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1]
선화예고 애니메이션 프로젝트팀 `또기로딱`(1)
또기로딱 TOKIROTAK: ‘애니메이션은 1초라는 짧은 순간을 위해 15장의 그림을 그려야 하는 중노동이다’라는 의미로, ‘똑딱 사이에 15프레임’을 짧게 줄인 말.처음에 그들의 애니메이션에서 ‘TOKIROTAK’이라고 영어철자로만 된 크레딧을 보았을 때, 왠지 그것이 ‘도끼로탁’으로 읽혀져야만 할 것 같았다. 그들의 작품이, 도무지 청소년영화제 출품작이
2002-11-02
-
[스페셜1]
선화예고 애니메이션 프로젝트팀 `또기로딱`(2)
<BABYTOPIA>는 클레이메이션이다. 팀원 중 한명이 시나리오를 쓰고 이를 각색회의를 통해 함께 다듬은 <GODOG>팀과 달리, <BABYTOPIA>팀은 학교 안에서 시나리오 공모를 해서 채택된 이야기를 취했다. 영상원 무대미술과에 진학한 졸업생 방주연의 작품으로, 처음 원작의 제목은 이었다고. ‘베이비토피아’라는 아기공
2002-11-02
-
[스페셜1]
또기로딱 아이들의 제작후기
<GODOG> 팀김원기만고 끝에 또기로딱 6번째 작업 이 탄생했다. 또기로딱 최초의 수작업 작품이고, 그만큼 모두 만고의 땀을 흘렸다. 테이블에 모여 앉아 라이트박스의 불빛을 눈깔 상하도록 꼴아보며, 은비가 가져온 컴포넌트로 같은 노래 수없이 돌려들으며, 윤진이의 애용식 새콤달콤 잘근잘근 씹어가며, 성환의 짜증개그 들어가며, 나를 1분1초라도 더
2002-11-02
-
[스페셜1]
변영주 감독의 <밀애> 제작일지(2)
2001년 늦여름여름의 남해가 너무 싫다고 생각하며 8월을 보냈다. 전경린 작가의 고향이기도 하고 아마도 원작의 배경이 되었을 경상남도의 이곳저곳을 다니며 나는 끔찍하게 습하고 더운 날씨에게 이미 흰 기를 날리기 시작했고, 내가 근처도 가기 싫어하는 굴 양식장은 경남의 바닷가 마을 이곳저곳에 깔려 있다. 심지어 돌담 대신 굴껍질을 이용해 담을 쌓은 곳도 있
2002-11-02
-
[스페셜1]
변영주 감독의 <밀애> 제작일지(1)
“연출일지 어이. 그거 쓸 시간 있으면 연출을 더 잘했어야지.”변영주 감독은 낯간지러운 짓은 좀처럼 안 한다. 아니, 못한다. 그래서인지 그에게 흔한 일 부탁하는 것이 여간 힘들지 않다. 잘못했다간 욕만 드립다 얻어먹기 일쑤다. 연출의 변도 그렇다. 부탁한 지가 수개월 전. <밀애> 촬영에 들어가기 전부터 알음알음 건넨 것인데, 개봉이 임박해서야
2002-11-02
-
[스페셜1]
변영주 감독의 <밀애> 제작일지(3)
2002년 6월17일남해에서의 본격적인 촬영이 시작되었다. 윤진씨에겐 미흔의 귀신이 붙은 것 같다. 미흔이 정신적 공황상태에서 만성적인 두통을 느끼고 삶의 의지를 찾지 못하는 장면을 찍어야 하는 날엔 어김없이 윤진씨 자체의 몸 상태가 나빠진다. 심지어 장염까지 앓아 얼굴이 정말 아픈 상태로 보인다. 낮의 야외신에서도 우린 조명을 했는데, 때아닌 초여름 더위
2002-11-02
-
[스페셜1]
변영주 감독의 <밀애> 제작일지(4)
2002년 7월8일태풍으로 인한 휴식. 내일부턴 다시 촬영이다. 오랜만에 스탭들과 술을 마시며 수다를 떨었다. 60여명이나 되는 스탭들. 다큐멘터리를 찍을 땐 함께 일하는 모든 스탭들의 생각을 읽을 수 있는데 여기선 불가능하다. 최대한 소통하려 애쓰지만 쉽지는 않다. 동시녹음을 하는 이영길 기사님을 제외하면 내가 나이가 제일 많다. 동년배를 찾아보니 촬영버
2002-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