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V시리즈 <마이애미 바이스>로 한 시대의 텔레비전 채널을 휘어잡았던 흥행의 명수 토머스 카터의 2001년작 <세이브 더 라스트 댄스>는 마치 <더티 댄싱>을 <초대받지 않은 손님>류의, 흑인과 백인간의 사랑이라는 구도에 집어넣은 듯이 보이는 작품이다. 토머스 카터는 이 영화말고도 1993년작 <스윙 키즈>에서도 춤을 중심에 놓았다. 주로 춤의 사회적 성격에 관해 고찰하는 일련의 영화들을 통해 그는 대중문화의 스타일들을 사회적으로 음미하려고 하는 듯하다. 그러나 기본적으로는 흥행을 노린 작품들이다.춤을 소재로 한 영화는 자연스럽게 ‘음악영화’가 된다. 발레리나를 지망하는 백인 소녀와 힙합에 일가견이 있는 흑인 소년간의 쉽지 않은 사랑을 다루고 있는 이 영화에서 춤은 두 사람을 연결하는 중요한 끈이다. 사실상 그 둘을 연결시키는 것은 ‘힙합’이다. 백인 소녀와 흑인 소년의 공감대를 형성하는 장으로서의 힙합이라. 힙합의 ‘긍정적’ 사
<세이브 더 라스트 댄스> O.S.T
-
사단법인 부천만화정보센터가 주최하는 `제3회 전국 학생만화공모전`과 문화콘텐츠진흥원의 `대학생 만화영상물 제작지원사업`은 각각 초·중·고등학교 학생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신의 작품을 선보이고 검증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전국 학생만화공모전`은 오는 4월6일까지 출품작을 접수받으며, `가족`이라는 제시 주제와 기타 자유 주제를 가지고 이야기 만화 부문과 카툰 부문에 해당 작품을 접수하면 된다(문의: 032-320-3745). `대학생 만화영상물 제작지원사업`은 국내 대학의 애니메이션 관련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100편 내외의 작품에 200만원씩의 제작비를 지원하는 프로젝트다. 오는 3월19일부터 21일까지 학과별로 기획서를 취함해 제출하면 된다(문의: 02-2166-2022).2001년 최고의 미국만화는?최고 권위의 영어권 만화 비평지인 <코믹스 저널>은 지난 1월 말에 나온 제 240호를 통해 지난 한해의 영어권 만화계를 결산하면서, 가장 주목할 만한 만화 8편에
학생 대상 만화영상물 공모전들
-
<소년 탐정 김전일>의 사토 후미야·아마기 세이마루 콤비가 새로운 추리만화 <탐정 학원 Q>를 들고 나타났다. 현재는 단행본 2권, 주인공 큐와 친구들이 `탐정학원 큐`의 입학 시험을 통과해 실전 과제에 들어가기 직전. 아직 이 작품의 정체를 밝혀내기엔 우리가 확보할 수 있는 자료와 힌트가 부족한 것이 사실이지만, 최고 인기 탐정물의 후속편에 대한 예의라고 생각하며 발빠른 분석에 들어가보기로 한다.<소년 탐정 김전일>은 소년 탐정물의 전형을 만들어내며 <슬램덩크> 이후 최고의 인기를 구가한 만화로 이름을 떨쳤다. 하지만 뒤이어 도전해온 여러 소년만화들과 비교해 몇 가지 약점을 지니고 있었다. 첫 번째, 거의 김전일 중심으로 편재된 캐릭터는 지나치게 단순했다. 다양한 개성의 인물군 속에서 자신의 취향에 맞는 주인공을 찾아 감정을 이입하고자 하는 소년 독자들의 성향을 반영할 수 없었다. 두 번째, 개개 사건의 짜임새는 뛰어나지만 서로 독립된
<탐정 학원 Q>
-
