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를 두고 누구는 ‘진 프로(그래머)’라고 하고, 또 누구는 ‘상상마당의 그분’이라고 부른다. 홍대 상상마당 시네마에서 열리는 관객과의 대화를 전부 그가 도맡아 진행해서 생긴 별명이다. 입담이라면 누구 못지않은 그는 바로 KT&G 상상마당 시네마 영화사업팀 진명현 과장인데, 그가 또 일을 벌이려는 모양이다. 진명현 과장이 기획, 준비하고 있는 제4회 KT&G 상상마당 시네마 음악영화제가 바로 그것. “지난 3회까지는 겨울에 행사를 치렀다. 한해를 정리하는 분위기라 어쩔 수 없이 다운되는 느낌이 없지 않더라. 올해에 여름으로 앞당긴 것도 젊음의 에너지를 최대한 드러내기 위해서다.”
이번 영화제는 음악영화 신작전, Rock your spirit, Music Director’s, Taster’s Choice 등 총 4개 섹션을 선보인다. 이중 눈에 띄는 건 극장 미개봉작과 최신 영화로 구성된 음악영화 신작전이다. “<제네시스와 레이디 제이의 발라드> <밴
[이 사람] 젊음의 에너지 찾아 여름으로 이사했어요
-
-부산국제영화제 김동호 명예 집행위원장 사진전 <김동호와 프렌즈>가 5월18일부터 24일까지 인사동 서호갤러리에서 열린다.
=부산국제영화제 15년 풍경은 물론이고 줄리엣 비노쉬, 허우샤오시엔, 임권택 등 국내·외 영화인들의 쉽게 볼 수 없는 사진들이 한가득!
-<빌리 엘리어트>가 5월19일부터 CGV강변 무비꼴라쥬관에서 재상영된다.
=CGV 무비꼴라쥬가 실시한 ‘관객이 다시 보고 싶어 하는 영화’ 설문조사에서 1위를 차지해… <굿 윌 헌팅> 어떻게 좀?
-1~4월에 극장 개봉한 한국영화가 56.1%의 관객점유율 기록했다.
=전년도 대비 20.5% 증가한 수치다. 반면 외국영화는 43.9%의 관객점유율을 기록했는데, 전년도 대비 30% 감소했다. 앞으로 이 기세 그대로!
[댓글뉴스] 부산국제영화제 김동호 명예 집행위원장 사진전 外
-
마이너스 10억. CJ E&M 영화사업부문의 2011년 1분기(1∼3월) 경영실적이다. 지난 5월12일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발표된 경영실적 자료에 따르면, CJ E&M 영화사업부문은 1분기 매출 309억원에 영업이익 ‘-10억원’을 기록했다. CJ E&M의 1분기 전체 매출은 1244억원. 영업이익은 61억원이다. 영화사업부문의 실적은 18억원의 이익을 낸 방송사업부문을 비롯해 게임사업부문(+124억원), 음악·공연사업부문(+12억원)의 실적과 비교할 때도 눈에 띈다. 309억원의 매출 가운데 극장 매출은 총 238억원으로 전년 대비 9.2% 감소했다. <라스트 갓파더> <마이 블랙 미니드레스> <만추> 등의 흥행부진으로 전년 대비 18%의 관객 수가 감소하면서 나타난 결과다. 반면 57억원의 매출을 올린 부가판권부문은 <아저씨> <방자전> <이끼> 등의 라이브러리 판매가 호조를 보이면서 전년
