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1]
대만 뉴웨이브 20년의 힘 [1]
지금으로부터 20년 전인 1982년 대만에서는 아무도 모르게 조용한 혁명이 일어나고 있었다. 그 혁명이란 이후 세계영화계의 판도를 바꿔놓은 대만 뉴웨이브영화의 출현이었다. 82년작 <광음적고사>를 필두로, 83년 <샌드위치 맨> <해탄적일천> <펑쿠이에서 온 소년> <샤오피 이야기>가 잇따라 발표됐고
글: 문석 │
2002-11-01
-
[스페셜1]
대만 뉴웨이브 20년의 힘 [2]
그것은 기적에 가까운 일이었다. 1982년, 에드워드 양을 비롯한 4명의 감독이 참여한 옴니버스영화 <광음적고사>의 등장은 그야말로 사건이었다. 당시 동아시아 한 귀퉁이의 작은 섬나라에서 만들어진 이 저예산 ‘모듬영화’가 곧 세계영화계를 흔들어놓을 것이라고 생각했던 사람은 거의 없었다. 대만의 ‘신랑차오’(新浪潮), 즉 대만 뉴웨이브영화의 출
글: 문석 │
2002-11-01
-
[스페셜1]
대만 뉴웨이브 20년의 힘 [3]
정부의 정책 또한 자국영화의 진흥과는 관계없이 변죽만 울리고 있었다. 이때 50여명의 대만 영화인들은 ‘대만 신영화 선언’을 발표했다. “우리는 영화가 의식적인 창작활동이고 예술활동이며 반성과 역사인식을 가진 민족의 문화활동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는 구절로 시작하는 이 선언은 정부의 영화정책, 언론의 무책임한 태도, 평론의 왜곡 등을 차례로 꼬집었다.
글: 문석 │
2002-11-01
-
[스페셜1]
허우샤오시엔 인터뷰
"<비정성시> <희몽인생> <호남호녀>는 기억과 대만 역사에 관한 영화들이다. 나는 이들 시대를 포착하려 했는데, 그것은 당시가 대만이란 나라를 형성하는 기초가 된 시기였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이 시대에 관해 알려고 하지 않거나 왜곡된 이해를 하고 있다. 나와 비슷한 세대의 영화 제작자들은 항상 그런 점에 상당한 책임감을 갖
2002-11-01
-
[스페셜1]
에드워드 양 인터뷰
대만 뉴웨이브를 끈 동력은 무엇인가→ 내가 영화 만들 기회를 얻었을 무렵, 대만의 정치적 상황은 최악이었다. 1979년 카터 행정부는 중국 본토를 중국의 공식적인 정부로 인정했다. 중국은 자족과 자부심에 들떴지만, 대만은 정반대였다. 그런데 그것이 우리 세대에게 하나의 정점을 의미하게 됐다. 우리는 자부할 만한 무언가를 우리 스스로의 힘으로 찾지 않을 수
2002-11-01
-
[스페셜1]
대만 뉴웨이브 총결산. 부산영화제 상영작 13편 미리보기(1)
올 부산영화제의 ‘대만 신전영(新電影) 탄생 20주년 특별전’에선 모두 13편의 작품이 상영된다. 대만 뉴웨이브의 도래를 알렸던 <광음적고사>(1982)를 비롯해 뉴웨이브 1기를 대표하는 감독들의 작품인 <샌드위치 맨>(1983), <청매죽마>(1985) 등에서부터 2기 뉴웨이브 감독인 리안, 차이밍량, 린청셩 등의 영화가
2002-11-01
-
[스페셜1]
대만 뉴웨이브 총결산. 부산영화제 상영작 13편 미리보기(2)
청소년 나타 靑少年 na咤 1992년 ┃ 106분 ┃ 감독 차이밍량비가 내리는 타이베이의 밤거리, 십대 소년 아체는 공중전화 동전을 털어 오락실로 향한다. 같은 밤 무기력한 소년 강은 방에서 바퀴벌레를 잡으려다 맨손으로 유리창을 깨뜨린다. 차이밍량의 장편데뷔작 <청소년 나타>는 우연히 거리에서 조우한 이 두 아이의 일상을 따라가는 영화다. 둘이
2002-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