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2]
[오디오 콘텐츠가 뜬다] ⑤‘유미의 세포들’ '알라딘' 심규혁 성우 "비현실적인 상황을 진짜처럼 느끼도록"
소년만화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의 미도리야 이즈쿠부터 <주토피아>의 ‘나무늘보’ 플래시, <알라딘>의 알라딘에 이르기까지, 심규혁 성우의 목소리에는 작품의 중심을 단단히 잡으면서 캐릭터의 인장까지 새기고야 마는 효험이 있다. 실사와 애니메이션을 결합한 프로젝트 <유미의 세포들>에서는 ‘이성’을 실체화하면서 내레
글: 임수연 │
사진: 오계옥 │
2022-09-22
-
[스페셜2]
[오디오 콘텐츠가 뜬다] ④오디오 무비 ‘극동’ 곽경택 감독 "녹음실, 첩보영화 현장처럼 만든 이유는"
<친구>(2001), <태풍>(2005), <극비수사>(2014), <장사리: 잊혀진 영웅들>(2019)의 곽경택 감독이 <극동>을 통해 보이지 않으나 선명하게 보이는, 기묘하고 독특한 체험을 선사한다. 그가 오랫동안 쌓아온 영화적 감각을 오디오 무비라는 장르에 접목하면 청취자는 이내 입체적이고 생동감
글: 이자연 │
사진: 오계옥 │
2022-09-22
-
[스페셜2]
[오디오 콘텐츠가 뜬다] ③배우 김강우, 유재명, 곽동연이 말하는 오디오 무비 '극동' 제작기
총 857억달러에 이르는 북한 비자금을 손에 쥔 이가 있다. 북한의 추격을 피해 러시아의 한국 영사관으로 들이닥친 이수영(유재명)은 자신이 해당 비자금의 관리자라고 소개한다. 상황 파악을 위해 마주앉은 한국 영사 안태준(김강우)에게 수영은 한 가지 제안을 한다. 자기 대신 밖에서 사람을 만나달라고. 그러면 그에 상응하는 대가를 안겨주겠다고. 북한 최고 특수
글: 조현나 │
2022-09-22
-
[스페셜2]
[오디오 콘텐츠가 뜬다] ②오디오 드라마, 오디오 무비... 무엇이 어떻게 다른가
2019년, 배우 수애가 웹소설 <재혼황후>의 일부 대사를 낭독하는 짧은 영상이 네이버 시리즈 채널에 업로드됐다. 반응은 폭발적이었다. 시청자들은 ‘책으로 볼 땐 가볍게 넘긴 대사가 다르게 와닿는다’는 댓글을 남겼고 첫 번째 영상은 조회수 118만회, 두 번째 영상은 342만회를 기록했다. 2021년, 네이버는 <재혼황후>의 오디오 드
글: 조현나 │
2022-09-22
-
[스페셜2]
[오디오 콘텐츠가 뜬다] ①무서운 속도로 성장 중인 오디오 콘텐츠 시장의 인기 비결
범람하는 OTT 플랫폼 시리즈와 숏폼 콘텐츠 사이에서 오로지 ‘소리’로 승부하는 오디오 콘텐츠의 영역 확장이 심상치 않다. 이에 <씨네21>은 오디오 드라마와 오디오 무비를 중심으로 오디오 콘텐츠 시장의 현재를 살피고 오디오 콘텐츠 제작에 참여하는 이들의 이야기를 다방면으로 들어보는 특집을 마련했다. 9월26일 네이버 바이브에서 공개되는 오디오
글: 씨네21 취재팀 │
정리: 윤현영 │
2022-09-22
-
[INTERVIEW]
[인터뷰] ① '수리남' 황정민을 사이비 목사로 만든 이유는? 윤종빈 감독이 말하는 실화와 허구
윤종빈 감독의 첫 시리즈 연출작 <수리남>은 사실 그가 <군도: 민란의 시대>(이하 <군도>)를 끝냈을 때 한번 거절했던 영화 프로젝트였다. <수리남>을 제작한 퍼펙트스톰필름에 있던 하정우가 윤종빈 감독을 추천했지만(강명찬 퍼펙트스톰필름 대표는 수리남의 마약상 조봉행에게 속아 마약을 운반하다 억울하게 옥살이를 했던
글: 임수연 │
2022-09-22
-
[디스토피아로부터]
[우석훈의 디스토피아로부터] 영화 크레딧, 힘과 모순
생산, 유통 그리고 금융이라는 세 가지 틀은 대부분의 경제활동을 설명할 뿐 아니라 문화, 특히 영화산업에 어느 정도 들어맞는다. 물론 현실에서는 그렇게 단순하지 않다. 영화를 만드는 사람들도 파는 것에 관련된 마케팅 활동을 전혀 안 하는 것은 아니다. 그렇다면 극장은 만드는 사람인가, 단순하게 파는 사람인가? 영화를 본다는 점에서는 판매라고 생각할 수 있지
글: 우석훈 │
2022-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