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톱 오브 더 레이크> Top of the Lake
제작·감독·각본 제인 캠피온 / 시즌1 출연 엘리자베스 모스, 데이비드 웬햄, 피터 뮬란, 홀리 헌터 / 시즌2 출연 그웬돌린 크리스티, 앨리스 잉글러트, 니콜 키드먼 / 미국 내 방영 <선댄스 채널>, 국내 방영 넷플릭스(시즌1)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여성감독’이라는 수식어도 그녀의 차기작을 담보해주지는 못했다. 1993년 <피아노>로 칸국제영화제에서 여성 최초로 황금종려상을 수상한 뉴질랜드 감독 제인 캠피온 이야기다. 그녀의 마지막 장편영화 연출작은 2009년의 <브라이트 스타>였다. 그마저도 6년 만의 신작이었는데, 2003년 멕 라이언과 함께 작업한 에로틱 스릴러 <인 더 컷>이 평단의 혹평을 받으며 제인 캠피온은 오랫동안 메가폰을 내려놓아야 했다. “가장 힘든건 내 영화의 거의 모든 리뷰를 남자들이 썼다는 것이다. 그들은 여성의 관점을 싫어했고 여성들이 남자를
[TV시리즈⑧] 제인 캠피온 <톱 오브 더 레이크> - 파라다이스에 여성들이 산다
-
<기묘한 이야기> 시즌2 Stranger Things2
감독 더퍼 형제, 숀 레비, 앤드루 스탠턴, 레베카 토머스 / 출연 밀리 보비 브라운, 위노나 라이더, 핀 울프하트, 케일럽 매클로플린, 게이튼 마타라조 / 국내 방영 넷플릭스
<기묘한 이야기>가 공개되기 직전에는 어느 누구도 이 드라마가 <하우스 오브 카드>나 <오렌지 이즈 블랙>과 같은 성공을 넷플릭스에 안겨줄 거라 생각하지 못했다. 2016년 7월 시즌 첫 공개 이후 거의 신드롬에 가까운 화제를 낳았고, 기획과 연출을 맡은 더퍼 형제가 바로 시즌2 각본 작업에 돌입할 수 있었던 데는 눈썰미 좋은 제작자 숀 레비 감독의 공이 크다. 대여섯편의 단편영화와 이제 막 첫 장편 데뷔작으로 만든 호러영화 <히든>이 포트폴리오의 전부였던 맷 더퍼, 로스 더퍼 형제는 TV시리즈로 제작 가능한 파일럿 몇편의 각본을 들고 영화사 이곳저곳을 기웃거렸다. 그러던 중 <히든>을
[TV시리즈⑦] 숀 레비 <기묘한 이야기> 시즌2 - 거부할 수 없는 모험담의 매력
-
<걸프렌드 익스피리언스> The Girlfriend Experience
총괄제작 스티븐 소더버그 / 출연 라일리 코프, 폴 스파크스, 케이트 린 셰일, 제임스 길버트 / 미국 내 방영 <STARZ>
<걸프렌드 익스피리언스>는 스티븐 소더버그 감독이 2009년에 만든 동명의 인디영화에서 전체적인 컨셉과 분위기를 계승해 확장시킨 TV시리즈다. 총괄제작으로 크레딧에 이름을 올린 소더버그에 따르면, TV시리즈 <걸프렌드 익스피리언스>는 재정난에 허덕이던 주인공이 돈과 성관계에 따르는 권력에 눈을 뜨고, 그 힘을 통제하는 과정을 그리는 “슈퍼히어로물”이다.
시카고의 로스쿨에 재학 중인 크리스틴(라일리 코프)은 언제나 돈이 부족하다. 그런 크리스틴에게 그저 술 한잔 같이하면 된다며 친구인 에이버리(케이트 린 셰일)는 ‘걸프렌드 익스피리언스’라는 일을 제안한다. “섹스는 안 해도 돼”라고 속삭이는 친구를 따라 크리스틴은 고급 콜걸의 세계에 발을 들여놓는다
[TV시리즈⑥] 스티븐 소더버그 <걸프렌드 익스피리언스> - 섹스를 중심으로
-
<빅 리틀 라이즈> Big Little Lies
제작 데이비드 E. 켈리, 장 마크 발레, 리즈 위더스푼, 니콜 키드먼 외 / 감독 장 마크 발레 / 원작 리안 모리아티 / 출연 리즈 위더스푼, 니콜 키드먼, 셰일린 우들리, 알렉산더 스카스가드, 애덤 스콧, 조 크래비츠, 로라 던 / 미국 내 방영 <HBO>
리즈 위더스푼, 셰일린 우들리, 니콜 키드먼. 영화가 사랑한 이 세 여자배우들을 TV시리즈로 만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이야말로 미국 TV의 황금기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다. <빅 리틀 라이즈>는 리즈 위더스푼과 니콜 키드먼이 제작을 맡고 <달라스 바이어스 클럽> <와일드> <데몰리션>을 연출한 장 마크 발레가 감독을 맡은 7부작 드라마다. 호주 작가 리안 모리아티의 베스트셀러 <커져버린 사소한 거짓말>을 원작으로 하는 이 작품은 일견 평화로워 보이는 중산층 가정이 숨기고 있는 이면의 이야기들을 조명한다.
