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1]
폴란스키와 그의 여인들
“나의 영화들은 순간적 욕망의 표현이다. 나는 훈육받지 않은 방식으로 나의 본능을 따른다”는 로만 폴란스키의 말은 그의 영화세계뿐만 아니라, 영화 바깥의 삶까지도 궁금하게 만든다. 때로는 거침없는 성애의 표현으로, 때로는 극한의 폭력으로, 때로는 악마의 심장 속으로 관객을 몰고 가는 폴란스키의 영화방식은 결코 순탄한 삶이었다고 말할 수 없는 그의 인생 역정
2003-01-04
-
[스페셜1]
김진아 감독의 독립장편영화 <그집앞> [1]
“컷!” “롤 더 사운드!” “스피드 업!” “슛 들어갑니다!” 영화 <그집앞>의 촬영 마지막 날, 서울 대학로의 작은 술집 ‘바스키아’에는 김진아 감독과 베니토 스트란지오 촬영감독, 한국인 스탭이 내지르는 영어와 우리말의 촬영사인이 뒤섞여 짱짱 울려퍼졌다. 그중에서도 작은 몸집의 깡마른 김진아 감독의 목소리가 유달리 크게 들렸다. 그녀는 미
2003-01-04
-
[스페셜1]
김진아 감독의 독립장편영화 <그집앞> [2]
도희도 가인보다는 동선이 많지만 크게 다르지 않다. 도희가 영화에 등장하는 시점은 이미 유럽여행을 마치고 미국으로 돌아와 임신을 확인하는 때이다. 그 장면은 잠깐이고 얼마 안 있어 트렁크를 들고 집을 나간 뒤, 바로 다음 서울 거리를 트렁크를 끌며 배회하는 그녀의 모습이 이어진다. 사건의 디테일은 과감히 생략돼 있고, 갑작스런 한국행을 택한 도희의 심기 역
2003-01-04
-
[스페셜1]
영화현장에 없어서는 안 될 숨은 일꾼들 [1]
많은 사람들이 모이면 시선이나 조명이 미치지 않는 사각지대가 생길 수밖에 없다. 영화촬영현장도 마찬가지다. 완성된 영화를 보면서 남들이 알아주던 말던 본인 스스로는 자신의 흔적을 확인할 수 있는 대다수 스탭들과 달리, <씨네21>이 만난 사람들은 뿌듯한 성과를 발견하기 힘든 직업을 가졌다. 남들 일할 때 혼자 놀고 남들 쉴 때 혼자 일하는 현장버
2003-01-04
-
[스페셜1]
영화현장에 없어서는 안 될 숨은 일꾼들 [2]
빨간날이 더 바빠!크리스마스 휴일에도 그는 쉬지 않는다. 촬영은 없지만,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여기저기 발품을 팔아야 하기 때문. 신인배우들의 입성을 위해 영화와 드라마의 제작일정을 직접 챙기지 않으면 안 된다. 물론 취재원들이 대부분 경쟁 업체에 있는 동료들인 탓에 좀처럼 입을 열지 않지만 배우들의 든든한 지렛대 역할을 하려면 필수적인 일이라고. 글
2003-01-04
-
[스페셜1]
영화현장에 없어서는 안 될 숨은 일꾼들 [3]
원스톱 서비스,논스톱 서비스‘원스톱 서비스’. 그가 내건 모토다. 홍보 전단 및 포스터의 경우 그는 직접 들고서 영상물등급위원회에 가져간다. 영화사가 해야 할 심의업무까지 대행해주고 있는 것이다. 거래처 확보를 위해서라면 이만한 서비스는 기본이다. 또 계약한 작품이라면 일정이 촉박하다고 하더라도 기한을 지켜주기 위해 갖은 애를 쓰는 것이 그만의 신뢰충전 비
2003-01-04
-
[스페셜1]
까다로운 배우 류승범, 자상한 감독 조근식을 추궁하다 [1]
“우리 ‘근’감독님이요… 왜 근감독이냐구요 아니, 평생 ‘조’감독만 할 수 없잖아요.” 지금껏 사이좋다는 배우와 감독을 많이 봐왔지만 이들은 단연 최고의 커플이었다. <품행제로>의 ‘문덕고 캡짱’ 류승범(23)이 청한 조근식(35) 감독과의 대화. 그 길다면 긴 3시간의 인터뷰가 거의 30분 시트콤을 보는 것처럼 짧게 느껴졌던 것은 시종일관 터지
사진: 이혜정 │
글: 백은하 │
2003-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