<Began... Who?> 비갠후 EMI 발매TV에서는 댄스와 발라드가, 클럽씬에서는 힙합과 랩메탈, 혹은 상큼한 모던록이 주된 흐름을 형성하고 있는 가운데, 비갠후는 보기 드물게 묵직한 정통록에 가까운 사운드를 추구하는 4인조 밴드. 윤도현밴드에서 기타와 작곡을 맡았던 유병열, 피노키오를 거쳐온 보컬 한호춘, 안치환과자유를 거치고 세션 드러머로 활동해온 나성호, 정선연밴드의 일원이었던 베이시스트 김태일로 구성된 ‘중고 신인’이다. 이번 데뷔음반에서는 <킬러들의 수다>에 삽입된 <다시 사는 거야>처럼 육중한 헤비메탈풍과, 타이틀곡 <소망>처럼 선율적인 록발라드를 안정된 연주력으로 들려준다.<Sergio And Odair Assad Play Piazzola>워너뮤직 발매브라질의 클래식 기타 듀오 아사드 형제가 탱고의 거장 아스토르 피아졸라를 기리며 그의 음악을 연주했다. 세르지오와 오다이르 아사드 형제는 클래식과 재즈, 탱고를 자
[음반]Began... Who? / Sergio And Odair Assad Play Piazzola
-
-
엑스재팬 필름기그2월23일 6시/ 등촌동 88체육관/ (주)JRS 엔터테인먼트/ 02-412-05571980, 90년대 일본 비주얼록을 이끌었고, 우리나라 인디록에도 많은 영향을 끼쳤던 록그룹 엑스재팬. 97년 해체된 그들의 콘서트를 영상으로 즐길 수 있는 필름기그가 열린다. 필름기그란, 멤버들이 직접 무대에서 연주를 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여러 영상들을 편집하여 화면으로 공연을 즐기는 것. 엑스재팬 멤버 가운데 기타리스트 파타, 베이시스트 히스 등은 직접 내한한다.오지 오스본 내한공연2월22일 8시/ 잠실 실내체육관/ 액세스/ 02-3141-3488블랙사바스의 보컬 출신으로 명실공히 헤비메탈계의 대부라 할 수 있는 오지 오스본의 첫 내한공연. 치렁치렁한 머리카락, 눈 주위를 새카맣게 칠한 메이크업, 십자가와 온몸을 휘감은 문신들, 악마주의의 신봉자로 공격받을 만큼 어둡고 혐오스런 이미지, 라이브 공연 때 박쥐를 입에 넣는 등 광란의 무대연출로도 악명높았던 오지 오스본의 카리스마를
[공연]엑스재팬 필름기그/오지 오스본 내한공연
-
명화는 이렇게 속삭인다이주헌 지음/ 예담 퍄냄/ 1만5500원등 미술작품과의 소통을 위한 대중적인 교양서를 펴내온 미술평론가 이주헌씨의 신작. 로제티의 <베아타 베아트릭스> 등 19세기 영국 빅토리아조의 낭만주의 회화들에서 서양 명화 속에 나타난 삶, 성경의 주요 인물과 사건을 해석한 그림들, 그리고 김원숙, 석철주 등 요즘 우리 작가들의 작품들까지 “작품들에 차 한잔 대접하는 마음으로” 130여점의 그림과의 대화를 시도했다.눈막상스 페르민/ 현대문학북스 펴냄/ 7500원석줄짜리 17음절로 이루어진 일본의 전통시가인 하이쿠의 형식과 눈의 하얗고 투명한 소멸의 이미지를 접목시킨 소설. 19세기 말, 열정으로 가득 차 있지만 오만했던 일본의 젊은 하이쿠 시인 유코가 예술의 대가를 만나고 사랑과 죽음을 체득하면서 참된 시인으로 성장하는 과정을 하이쿠적인 방식으로 서술한다. 철저히 일본적인 색채의 형식과 선(禪)을 연상시키는 간결한 문체로 동양적 세계관을 섬세하게 형상화하고 있다
[책]명화는 이렇게 속삭인다/눈
-
맞아 동아(東亞)가 동아시아의 한자말이었지…. 그런데, 하이고. 중국문자는 띄어쓰기를 안 하니 쌈빡하다 싶었는데, 직접 ‘참여측’이 되어 팸플릿과 책자를 받아보니 쌈빡하기는커녕 빡빡하면서 그냥 무장무장 지리할 듯 지지부진할 듯하다.게다가 부제는 더 거창하게, ‘신자유주의하 동아시아의 문화적 소통과 상생’. ‘주최측’ 백원담은 내 기를 꺾어놓고야 만다. 형. 동아시아 관련 자료집을 한 다섯권 내야 하는데 어디 출판사 좀 없을까?… 왜 전에 어디서 내준다더니? 응, 원고가 아니고 비블리오그래피라서…. 뭐, 뭣? 그럼 책 제목만 다섯권이다 이거냐? 응. 미치겠군….청중석은 한산했지만 중국·일본 참석자들은 꽤 탄탄하고 참신한, 그리고 저명한 신세대들이었다. 그들을 향해 시인 김지하가 ‘상고시대의 전통을 되살리며 들뢰즈까지 포괄하면서 미래지향적인 카오스모스를 만들어가자’는 요지의 기조 강연을 했고(역시 무게야, 근사한 무게…. 주최쪽 한명의 반응은 그랬다) 한·중·일 공연을 성공리에 마
