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틱 틱… 붐!>
양재동 한전아츠풀센터/ 12월1∼9일 4시·7시30분(월·수 공연없음)/ 연강홀 12월1∼16일 수·목 7시30분, 화·금·토·일 4시·7시30분(월 공연없음)/ 산울림소극장 12월1∼30일 평일 7시30분, 토·일·공휴일 4시·7시30분(월 공연없음)/ 신시뮤지컬컴퍼니/ 02-577-1987
뮤지컬 <렌트>를 만든 조너선 라슨의 두 번째 록뮤지컬 <틱 틱… 붐!>. 올해 6월 브로드웨이에서 개막하여 사랑받았던 이 작품은 요절한 천재예술가 조너선 라슨의 자전적 이야기를 담고 있어 더욱 관심을 모은다. 12월1일 서울 세 지역의 극장에서 동시에 막을 올리는 <틱 틱… 붐!>은 남경주와 최정원이 출연하는 강남팀, 주원성, 전수경의 대학로팀, 김성경, 이건명의 신촌팀으로 나누어 색다른 무대를 선보일 예정이다.
공연... <틱 틱… 붐!>
-
<White Lilies Island> 나탈리 임브룰리아 1998년 <Torn>을 앞세운 데뷔앨범 <Left of the Middle>로 영미 차트를 석권하며 전세계적으로 600장의 판매고를 올렸던 나탈리 임브룰리아가 오랜 침묵 끝에 발표한 신작 앨범. 첫 싱글로 커트될 곡은 마돈나의 히트곡들을 만들어낸 팻 레오나르드가 참여한 <That Day>다. <Wrong Impression> <Come September> 등의 곡은 편곡에서 관현악을 도입해 사운드의 다채로움을 추구했으며 <Beauty on the Fire>는 일렉트로니카 계열의 사운드를 들려준다. 깔끔한 록발라드 <Do You Love?> <Everything Goes> 등 FM이 좋아할 만한 귀에 감기는 곡들도 실렸다.<World of Our Own> 웨스트 라이프BMG 발매연달아 7개의 싱글을 영국차트 정상에 올려놓
음반... ,
-
<머니 메이커1>(The Money Makers) 진짜 ‘위대한 유산’은 무엇일까? 평생에 걸쳐 큰 재산을 모았으나 아내의 부정과 자식들의 낭비만 목격하고 스스로는 삶을 구가할 기회를 갖지 못했던 한 남자가 3년 안에 제 손으로 100만파운드를 벌어오는 사람에게 전 재산을 물려준다는 유언을 남긴다. 생전 몸을 움직여본 일이 없던 4남매는 졸지에 절박한 돈벌이에 내몰려 망해가는 회사를 인수하고 비서학교에 등록하는 등 저마다 유산을 받기 위한 노력을 시작한다. 영국에서 좋은 반응을 얻었던 비즈니스 소설. 저자 해리 빙검은 10년간 몸담은 금융계 경험을 살려 이 소설을 썼다고 한다.<한국 미술, 그 분출하는 생명력> 강우방 지음/ 월간미술 펴냄/ 1만5천원이화여대 미술사학과 강우방 교수가 미술전문지 <월간미술>에 연재했던 칼럼에 5편의 새 글을 보태 책을 펴냈다. ‘주요 작품으로 간추린 한국 미술사 편력’이라는 부제대로, 저자가 직접 촬영한 한국 미술 걸작
책...<머니 메이커1>, <한국 미술, 그 분출하는 생명력>
-
아일랜드 밴드 크랜베리스(Cranberries)가 5집을 내놓았다. 크랜베리스는 스미스(The Smiths)로 대표되는 1980년대 인디 기타팝을 자양분으로 하여 드림팝, 포크, 켈트음악, 팝을 뒤섞은 독특한 음악세계를 펼쳐온 모던 록밴드다. 멜로디가 돋보이는 서정적이고 경쾌한 음악을 단아하게 갈무리해왔다는 설명이 불충분하다면, 록이지만 그에 못지않게 팝의 친화력을 보여왔다는 간편한 표현도 가능하다.무엇보다 크랜베리스의 트레이드마크는 돌로레스 오리어던의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꺾기 창법이다. 제목은 잘 몰라도 들어보면 단번에 ‘아, 이 노래’ 하게 될 <Dreams>, <Ode To My Family>, <Zombie> 등의 히트곡 탄생의 팔할은 그녀의 유니크한 보컬 덕이다. 이들은 1993년과 이듬해 내놓은 1, 2집의 엄청난 성공으로 국제적 스타의 지위에 올랐고, 세계적으로 총 3천만장이 넘는 앨범 판매고를 올렸다. 그 여파는 한국도 예외는 아니어서