[TV시리즈⑤] 장 마크 발레 <빅 리틀 라이즈> - 좋아 보이는 그 모든 거짓말들
-
-
<그레이스> Alias Grace
감독 메리 해론 / 각본 사라 폴리 / 원작 마거릿 애트우드 / 출연 사라 가돈, 에드워드 홀크로프트 / 국내 방영 넷플릭스
마거릿 애트우드. 캐나다의 유명 여성작가이자 올해 노벨 문학상의 유력한 후보자였던 그녀에게 20년 전 한 소녀가 편지를 보냈다. 애트우드의 소설 <그레이스>(1996)의 판권을 사고 싶다는 내용이었다. 마거릿 애트우드의 대답은 당연히 ‘노’였다. “그녀는 17살이었다고요!” <뉴욕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애트우드는 거절의 이유를 다음과 같이 밝혔다. 하지만 소녀는 포기하지 않았다. 그녀는 언젠가 <그레이스>의 판권을 획득해 마거릿 애트우드의 이야기를 영상으로 옮기겠다고 결심했고 2017년, 넷플릭스를 통해 자신이 각본을 쓰고 프로듀서로 참여한 6부작 드라마 <그레이스>를 공개하며 자신의 오랜 꿈을 이뤘다. <어웨이 프롬 허> <우리도 사랑일까>를 연
[TV시리즈④] 사라 폴리 <그레이스> - 그녀의 이야기를 들어라
-
<영 포프> The Young Pope
제작·감독·각본 파올로 소렌티노 / 출연 주드 로, 다이앤 키튼, 실비오 오를란도, 제임스 크롬웰, 세실 드 프랑스 / 미국 내 방영 <HBO>
47살의 젊은 추기경, 레니 벨라도(주드 로)가 교황으로 선출된다. 바티칸의 추기경들은 애송이를 꼭두각시로 얻었다고 반기지만 이내 젊은 교황이 예측할 수 없어 위험하다는 걸 알게 된다. <유스> <그레이트 뷰티>를 만든 이탈리아 감독 파올로 소렌티노가 에피소드 10편을 모두 감독하고 각본을 쓴 <HBO>의 TV시리즈 <영 포프>는 현대의 바티칸을 배경으로 미국의 젊은 추기경 레니 벨라도가 새로운 교황 비오 13세로 즉위하면서 시작된다.
비오 13세는 한마디로 발칙하다. 그의 발칙함은 그의 젊음에서, 고아였던 어두운 과거에서, 전세계 12억 신자를 거느린 가톨릭의 수장이지만 그 역시 인간이라는 한계에서 비롯한다. 성 베드로 광장을 내려다보며 새 교황
[TV시리즈③] 파올로 소렌티노 <영 포프> - 싫어하거나 완전히 좋아하거나
-
<타부> Taboo
감독 크리스포터 뉘훔, 앤더스 앙스트림 / 출연 톰 하디, 조너선 프라이스, 우나 채플린 / 미국 내 방영 <FX채널>, 국내 방영 캐치온
“디킨스와 서부극이 뒤섞인, 신비롭고 잔혹한 시대극”이란 평단의 찬사를 받으며 올해 초 영국 <BBC ONE>과 미국 <FX채널>에서 방영된 드라마 <타부>는 리들리 스콧 감독의 ‘스콧 프리 프로덕션’과 배우 톰 하디, 그리고 그의 아버지인 에드워드 하디가 설립한 제작사 ‘하디 선 앤드 베이커’가 공동 제작한 드라마다. 리들리 스콧 감독이 연출한 <블랙 호크 다운>(2001)으로 영화계에 데뷔했던 톰 하디는 자신의 출연작인 <차일드 44>의 제작자이기도 한 스콧 감독과 고향인 영국에서 드라마로는 처음 협업하게 됐다. 두 사람 외에도 동업자가 또 있다. 드라마의 작가이자 원안을 제공한 스티븐 나이트는 톰 하디 주연의 <로크>를 연출하며 그와 연을 맺