[국내뉴스] 찬바람 맞은 CJ, 여름 역주 가능할까
-
개막작 우디 알렌의 <미드나잇 인 파리>를 시작으로 64회 칸 영화제가 막을 올렸다. 시놉시스 조차 철저히 비공개를 고수했던 <미드나잇 인 파리>는 75세 감독의 여전한 사랑예찬가다. 시작부터 영화는 세느강, 에펠탑, 퐁네프, 루브르 등 상상할 수 있는 모든 파리의 명소들을 관광엽서세트처럼 늘어놓는다. 글이 좀체 잘 안 써지는 소설가는 약혼녀와 그 부모를 따라 파리에 왔다가 자신의 우상인 헤밍웨이와 F.W 피츠제럴드, 그리고 이름만 들으면 알만한 모든 예술가들을 만나는 시간여행을 하게 된다. <에브리원 세즈 아이러브 유> 이후 다시 찾은 파리. 우디 알렌은 단순히 현재의 파리 예찬이 아닌, 시간을 거슬러, 또 거슬러 올라가며 파리에 대해 가질 수 있는 온갖 판타지의 집대성을 감행한다. 전작들의 편집증적인, 심기 불편한 이야기들은 죄다 빼 버린 로맨틱코미디다. 현실을 망각한 듯한 우디 알렌의 시선에 대한 비판도 있지만, 대체적으로 평가는 양호하다. 특히
다양성을 모토로 한 세계 영화 축제, 제 64회 칸 영화제
-
-
우디 알렌의 <미드나잇 인 파리>를 시작으로 64회 칸 영화제가 막을 올렸다. 씨네21이 그 화려한 개막식 현장을 찾았다.
[화보] '화려한 개막' 제 64회 칸 영화제
-
반지의 전쟁이 시작된다. 지구 수호군단 ‘그린랜턴’은 우주의 빛이 사라지고 악의 기운으로 지구가 위협에 빠지자, 반지가 선택한 후계자로 지구인간 할 조던을 택한다. 영화는 평범한 인간 할 조던이 훈련을 통해 지구를 지킬 전사로 성장해가는 과정을 따라간다. DC사의 2011년 첫 슈퍼히어로물로 마블과 어떤 대결 양상이 펼쳐질지가 관건. <007 카지노 로얄>의 마틴 캠벨 감독이 연출하고 <엑스맨>으로 이미 슈퍼히어로물을 섭렵한 라이온 레이놀스가 영웅 할 조던을 맡는다.
[Coming soon] 반지의 전쟁이 시작된다 <그린랜턴: 반지의 선택>
-
서울아트시네마가 개관 9주년을 맞아 5월10일(화)부터 22일(일)까지 기념영화제를 연다. 수입되고 개봉되어야 마땅함에도 상업적으로 수지가 맞지 않을 거라는 핑계로 국내 수입업자들에게 외면받은, 동시대 가장 뛰어난 최신 화제작들이 즐비하다. 바벳 슈로더의 <공포의 변호사>, 스티브 매퀸의 <헝거>, 파올로 소렌티노의 <일 디보>, 코스타 가브라스의 <낙원은 서쪽이다>, 브루노 뒤몽의 <하데비치>, 페드로 코스타의 <아무것도 바꾸지 마라>, 스파이크 존즈의 <괴물들이 사는 나라>, 마뇰 드 올리베이라의 <앙젤리카의 이상한 사례>다. 특별 상영도 있다. 지난 4월9일 세상을 떠난 미국 감독 시드니 루멧을 추모하는 의미에서 그의 데뷔 초기작인 <뱀가죽 옷을 입은 사나이>와 그가 유작으로 남긴 <악마가 너의 죽음을 알기 전에>를 상영한다.