변증법의 여정을 거쳐, 고향으로
-
-
이 전시회 팸플릿이 왔을 때 ‘최치숙’은 내게 모르는 이름이었다.내가 미술판과 친하게 지낸 지 근 20년이니 모르는 사람이 보내는 팸플릿은, 그 많은 ‘택배’ 시집(죄송. 나도 많이 냈지만. 하지만 나는 아는 사람한테도 만날 기회가 있으면 전달하지, 우편으로 부쳐주고 시침떼지는 않는다)만큼이나, 신기하다기보다는 귀찮은 편이다.봉투를 뜯고 사진부터 힐끗 들여다보았다. 수덥지분한데, 역시, 나와 낯익은 나이는 되겠지만, 낯익은 얼굴은 아니다. 그런데, 페이지를 넘겨 맨 뒷장을 펴던 그 순식간에 그녀의 작품들이 내 눈에 잔상을 남겨놓았다. 그림이 요란해서가 아니다. 대저 크기와 색갈이 요란굉장(하기만)한 그림들은 눈을 밀어낼 뿐 망막에 감동의 흔적을 남기지 못한다.전시회 제목이 그렇듯 ‘일상’을 주제로 한 그녀의 판화들은 모두 섬세하고 섬세함이 은은하게 깊다. 특히 목판화는 놀랄 정도로. <새벽>은 판화에서 보기드문 회화성(picturesque)을 구도와 색채 양면에서 발하고
뭉개짐의 선명도
-
<아들의 방>은 실내의 영화이면서 길의 영화이다. 이 영화가 비추는 ‘실내’는 담담하고 리얼하며 과장된 것이 없다. 지나치게 ‘실내’여서 그것은 겸손하기까지 하다. 영화는 길에서 시작되지만(조깅), 이내 실내로 잠입한다. 그러고나서 다시 실내에서 빠져나와 길을 거쳐 바다에 이르는 마음의 움직임을 그려내고 있는데, 음악 역시 그 과정을 따라가고 있다.사실 음악도 이렇다할 것이 없다. 그러나 이 영화는 ‘이렇다할 것이 없음’을 보여주고자 하는 영화이다. ‘이렇다할 것이 없음’ 내부에는 일상의 광기가 있다. 반면에 아들의 죽음이 불러오는 광기의 파장 안에는 또 ‘이렇다할 것이 없음’이 있다. 이렇다할 것이 없음과 광기의 안팎 엮임을 보여주는 것이 이 영화의 담담함이 의도하고 있는 바다. 음악은 그 ‘이렇다할 것이 없음’을 알려주는 선에서 역할을 자제하고 있다.그런 면에서 이 영화가 독특한 전통 속에 있는 영화라는 걸 어렴풋이 감지한다. <아들의 방>에서 이탈리아 네오
`이렇다할 것 없음`의 미학
-
적어도 한국판 제목은 만화라는 매체의 진보를 이야기하는 것으로 보인다. 작가 스콧 맥클루드가 만화의 내적 형식에 대한 빼어난 저작인 <만화의 이해>(시공사 출간)의 저자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이 책(만화)도 내가 만화에 대해 알고 있는 두세 가지 것들에 알아야 하는 두세 가지 것들을 더한 ‘새로운’ 만화의 진보를 경험하는 즐거운 여행이 되리라고 생각했다. 스콧 맥클루드가 자신의 웹사이트(http://www.scottmccloud.com)에서 보여준 다양한 탐색의 종이 버전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이 책은 나의 소박하며 단순한 기대를 짓밟았다. 이 책은 읽는 내내 나를 불안하게 했으며, 불편하게 했다. 애써 외면하고 잊어버리는 조악한 현실과 불안한 미래의 그림은 페이지와 칸을 통해 나의 영혼을 잠식했다.<만화의 미래>라고 번역된 <Reinventing Comics>는 엄격한 의미에서 ‘만화의 미래’에 대한 다채로운 예측이 아니라 ‘만화
변화의 강가에 서서, 무엇을 할 것인가?