[TV시리즈②] 리들리 스콧 <타부> - 신비롭고 잔혹한 리들리 스콧풍 시대극
-
<마인드헌터> Mindhunter
감독 데이비드 핀처, 앤드루 더글러스, 아시프 카파디아 외 / 출연 조너선 그로프, 홀트 매캘러니, 애나 토브 / 국내 방영 넷플릭스
옛날 옛적, 비행기에서 사람들이 담배를 태우던 때의 일이었다. FBI가 구강성교를 범죄자들의 변태적인 성행위로 교육하던 시절의 일. <나를 찾아줘>(2014), <밀레니엄: 여자를 증오한 남자들>(2011), <조디악>(2007)과 <세븐>(1995)의 데이비드 핀처 감독은 ‘프로파일링’이라는 말을 만들어낸 사람들을 주인공으로 넷플릭스의 <마인드헌터> 시리즈를 만들었다. 넷플릭스와 이미 <하우스 오브 카드>를 성공시킨 핀처는 1970년대 후반의 홀든 포드(조너선 그로프)라는 인물을 따라간다. 시즌1이 모두 방영된 이 작품에서 핀처는 에피소드1, 2, 9, 10을 맡았으며 <에이미>의 아시프 카파디아, <아미티빌 호러>
[TV시리즈①] 데이비드 핀처 <마인드헌터> - 연쇄살인범들과의 인터뷰
-
할리우드 감독들의 드라마 진출이 일종의 외유라고 생각하던 시대는 지났다. <하우스 오브 카드>의 데이비드 핀처, <트루 디텍티브>의 캐리 후쿠나가가 TV에 영화감독들의 영토를 개척한 선두주자였다면, 이제는 손으로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은 영화감독들이 브라운관으로 쏟아져 들어오고 있다. 그들이 드라마에 주목하는 이유는 다양하다. “(영화를 만들 때)첫 번째 걱정은 항상 이런 거였다. 관객이 어떻게 반응할 것인가?” 뉴질랜드 감독 제인 캠피온은 흥행에 대한 압박에서 벗어나 창작의 자유를 느낄 수 있다는 점을 TV 작업의 가장 큰 매력으로 꼽았다. “훌륭한 작품이든 아쉬운 작품이든, 지적이고 강력한 여성 캐릭터를 만들고 싶다는 의도를 존중했다. 그리고 이 여정의 일부가 되고 싶었다.” <달라스 바이어스 클럽> <와일드>의 장 마크 발레 감독은 니콜 키드먼과 리즈 위더스푼 같은 여자배우들이 할리우드영화 속 여성 캐릭터의 기근을 아쉬워하며 제작한
TV시리즈 연출 나선 영화감독들 ① ~ ⑩
-
타이카 와이티티 감독이 연출한 <토르: 라그나로크>가 흥행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지난 11월 3일 북미 개봉한 <토르: 라그나로크>는 개봉 첫 주말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하며 1억2천만달러 이상의 수익을 거뒀다. <토르> 시리즈 사상 최고 기록으로, <닥터 스트레인지>의 오프닝 스코어도 넘겼다. 한편 드라마 <가십걸>의 스타 배우 에드 웨스트윅이 성추문에 휩싸였다. 배우 크리스티나 코언이 페이스북을 통해 그가 3년 전 자신을 강간했다고 폭로한 것이다. 코언은 자신의 고백이 할리우드를 바꾸는 데 보탬이 되기를 바란다고 폭로 이유를 밝혔다. 그러나 웨스트윅은 코언을 모른다고 주장하며 의혹을 전면 부인했다.
