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2]
[기획] 영화 ‘애프터 미투’ 대담 ① 2018년 1월, #MeToo 이후의 시간
2016년 #OOO_내_성폭력 해시태그가 온라인을 강타하며 전 분야에 깊게 잠식해 있던 성폭력에 대한 고발이 이어졌다. 빈칸에 해당하는 분야엔 경계가 없었다. 예술계, 영화계, 문단, 체육계, 교회, 대학, 회사…. 모두가 조용히 외면해온 위계 폭력의 민낯이 낱낱이 드러났다. 2018년 1월, 검찰 내 성추문 가해 사실이 폭로되면서 국내에서도 #MeToo
글: 이자연 │
사진: 백종헌 │
정리: 윤현영 │
2022-10-06
-
[스페셜2]
[기획] 2022 BFC 부울경 스토리 IP 공모전 수상자 인터뷰
대상 <반월당의 기묘한 이야기> 최종인 레드독퍼블리싱그룹 대표 인터뷰
“브랜드화하려면 캐릭터가 가장 중요”
작품의 기획 의도와 작품이 지닌 강점은 뭔가.
= <반월당의 기묘한 이야기>(소설, 웹소설)는 정연 작가가 8년 전쯤 온라인 연재를 시작해 종이책으로도 출판했던 인기 시리즈다. <넋 보자기> 이야기처럼 한국에 전해
글: 이우빈 │
사진: 최성열 │
정리: 이다혜 │
2022-10-06
-
[스페셜2]
[기획] 부산영상위원회 ‘2022 BFC 부울경 스토리 IP 공모전’ 시상식 열려
지역 창작자가 만든 하나의 이야기가 무한한 가능성의 콘텐츠 IP로 탈바꿈할 수 있게 됐다. 지난 9월15일 부산 영상산업센터에서 부산영상위원회(이하 부산영상위)가 주최한 ‘2022 BFC 부울경 스토리 IP 공모전’ 시상식이 열렸다. 본 공모전은 수도권에 비해 발굴이 어려웠던 부울경 지역의 우수한 스토리 IP를 발견하고 육성하기 위해 개최됐으며, 공모 대
글: 이우빈 │
사진: 최성열 │
정리: 이다혜 │
2022-10-06
-
[스페셜2]
[장뤽 고다르 추모 연속 기획②] 연표로 보는 고다르의 생애 - 1968년부터 1990년 까지
1968년
68혁명. 시위의 나날들
고다르는 2월에 누벨바그 동료들과 프랑스 문화부 장관이 시네마테크 프랑세즈의 수장 앙리 랑글루아의 사임을 종용한 것에 대한 거리 시위를 벌인다. 칸영화제 참석 이후에도 파업 노동자, 학생들과 함께 거리에서 시위를 이어갔다. 같은 해, 장피에르 고랭과 지가 베르토프 그룹을 만들었는데 이들은 새로운 형태의 정치영화를 지향
글: 김소미 │
2022-10-06
-
[스페셜2]
[장뤽 고다르 추모 연속 기획②] 고다르와 죽음, 그리고 1990년대
장뤽 고다르의 죽음은 녹화되었을까? 생각하는 것만으로 부도덕한 기분에 사로잡히는 공상이지만, 그가 조력 자살을 선택했다는 소식을 듣고 가장 먼저 떠올린 것은 그 마지막 무대의 시각적 형식이었다. 스스로 최후를 선택하는 한 사람을 둘러싸고 의료진과 가족들이 지켜보는 현장에 과연 카메라는 입회하고 있었을까? 종종 그 자신을 픽션의 등장인물로 삼아왔고, 거주
글: 김병규 │
2022-10-06
-
[INTERVIEW]
[장뤽 고다르 추모 연속 기획②] 1970년대, 고다르와 혁명의 영화들
<그녀에 대해 알고 있는 두세 가지 것들>을 생각하면 떠오르는 이미지가 있다. 콜라를 마시던 여자가 커피를 주문하는 남성을 바라보는 장면이다. 남자의 앞에 커피 잔이 놓이자, 카메라는 크레마가 떠 있는 잔의 윗부분을 하이 앵글로 비춘다. 영화의 시선이 완전히 컵의 윗부분으로 옮아간 뒤, 내레이션 목소리가 읊조린다. “한없는 심연이 객관적 사실로
글: 이지현 │
2022-10-06
-
[스페셜2]
[장뤽 고다르 추모 연속 기획②] 고다르를 추모하는 비평의 몽타주
영화문법을 해체한 혁신가, 누벨바그의 기수, 정치적 급진주의자, 괴팍한 은둔자…. 장뤽 고다르에 대한 수식어는 그와 영화가 언제나 투쟁 혹은 긴장 관계였으리란 사실을 되새기게 한다. 영화라는 개념을 거대한 몽타주의 재료로 삼아 현실과 긴밀히 교차시키고자 했던 장뤽 고다르는 한 편의 영화가 시작하고 끝날 때마다 혁명과 죽음을 반복하면서도 결코 지치는 법이 없
글: 씨네21 취재팀 │
2022-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