 사이의 벽을 허무는 지역 영화제로, 정지혜 남도영화제 프로그래머&제롬 바롱 낭트3대륙영화제 집행위원장
남도영화제 시즌2 광양이 10월23일부터 27일까지 광양시 일대에서 펼쳐진다. 남도영화제는 2023년 시즌1 순천을 시작으로 격년마다 남도의 22개 시군을 순회하며 진행되는 영화제다. 순회 영화제를 통해 남도 각지의 문화와 정체성을 구현하고, 관객과 지역민의 너른 참여를 이끄는 독특한 방식의 운영을 이어가고 있다. 국내 장·단편 경쟁 섹션, 남도의 시선
글: 이우빈 │
사진: 백종헌 │
2025-08-07
-
[INTERVIEW]
[인터뷰] 보라, 생각하기 전에, 제22회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로 처음 내한한 로버트 비버스 감독
한국의 관객에게 로버트 비버스 감독은 생경한 이름일지도 모른다. 1949년 미국 매사추세츠에서 태어난 그는 16살에 뉴욕으로 떠나, 요나스 메카스를 중심으로 펼쳐졌던 뉴 아메리칸 시네마의 부흥기를 경험하고 실험영화 감독이 되기로 결심한다. 예술적 동반자 그레고리 마르코풀로스를 만나 1967년 유럽으로 이주한 후, 약 60년 동안 필름으로 실험영화를 만들었다
글: 문주화 │
사진: 최성열 │
2025-08-07
-
[INTERVIEW]
[인터뷰] 코미디와 휴머니티의 균형감각, <좀비딸> 필감성 감독
데뷔작 영화 <인질>에 이어 티빙 시리즈 <운수 오진 날>을 연출하며 긴박한 스릴러의 세계에 발 담근 줄 알았던 필감성 감독이 가족 코미디 <좀비딸>로 여름 극장가를 노크한다. 원작은 동명의 웹툰. 주인공은 갑작스럽게 좀비가 된 딸 수아(최유리)를 데리고 엄마 밤순(이정은)이 사는 고향으로 대피하는 정환(조정석)이다. 엉뚱한
글: 남선우 │
사진: 오계옥 │
2025-0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