-
지난 1995년 처음 시작된 서울국제만화애니메이션페스티벌(SICAF)은 3년간 매년 개최되다가 1999년부터 격년제로 운영되었다. 그런데 지난 11월18일 (사)SICAF조직위원회는 결과보고를 통해 SICAF를 매년 개최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최근 만화 및 애니메이션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보여질 콘텐츠의 양도 늘어나 매년 개최가 필요하게 된 것이다. 특히 이번 SICAF 2001에서 조사한 관객 설문조사에 따르면 관람객의 56%가 매년 개최를 지지했으며, 격년제 개최를 요구한 관람객은 10%에 불과했다. 사단법인 SICAF 조직위에서는 SICAF 행사를 매년 개최하며, 국제영화제와 SPP를 좀더 발전시켜 명실상부한 세계 최초의 허브형 페스티벌을 정착시켜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사)SICAF조직위에 참여한 만화, 애니메이션 관련 5개 단체(사단법인 한국애니메이션제작자협회, 사단법인 한국만화가협회, 사단법인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사단법인 우리만화발전을위한연대모임,
만화애니메이션진흥위원회 추진
-
어릴 적 기억을 더듬어봐도 위인전을 재미있게 읽은 적은 별로 없었던 것 같다. 성웅 이순신이나 헬렌 켈러를 읽으면서 경외감을 품기는 했지만 엄격히 말해 재미있었던 건 아니다. 자칫 딱딱하고 뻔하게 느껴질 수 있는 위인전은 그래서 애니메이션으로도 부담스러운 장르인 게 사실이다. 그런데 한혜진·안재훈 감독이 지휘하는 신작 한편이 있으니, 바로 플래시애니메이션 <바다의 전설 장보고>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 해상왕 장보고를 주인공으로 하는 이 작품은 여러모로 보기 드문 프로젝트다.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은 이른바 동시다발적인 프로젝트라는 것. 서울무비에서 진행중인 <바다의 전설 장보고>는 TV 시리즈와 플래시로 함께 진행되고 있다. 제목이 같은 두 시리즈는 그러나 전혀 다른 컨셉으로 펼쳐진다. TV 시리즈가 미래를 배경으로 하는 SF 스타일이라면, 플래시는 공식에 충실한 위인전. 그런데 고리타분하기 쉬운 후자가 전혀 지루하지 않은 것은 웬일일까. 플래시 <바다의
고리타분한 위인전은 가라!
-
오래 전부터 노동문화 안에 자리하고 있었지만 그 중요성과 역할에 비해 ‘우리문화’로 자리잡지 못했던 노동만화의 역사를 다시 쓰는 소중한 계기를 마련하고자 개최되는 은 흩어진 노동만화를 한자리에 모으고, 노동만화일꾼의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을 비롯해 투박하고 재미없는 만화라는 고정이미지에서 탈피하여 노동만화의 새로운 이미지를 다지는 장이 될 예정이다. 주요 전시는 ‘시대전’, ‘작가전’, ‘주제전’, ’야외전시’ 등으로 구성되며 만화강습과 직접 만화를 그려보는 체험을 즐기는 ‘만화체험마당’ 등의 부대행사가 있다.