제1회 동아문화공동체논단, 둘쨋날
-
집시들에겐 끓는 피가 있지만 자기들 말이 없다. 그래서 그들에게는 나라가 없다. 엄밀하게 말해 그들에게는 국적이 없다. 그들의 몸을 가둘 국경도 없다. 남쪽 집시들과 동쪽 집시들은 말도 통하지 않는다. 그 지역의 말을 쓰기 때문이다. 대신 그들에게는 음악이 있다. 음악만이, 그저 끓기만 하는 그들의 떠도는 피에 보편성을 부여한다. 동쪽 집시의 바이올린 선율과 스페인쪽 집시의 기타 선율은 기본적으로 같은 음계 위에서 움직인다. 바이올리니스트 하이페츠가 그렇게도 잘 연주했다는 <찌고이네르 바이젠>과 안달루시아의 플라맹고는 한 피를 지닌 사람들의 손가락에서 나온 음악이다.유럽 전역에 퍼져 있는 집시의 멜로디를 가장 대중적으로 편집하여 들려주는 사람들이 바로 집시 킹즈다. 이들은 프랑스 국적으로 활동하고 있지만 엄밀히 말해 이들은 스페인 집시의 후예들이다. 집시 킹즈의 주축을 이루고 있는 레예스 가문은 저명한 플라맹고 기타리스트 호세 레예스를 배출한 가문인데, 이들이 스페인 내전
집시 킹즈 베스트 앨범
-
이 작품은 대가의 실패작이다. 데이비드 린치는 기괴한 신체적 편린과 공포스러운 분열의 기억을 섬광에 찔린 듯한 표정에 연결시키는데, 그것을 대개 역순으로 배열하거나 뒤섞는 방법으로 플롯화시킨다. 관객은 표정을 먼저 보고 그 이면을 나중에 알게 되는 식이다. 그렇게 하여 미국의 삶 이면에 존재하는 도착을 도착적으로 표현해내는 것이 린치 영화의 핵심이었는데, 이번 영화에서 절망과 공포는 표정과 분위기에만 머무른다.그렇다 해도 이 영화는 매혹적이다. 데이비드 린치가 주목하는 것은 이제 매혹의 매카니즘 자체인 것 같아 보인다. 그래서 그가 거의 도착적으로 집착하는 것이 ‘50년대’이다. 린치에게 50년대는 가짜 매혹의 시스템이 완결된 시대이다. 그는 이 가짜를 숭배한다. 이 가짜는 가장 미국적인 것이고 린치에게는 가장 매력적인 것이다. 중요한 것은 50년대가 파멸의 원인이기도 하다는 것. 린치는 그것을 알고 있으며, 표현해내려 한다. 50년대식 TV쇼가 펼쳐지는 오디션 장면에서 흐르는 &l
<멀홀랜드 드라이브> O.S.T
-
창간 준비단계부터 새로운 시도를 선보인 만화잡지 <웁스>가 지난 2월10일 창간호인 3월호를 발매했다. 만화잡지가 호황이던 때가 언제였는지 이제 그 좋았던 시절의 기억을 더듬기도 힘든 오늘, <웁스>는 ‘스무살 만화세대’를 향해 “만화문화의 중심으로 돌아”오라고 주문한다. 박성식 편집장은 <로보트 태권V>를 볼 때 느꼈던 뜨거운 열기, <철완 아톰>과 <비트> <슬램덩크>에서 보여준 고난에 굴하지 않는 도전과 감동적인 승리를 이야기했다. 그리고 “드라마의 완성도를 높이고 새로운 만화 트렌드를 개발하는 데 게으르지 않겠”다는 약속도 잊지 않았다.<웁스>는 새로운 잡지다. 여기서 새롭다는 의미는 기존 잡지가 아닌 새로운 잡지라는 당연한 의미와 함께 새로운 시도를 보여준 잡지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나는 후자에 주목한다. 만약 후자의 의미가 아니었다면 <웁스>의 창간에 대해 ‘희망’이라는 엄중한 단어를
새 만화월간지 <웁스> 창간
-
더이상 웃고만 살 수 없는 걸 보니, 부유하던 몸 이윽고 현실에 착륙하려나 보다. 그런데 왜 이렇게 씁쓸한 걸까. 작은 회사가 몇년에 걸쳐 공들여온 프로젝트를, 큰 회사가 ‘꿀꺽’하는 작태가 애니메이션계에서도 답습되고 있어서? 아닌 것을 아니라고 말하지 못해서? 아니면 권력과 이해관계가 뒤엉킨 온갖 상황 때문에? 아아, 진짜 모르겠다. 복잡한 고민 따위 뻥 차버리고, 천방지축 신나게 막 살아도 좋은 이상한 세계로 떠나기로 한다.진작부터 글을 준비하고 있었는데 그 사이 다른 신문에 먼저 소개되어 조금 억울하긴 하지만, 1999년부터 지켜본 작품이 드디어 방영을 하는데 그만둘 수야 없지. <아치와 씨팍>의 조범진 감독이 그 이름도 아득한 ‘프로덕션 조범진팀’ 시절 기획했던 <스페이스 힙합덕>은 올 하반기 KBS를 통해 방영될 52부작 TV시리즈다. 한 에피소드 당 상영시간은 11분으로, 에피소드 두개가 함께 묶여 소개될 계획이라고. 앞서 말한 ‘꿀꺽’의 경우가 아니
