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1]
<아이 엠 샘>의 루시,아빠 숀 펜을 말하다 (2)
사람들은 아저씨가 <아이 엠 샘> 같은 ‘좋은’ 영화에 나온 게 이상하대요. 왜냐면 아저씨는 그동안 ‘나쁜’ 영화에만 나온 ‘나쁜’ 배우였다거든요. 루시 아빠 샘은 세상에서 젤로 착하고 사랑이 깊은 사람인데, 숀 펜 아저씨는 그동안 그런 사람을 연기한 적이 거의 없었대요. 왜냐면 좋은 영화에 나오는 좋은 사람 중에서는 하고 싶은 역할이 하나도 없
2002-10-25
-
[스페셜1]
<아이 엠 샘>의 루시,아빠 숀 펜을 말하다 (3)
아저씨는 화가 나 있었던 것 같아요. 왜, 누구한테 화가 났을까. 어렸을 때 엄마 아빠가 사랑해주지 않았는가보다, 그렇게 생각해봤는데, 그건 아니래요. 아저씨네 집 사람들은 서로 사이가 좋았대요. 형제들이랑 같이 놀러다니고 영화도 찍고 그랬다니까요. 나중에 들은 얘긴데, 아저씨 아빠는 감독님이고, 엄마는 배우래요. 그런데 아저씨 아빠가 젊었을 때 나라에서
2002-10-25
-
[스페셜1]
미국사회의 폐부를 찌르는 배우 숀 펜·감독 숀 펜
“숀 펜의 미덕은 그가 문제적 인물들에게서 공감과 연민을 이끌어낸다는 데 있다. 그는 결코 성자는 못 된다.” <아이 엠 샘>의 감독 제시 넬슨은 숀 펜의 연기 미학을 이렇게 정의한다. 이것은 비단 이 영화에서의 연기에 한정되는 이야기가 아니다. 숀 펜은 언제나 미국의 가장 어두운 그늘에 웅크린 구제불능의 문제아들을 연기해왔다. 납치에 강 살인죄
2002-10-25
-
[스페셜1]
로드무비로서 동성애영화로서 <로드무비>는 왜 위대한가 (1)
지금 이 시점에서 많은 평론가들이 내 생각에 동의할 거라고는 상상조차 하지 않지만, 김인식 감독의 데뷔작 <로드무비>는 분명 걸작이다. 지금으로부터 수년 뒤, 나는 이 작품이 장래의 고전이 되어 있을 것이라고, 그리고 또한 프랑스 사람들이 일컫는 이른바 un film maudit, 즉 처음 등장했을 때 당대의 관객과 비평가, 배급업자들로부터 부당
2002-10-25
-
[스페셜1]
로드무비로서 동성애영화로서 <로드무비>는 왜 위대한가 (2)
왜 대식은 자신을 미워하며 자신의 성적 욕망을 경멸하게 된 것일까 그것은 대식이 강제규 감독이나 임상수 감독의 작품들 속에 등장하는 얼뜨기 마초 캐릭터들과 정확히 일치하는 전형적인 한국 마초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그는 유명한 등반가였다. 어떻게 이보다 더 마초적일 수 있겠는가 한국의 마초 남성들은 태어나는 순간부터 특정한 남성 역할과 이미지를 수행하도록 단
2002-10-25
-
[스페셜1]
로드무비로서 동성애영화로서 <로드무비>는 왜 위대한가 (3)
로드무비라는 이야기 구조에 대한 편애에 대해 질문을 받았을 때, 빔 벰더스는 자신이 움직임(motion)과 감정(emotion)을 혼돈해 온 것 같다며 한탄하듯 말한 적이 있다. 이건 영어식 말장난이지만 그 저변의 정서는 보편적인 것이다. 벤더스는 두 가지를 동시에 지적하고 있다. 첫째, 자신이 이동하는 카메라가 만들어 낸 영상에 정서적으로 반응한다는 것,
2002-10-25
-
[스페셜1]
<반지의 제왕: 두개의 탑>이 궁금하다(1)
지난해 겨울 <반지의 제왕: 반지원정대>가 상영된 극장에서는 아쉬운 한숨이 터져나왔다. 보로미르의 죽음을 계기로 흩어진 ‘반지원정대’의 다음 여정을 듣기 위해선 내년 크리스마스까지 기다려야 한다는 자막이 떠올랐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이제 멀지 않았다. <반지의 제왕: 두개의 탑>이 처음 개봉하는 날은 12월18일. 악의 결정체 절대반지
2002-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