전시... <2001 노동만화전>
-
<양방언 Live in seoul 2001> The Light from Heaven: Pan-O-Rama
아시아적 감수성을 자유로운 서양적 그릇에 담아 월드뮤직의 새로운 비전을 제시했던 제일동포 피아니스트 양방언의 3번째 단독공연. MBC드라마 <상도>의 메인 타이틀 음악 <Too Far Away>, 2002 부산 아시안게임 공식음악인 <Frontier!-Voices from the East>를 포함하여 <Only Heaven Knows> <Into The Light>를 중심으로 자신의 음악세계를 총망라하는 공연을 보여줄 예정. 이날 공연에는 원일, 민영치, 김웅식, 유열, 이병우 등이 게스트로 참여한다.
공연... <양방언 Live in seoul 2001>
-
헤르만 헤세의 시와 소설, 산문 중 정원에 관한 것들을 가려뽑고 그가 직접 그린 수채화와 친필원고, 흑백사진들을 수록한 책. 비인간적인 기계문명에 반기를 들고 자연에서 삶의 근원을 발견하고 성숙에 이른 작가는 정원에서 무엇을 발견했는가? “아주 이따금, 씨앗을 뿌리고 수확하는 한순간, 땅 위의 피조물 가운데서 유독 우리 인간만이 이같은 사물의 순환에서 제외되어야 한다는 것이 얼마나 이상한 일인가 하는 생각이 떠오른다”는 헤세의 말은 자연친화적인 사상을 낮은 목소리로 설파한다.
책... <헤르만 헤세의 정원 일의 즐거움>
-
<Cieli Di Toscana> 안드레아 보첼리 감미로우면서도 낭만적인 울림을 지닌 비브라토로 대중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는 이탈리아의 테너 가수 안드레아 보첼리의 새 음반. 시각장애로 오페라 가수의 꿈을 온전히 이룰 수 없었던 보첼리는 클래식과 대중음악의 경계를 허물고 대중에게 친밀하게 다가서는 가수다. 이번 음반 역시 팝적인 감각과 클래식한 선율의 만남. 그 특유의 비장한 서정이 돋보이는 <Melodrama>, 부드러운 팝발라드 <Someone Like You>, 첫아들과 대면한 감흥을 담은 소네트에 곡을 붙이고 U2의 보노가 낭독에 참여한 <L’Incontro> 등이 담겨 있다.<Carmine Appice’s Guitar Zeus 2001> 카마인 어피스 원뮤직 엔터테인먼트바닐라 퍼지 출신의 드러머 카마인 어피스와 헤비메탈계의 내로라 하는 기타 주자들이 모여서 만든 프로젝트 음반. 신 중의 신 제우스의 이름을 따온 ‘기타의
음반... , , <영화속의 클래식 명선율 미소>
-
황보령의 음반은 누구에게나 쉽게 권할 수 있는 무난한 음악은 아니다. 음울하고, 묵직하고, 거칠고, 조금은 낯설기 십상이다. 생략이 많은 가사는 내밀한 몽상의 기록에 가까워 가벼운 공감을 유도하지 않고, 전위적인 질감의 배음 위에서 종종 불협화음이나 파열음으로 터지는 기타 사운드 역시 듣기 편안한 선율은 아니다. 하지만 조금은 허스키한 목소리로 읊조리고 내지르는 그의 몽상에 귀를 기울이다 보면, 이질적인 불편함의 정체가 솔직함이란 사실을 깨닫게 된다. 세상의 틀에 얽매이지 않는, 그래서 주류 대중음악의 어법에도 연연하지 않는, 길들여지지 않은 자신만의 소우주. “나를 용서해줘/ 너와 같지 않아서/ 하지만 알고 있니/ 난 그렇게 망가지진 않았어”라는 <우주>의 가사처럼, 그의 음악은 다수의 질서에 ‘망가지지 않은’ 사적인 몽상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다. 최근에 발매된 2집 <태양륜> 역시 그러한 사적인 몽상이, 매끈하게 깎이지 않은 소리가 여전히 매력적이다.많은
격한데 부드럽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