한국에는 <위험한 독신녀> &l
개봉해야 마땅한 동시대 최고 화제작들
-
마하트마 간디는 독립 인도의 거의 모든 창작영역에서 마르지 않는 소재의 샘이자 잘하면 본전이고 실패하면 살해위협이라는 ‘양날의 칼’이었다. 가장 열성적인 간디 소비주체였던 인도 영화계에 최근 또다시 그 칼을 쥐고 나타난 이가 있다. 데뷔작 <친애하는 벗 히틀러에게>(Dear Friend Hitler) 개봉을 앞둔 라제쉬 란잔 쿠마르 감독이다. 2차대전을 막기 위해 간디가 히틀러에게 썼던 두통의 편지에서 제목을 빌려온 이 영화는(실제 간디의 편지는 ‘Dear Friend’로 시작한다) 인도 개봉에 앞서 지난 2월 베를린영화제에서 상영됐고, 히틀러를 우상화하는 영화가 아니라는 평으로 호기심을 불러일으켰다. 그리고 올해 칸영화제 필름마켓에서 상영계획이 알려지면서 또다시 인도 언론의 집중조명을 받고 있다.
사람들이 이 영화에서 가장 관심을 갖는 부분은 간디의 비폭력 저항이라는 소재를 인도 안에 재현된 베를린 지하벙커에서 인도 배우가 주인공 히틀러를 맡아 풀어냈다는 점이다. 감
[델리] 인도의 독립, 히틀러에게 감사하라고?
-
자칭 영화광 A씨는 극장에서 영화를 보지 않는다. 개봉영화가 상영 종료한 뒤 조금만 기다리면 (최신영화를) 다운로드해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에 3500원씩 내고 영화를 보는 합법 다운로더냐고? 그럴 리가요, A는 반문한다. 무료인데다가 법에 걸릴 위험이 전혀 없는 신세계가 있는데, 굳이 합법 다운로드 사이트에서 기웃거릴 수고가 필요하냐고. 도대체 그 신세계가 무엇이기에? 정체는 토렌트다.
토렌트는 P2P 프로그램이다. P2P는 ‘Peer to Peer’라고, 사용자끼리 정보를 교환한다는 의미다. 토렌트는 사용자와 사용자가 정보를 교환하는 프로그램을 뜻한다. 웹하드의 경우, 사용자가 컴퓨터를 켜놓지 않아도 자신이 공유할 자료(영화, 음악, 방송 프로그램)를 이미 웹하드 사이트에 올려놓았기 때문에 다른 사용자는 언제든지 그 자료를 내려받을 수 있다. 반면 P2P는 컴퓨터를 켜놓은 사용자끼리 실시간으로 파일을 ‘주고받는’ 프로그램이다. 웹하드가 ‘(자료를 올리는) 업로더-(자료
[포커스] 저작권 잡아먹는 변종 괴물이 나타났다
-
직장을 그만두니 인생도 달라진다! 직장 생활에 위기를 느낀 중년남자 래리 크라운이 회사를 관두고 대학을 다니며 겪는 변화를 그린 코믹물. <댓 씽 유두> 이후 톰 행크스의 두 번째 장편영화 연출작으로 줄리아 로버츠가 대학 교수로 출연, 행크스와 파트너를 이룬다.
[Poster it] <래리 크라운>
-
-제임스 카메론, 피터 잭슨 등 할리우드 감독들 주문형 비디오(VOD) 시장 거부하고 나서
=“왜 관객이 최상의 형태로 영화를 관람할 기회를 막는 겁니까?” 제임스 카메론 감독의 말말말
-로버트 저메키스 <리플레이>로 복귀. 심장마비로 사망한 40대 라디오 저널리스트가 18살 소년으로 환생하는 내용
=<화성은 엄마가 필요해> 제작자로는 쫄딱 망하셨으니, 연출작으로는 부디 ‘환생’하시길.
-알 파치노, 베니스영화제 평생공로상 수상
=실베스타 스텔론, 기타노 다케시도 받았던 상이죠. 베니스영화제의 집행위원장 마르코 뮐러는 알 파치노에 대해 “자신만의 값진 경험으로 현대영화를 풍부하게 한다”고 평했네요. 이뿐이 아닙니다. 이번 베니스영화제에선 알 파치노의 세 번째 연출작 <와일드 살롬>이 프리미어 상영됩니다. 알 파치노, 경사났네요.