[UP&DOWN] 타이카 와이티티 감독 <토르: 라그나로크> 흥행 돌풍 外
-
월트디즈니컴퍼니가 자사를 비판한 언론을 상대로 무모한 힘겨루기를 벌였다. 지난 9월 24일, <LA타임스>는 디즈니랜드가 캘리포니아주 애너하임시로부터 과도한 세금 혜택을 받고 있다며 디즈니와 애너하임시의 유착관계를 파헤치는 조사보고서를 보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디즈니는 애너하임시가 1억800만달러를 들여 건설한 시 소유의 주차장을 1년 내내 사용하면서 무려 3500만달러의 수익을 벌어들이고 있음에도 임대료는 단 1달러를 주고 있었다. 디즈니는 이 보고서의 내용을 전면 부인하면서 “부당하게 의혹을 부풀린 <LA타임스> 기자들을 상대로 디즈니 영화 언론 시사회장 출입을 금지한다”는 내용의 출입금지 조치를 발표했다. 이에 <뉴욕타임스>를 비롯해 <워싱턴 포스트> 등 미국 전역 신문사들이 <LA타임스> 편에 서서 디즈니를 보이콧하기 시작했다. 심지어 디즈니가 2018년에 공개할 애니메이션 <시간의 주름>을 연출한 에바 두버
디즈니, <LA타임스>의 시사회장 출입금지 조치를 철회하다
-
부산국제영화제(이하 부산영화제)가 잠잠하다. 올해 영화제가 끝나면 정상화 안을 놓고 여러 움직임이 있을 것이라던 예상과는 전혀 다른 분위기다. 김동호 이사장과 강수연 집행위원장이 올해 영화제를 마치고 물러나겠다고 공언한 터라 폐막과 함께 곧바로 큰 변화가 뒤따를 것이라는 기대가 컸다. 이와달리 제22회 영화제가 막을 내린 지 근 한달이 지났지만 정상화 과정에 별다른 진척이 없다. 지난 10월 하순, 영화계에서 서울과 부산에서 한 차례씩 모임을 열어 의견을 모았으나 후속 조치는 여전히 오리무중이다.
부산영화제 폐막일인 지난 10월 21일, 부산영화제 이춘연, 이은, 최윤 이사와 사무국장이 같이 만나 부산영화제 정상화 방안에 대해 서울과 부산 영화계의 의견을 각각 들어보기로 했다. 10월 25일, 부산의 영화 단체, 시민문화연대 대표 등 9명은 ‘이사회 역할을 대신할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 형식의 기구를 만들어 정관 정비, 이사장과 집행위원장 선임 등 정상화 조치를 추진’하는
비대위 출범과 정관 개정 등 부산국제영화제가 넘어야 할 산
-
*인디다큐페스티발2018 국내신작전 상영작 공모를 시작한다. 11월 20일(월)부터 12월 4일(월)까지. 출품신청서(영화제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접수, 11월 20일(월)부터 가능)와 심사용 스크리너를 12월 4일(월) 마감일 오후 7시까지 도착하도록 제출. 제출할 곳은 인디다큐페스티발2018 사무국. 주소는 (04205) 서울시 마포구 만리재옛길 65-6(공덕동 82-9) 2층. 홈페이지 www.sidof.org, 이메일 sidof_@naver.com, 전화 02-362-3163(문의시간: 오전 11시~오후 7시, 토·일·공휴일 휴무).
*2018년 5월 17일부터 23일까지 열리는 제15회 서울환경영화제(주최: 환경재단)가 내년 1월 12일까지 출품작을 공모한다. 출품대상은 2016년 1월 1일 이후 제작 완료된 작품으로, 길이와 장르에 상관없이 환경을 소재로 다루거나 넓은 의미에서 환경에 관련된 작품이면 출품할 수 있다. 단 국제환경영화경선, 한국환경영화경선의 후보작으로
인디다큐페스티발2018 국내신작전 상영작 공모 시작 外
-
-11월 7일 폐막한 제15회 아시아나국제단편영화제 국제경쟁부문 대상이 벨기에영화 <재앙>에 돌아갔다.
세브린 드 스트레케어, 맥심 페여스 감독의 <재앙>은 “황망한 심리적 공간을 독창적인 이미지와 사운드로 누비는 작품”이라는 평을 받았다. 국내경쟁부문 대상은 장병기 감독의 <맥북이면 다 되지요>가 수상했다.
-제3회 서울국제음식영화제가 11월 16일부터 21일까지 메가박스 이수, 아트나인에서 열린다.
<골드의 도시> <러브 앤 레몬> 등 22개국에서 온 50편의 장·단편 음식영화들이 상영된다. 개막작 <엄마의 공책>에 출연하는 두 배우 이종혁과 김성은은 영화제 홍보대사로 선정됐다.
-<기억의 밤>이 국내 개봉 이후 넷플릭스를 통해 190개 나라에서 동시 공개된다.
<기억의 밤>은 영화가 완성되기 전인 시나리오 단계에서 넷플릭스와 월드와이드 라이선싱 계약을 체결했다. 강하늘, 김무열 주연의
제15회 아시아나국제단편영화제 국제경쟁부문 대상, 벨기에영화 <재앙> 수상 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