머나먼 우주, 심부름센터에서 생긴 일 <스페이스 힙합덕>
-
KBS에서 새로 방영되는 애니메이션 시리즈 <바다의 전설 장보고>를 둘러싼 방영시간대 변경 서명운동이 인터넷에서 전개되고 있다. 한국 애니메이션을 좋아하는 세 사람의 네티즌이 주축이 되어 ‘잃어버린 시간’(http://www.lost-time.ce.ro)이란 이름의 사이트를 열고, 지난 2월1일부터 매주 금요일 KBS2TV에서 방영되는 <바다의 전설 장보고>를 오후 5시30분이라는 시간대에 배치한 방송 편성에 반대하는 서명운동을 벌이고 있는 것.그들 중 하나로 만화 이야기터 ‘만화인’(http://www.manhwain.com) 지기로 조인스닷컴을 비롯한 여러 매체에 만화 관련 기고를 해온 서찬휘씨에 따르면, “표면적으로는 <…장보고> 시간대 변경 서명운동이지만, 궁극적으로는 우리 작품들이 보여질 수 있는 안정적인 시간대를 확보”하는 게 이들의 바람. “12살 이상의 연령층을 대상으로 한다는 기획 의도가 무색한 시간대인 5∼6시를 배정받고, 결국 그
<바다의 전설 장보고> 방영시간대 변경 서명운동
-
<가벼운 숨결> 줄리아 하트롤리팝뮤직 발매제목대로, 젊은 날의 감성을 ‘가벼운 숨결’처럼 풋풋한 모던록 사운드에 실어 전하는 줄리아 하트의 첫 음반. ‘볼빨간’이라는 예명의 솔로 프로젝트로 잘 알려진 서준호가 지난해에 설립한 롤리팝뮤직에서 제작했다. 드럼에 서준호, 기타와 보컬에 언니네 이발관 출신의 정대욱, 베이스와 보컬에 코스모스 등을 거친 이원열, 이 세 멤버는 물론 세션들까지 대부분 홍익대 앞에서 활동해온 모던록 밴드 출신. 가볍게 탄식하듯, 가벼운 설렘으로 떨리듯 쟁쟁거리는 선율과 맑은 서정을 담은 가사가 매력적이다.<Sings The Luiz Bonfa Songbook> 이타마라 쿠락스헉스뮤직 발매안토니오 카를로스 조빔과 더불어 보사노바의 선구자로 꼽히는 브라질의 음악가 루이스 본파의 음악을, 브라질의 재즈 보컬 이타마라 쿠락스가 부른 음반. <정사>의 삽입곡으로 알려진 <Manha de Carnaval> <Samba de
[음반]<가벼운 숨결> 줄리아 하트/ 이타마라 쿠락스/ 앙드레 가뇽
-
<신중현 콘서트>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2월12일 6시, 13일 3시·6시/ 메인기획/ 031-871-1964<빗속의 여인> <커피 한잔> <님은 먼 곳에> <미인> 등의 명곡을 탄생시켰던 한국 록음악의 대부 신중현. 이제껏 신화적인 명성으로만 알려졌던 그의 40여년 발자취를 남김없이 보여줄 콘서트가 열린다. 이번 공연의 음악은 물론, 세트, 조명까지 직접 연출, 신화에서 현실 속으로 저벅저벅 걸어나오는 신중현을 볼 수 있다. 신중현의 큰아들 신대철이 이끄는 그룹 시나위와 이정현이 게스트로 참여한다.<얀 가바렉과 힐리어드 앙상블 내한공연>예술의전당 콘서트홀/ 2월17일 4시/ 크레디아/ 02-751-9606재즈와 클래식의 만남. 키스 자렛의 <마이 송> 색소폰 연주로 유명한 노르웨이 출신의 색소포니스트 얀 가바렉과 1974년 결성된 영국의 중세, 르네상스 전문 남성 4인조 보컬인 힐리어드 앙상블이 첫 내한공
[공연] 신중현 콘서트 / 얀 가바렉과 힐리어드 앙상블 내한공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