[댓글뉴스] 제임스 카메론, 피터 잭슨 등 VOD 시장 거부 外
-
오사마 빈 라덴. 5월1일 사망한 테러조직 알 카에다의 수장. 그리고 지금 할리우드에서 가장 뜨거운 이름. 오바마 정부가 빈 라덴의 죽음을 공식 발표한 지 일주일도 되지 않은 지금, 21세기 가장 유명한 테러리스트의 죽음과 추적 과정을 영화화하려는 제작자들의 움직임이 눈에 띈다.
가장 먼저 주목할 이는 캐스린 비글로 감독이다. 이라크전을 다룬 영화 <허트 로커>로 2009년 아카데미에서 감독상 등 6개 부문을 수상한 비글로 감독은 6개월 전부터 이미 <킬 빈 라덴>이라는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었던 것으로 알려진다. <킬 빈 라덴>은 미군이 비밀리에 진행했으나 실패한 빈 라덴 생포 작전을 소재로 하는 영화로, <허트 로커>의 작가 마크 볼이 비글로와 함께 시나리오를 맡았다. 5월1일 오사마 빈 라덴이 미국의 특수부대 네이비 실에 의해 사살됨으로써 <킬 빈 라덴>은 영화의 결말을 수정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마크 볼의 지인은 “당
[해외뉴스] 빈 라덴을 살려라!
-
◆데이브 컴퍼니, 리서치팀 연구원 모집. 통계프로그램 SPSS 활용 가능자, 사회조사분석사 자격증 소지자 우대. 5월10∼20일. 이력서, 자기소개서, 최종학력 성적증명서, 경력증명서(해당자)를 yotoma@naver.com으로 접수.
◆10회 서울LGBT영화제 자원활동가 모집. 모집부문은 관객평가단, SNS응원단, 현장자원봉사자. 5월15일까지 지원서(selff.org)를 lgbtfilm@naver.com으로 접수.
◆인디포럼 2011(7월6∼12일) 자원활동가 모집. 모집분야 행사운영팀, 프로그램팀, 홍보팀, 영상기록팀, 기술팀. 5월29일까지 지원서(http://www.indieforum.co.kr)를 indieforum@gmail.com으로 접수.
◆서울국제청소년영화캠프 참가자 모집. 만 13∼18살의 국내외 청소년 대상. 5월13일까지 www.siyff.com으로 신청.
◆60여년 전 변사가 있는 극장으로의 초대. 한국영상자료원 ‘찾아가는 영화관’ <검사
[소식] 인디포럼 2011 (7월6~12일) 자원활동가 모집 外
-
“미안하다. 사랑한다.”
5월1일 ‘JPM 2011 전주 프로젝트 프로모션(JPP)’ 시상식에서 다큐멘터리 피칭으로 SJM 문화재단 제작지원금 6천만원을 받은 홍형숙 감독은 수상 소감으로 후배 다큐멘터리 감독들부터 챙겼다. 함께 다큐멘터리를 만들어가는 동료에 대한 그만의 애정표현일 것이다. <경계도시2>(2009) 이후 2년 만에 꺼내놓은 홍형숙 감독의 신작은 <춤추는 숲>이라는 작품이다. 성미산 마을을 주제로 삼은 3부작 다큐멘터리로 홍형숙 감독이 프로듀서를, <경계도시2>의 프로듀서이자 홍형숙 감독의 남편 강석필 감독이 연출을 맡는다. “지금으로부터 11년 전, 아이가 생기면서 성미산 마을에 정착하게 됐다. 그곳에서 주민으로 살다가 5년 전부터 성미산 마을을 들여다보게 됐다. 이 작품의 두 가지 슬로건인 ‘유쾌한 결정’, ‘희망탐사 다큐멘터리’라는 말도 그냥 말장난이 아니다. 성미산 마을이 한국사회에 또 다른 모델을 제시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면서
[이 사람] 대중과 치열하게 소통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