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1]
창간 8주년 연속특집1 - 충무로 리포트 [2]
한국의 배우들, 적정 개런티는?한국영화산업 진단 시리즈 1편 - 흥행의 수혜와 보상을 체계적으로 나눌 수 있는 스타 개런티 해법찾기배우란 어떤 존재인가. 너무나 익숙한 듯이 보이는 이 물음이 던져지는 순간 우리는 망연자실해진다. 답변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것이다. 여기에서는 영화의 생산과 소비를 중재하는 산업요소로서의 배우를 조망한다. 특히 현장의 위기
글: 김소희 │
2003-04-25
-
[스페셜1]
창간 8주년 연속특집1 - 충무로 리포트 [3]
해법1- 개런티 상한제 + 인센티브코미디는 흥행 성공률이 높다는 점 외에도 제작비와 마케팅비가 적게 들고 굳이 톱스타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투자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장르다. 신은경은 <조폭마누라>의 흥행성공에 힘입어 속편에서의 개런티가 급상승했다.이렇게 된 일차적인 원인은 투자 측면에 있다. 투자 자본이 갑자기 불어나고 제작 편수가 늘어남에
글: 김소희 │
2003-04-25
-
[스페셜1]
창간 8주년 연속특집1 - 충무로 리포트 [4]
해법2- ‘공동제작’ 개념을 도입하자구체적인 개런티나 인센티브/지분 비율을 결정하는 과정에서는 대부분 산업 데이터가 공식적으로 활용되지 않고 있다. 제작자들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시장논리에 따라 결정하는 것은 마음만 먹으면 못할 것도 없다고 말한다. 평균 관객 동원력, 전작의 흥행성적, 부가 판권에 끼치는 영향, 작품당 개런티가 아닌 일하는 시간에 따른 고용
글: 김소희 │
2003-04-25
-
[스페셜1]
창간 8주년 연속특집1 - 충무로 리포트 [5]
“절실한 위기감, 곧 배우들도 실감할 것”배우 개런티는 한번 올라가면 내려오는 경우가 거의 없다. 작품의 성격과 장르에 따라 개런티를 유연하게 적용할 수는 없을까. 장동건은 파격적인 개런티로 <해안선>에 출연하는 놀라운 결정을 했다.과거에도 배우가 공동의 책임의식을 가지고 공조하는 선례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안성기씨는 대표 배우로서 개런티 문제
글: 김소희 │
2003-04-25
-
[스페셜1]
창간 8주년 연속특집1 - 충무로 리포트 [6]
“배우 개런티에 상한선 필요하다_ 61%”긴급 설문조사- 배우 개런티, 투자 · 제작자 26명에게 묻다배우의 가치를 ‘화폐’로 거론할 수 있을까. 그러기엔 무리가 따른다. 배우의 존재 의의는 비단 개런티뿐만 아니라 다양한 요소들의 총합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배우 개런티를 숫자로 거론하려는 시도는 무리할 뿐만 아니라 불경한 시도처럼 여겨지기도 한다. 그
글: 이영진 │
2003-04-25
-
[스페셜1]
창간 8주년 연속특집1 - 충무로 리포트 [7]
배우 또는 매니지먼트사의 요구가 과도하다고 여겨졌던 경우는 언제입니까.18명이 응답한 결과에 따르면, 가장 빈번하게 제기된 사항은 “무조건 많이 받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경우. 무조건 전 작품보다 많이 받아야 한다, 누가 얼마 받았으니 나는 그보다 더 받아야 한다 등이 대표적인 케이스.한 응답자는 흥행작 1편 출연 이후 10배 이상의 개런티를 요구하는 경우
글: 이영진 │
2003-04-25
-
[스페셜1]
제6회 이스트만 단편영화 제작지원작 발표 [1]
이 한국코닥주식회사와 함께 주최하는 코닥이스트만 단편영화제작지원제도가 6회를 맞았다. 올해는 이 제도의 수혜작들을 꾸준히 소개해 온 부산국제영화제가 공동 주최사로 처음 합류해 시행했다.
총 120편의 응모작 중에서 지원작으로 선정된 작품은 김성숙 감독의 <세라진>, 원신연 감독의 <빵과 우유>, 박은교 감독의 <자전거 경주&g
글: 김소희 │
2003-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