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시 박찬욱. 정지훈과 임수정이 주연한 <싸이보그지만 괜찮아>가 박스오피스 정상에 가뿐히 올랐다. 박찬욱 감독의 <싸이보그지만 괜찮아>는 서울 74개, 전국 340개 스크린에서 개봉했고 서울 14만 4005명(이하 배급사 집계), 전국 47만 1682명의 관객을 불러모았다. 서울 66개, 전국 350개 스크린에서 관객과 조우한 다니엘 헤니·엄정화 주연의 <Mr.로빈 꼬시기>는 서울 11만 9935명, 전국 39만 672명을 동원하며 2위를 차지했다. 영진위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두 영화는 주말 동안 48만명의 관객을 동원했다. 지난주 31만명보다는 큰 폭으로 관객이 늘어났지만 11월 3주차 <해바라기>와 <디파티드>의 46만명과 비슷한 수치이기 때문에 향후 극장가의 상황을 낙관하기는 시기상조다. 상위 3편의 박스오피스 비중이 전체 60%를 차지한 점은 11월과는 달리 흥행이 개별 영화에 집중될 조짐이기 때문에 긍정적이다.
1
<싸이보그지만 괜찮아>, 비수기 속 흥행 정상
-
영화관은 만원도 안 되는 돈으로 가보지 못한 세상에 데려다주고, 현실에서는 해볼 수 없는 감정과 사건을 체험하게 해주는, 현대사회에서 우리가 가장 저렴한 가격으로 예술적 경험을 즐길 수 문화적 공간이다. 그런데 영화는 소비되는 지점에서는 서민과 가장 가까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생산되는 수준에서는 가장 멀리 있는 것처럼 보인다. 다시 말하면 영화는 소비의 측면에서는 복제 예술이라는 점 때문에 가장 많은 대중과 만날 수 있는 통로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생산의 측면에서는 일단 제작되는 과정에서는 상당한 비용이 투자되어야 하고 더 많은 대중과 만나기 위해 실제에서 불가능한 꿈 혹은 달콤한 환상을 제공해야 하기에 대중의 현실과 멀리 떨어진 곳을 스크린 위에 담는다. 그래서 현실에 밀착된 우리의 삶을 담아내려는 감독들을 만나게 되면 오히려 반가운 마음이 들 지경이다. <황혼의 빛>의 아키 카우리스마키도 그런 감독의 명단에 빠져서는 안 될 이름이다.
켄 로치가 하층민의 삶을 사회운
인생의 고독과 비애 <황혼의 빛>
-
[정훈이 만화] <싸이보그지만 괜찮아> 전화 받으세요~
[정훈이 만화] <싸이보그지만 괜찮아> 전화 받으세요~
-
엄정화의 <씨네 21> 표지 촬영 현장과 현재 상영중인 <Mr. 로빈 꼬시기>에 관한 인터뷰 영상입니다.
영상 중간에 배우가 직접 내는 돌발퀴즈가 있습니다.
재미있는 퀴즈도 풀고 배우가 주는 선물도 받아가세요.
정답은 2006년 12월 17일까지 댓글로 달아주시면 됩니다.
당첨자는 커뮤니티 '씨네21 소식'에서 확인해 주세요
동영상을 보시려면<동영상 보기> 버튼을 눌러 주십시오.
▶언니가 왔다, <Mr.로빈 꼬시기>의 엄정화 인터뷰 기사 보기
[커버 스토리]
-
-
마야 문명을 소재로 한 멜 깁슨의 연출작 <아포칼립토>가 1위로 개봉했다. 잠정 집계된 결과에 따르면 <아포칼립토>가 주말 3일 동안 벌어들인 수입은 1420만 달러로, 멜 깁슨의 전작 <패션 오브 크라이스트>의 데뷔 성적인 8400만 달러와 비교하면 조촐하다. 사람의 목을 베고, 가슴을 열어 심장을 꺼내는 등의 잔인한 장면이 많아 R등급(17세 미만 관람불가)을 받았으며, 멜 깁슨의 유태인 비하 발언, 음주 운전 등으로 물의를 빚어 <아포칼립토>가 흥행할 수 있을 지에 대한 의문이 많았으나 이 같은 사건들이 오히려 영화의 마케팅에는 득이 됐다는 후문이다.
2위는 <왓 위민 원트> <사랑할 때 버려야 할 아까운 것들>의 낸시 메이어스 감독의 크리스마스 로맨틱 코미디 <로맨틱 홀리데이>다. 카메론 디아즈, 주드 로, 케이트 윈슬렛, 잭 블랙이 출연하며, 미국과 영국에서 각각 실연으로 상처 받은 두 여자가 크
말 많던 멜 깁슨의 <아포칼립토> 1위로 개봉
-
[헌즈다이어리] <싸이보그지만 괜찮아> 임수정, 매력있는 배우였군요!
[헌즈다이어리] <싸이보그지만 괜찮아> 임수정, 매력있는 배우였군요!
-
<데스노트>의 천재 탐정 엘(L)을 주인공으로 하는 스핀오프가 제작된다. 엘은 사신이 떨어뜨린 데스노트를 주워 스스로의 정의를 실현하려는 천재 법대생 라이토와 대결하는 또 한명의 천재로 마쓰야마 겐이치가 영화 속에서 엘 역을 연기했다. 원작에는 없는 이야기로 제작되는 이 스핀오프는 엘이 주인공이라는 것 외에는 정해진 바 없으며 2008년 개봉예정이다.
<데스노트> 스핀오프 제작
-
꽃들이 수놓인 붉은 들판에 하얀 사거리가 뚫렸다. 작지만 또렷한 남녀 한쌍이 그 길 위에서 서로를 응시한다. 한발 앞선 여자에 비해 뒤로 물러난 남자는 한층 더 고민스러운 듯하다. 검은 옷으로 몸을 감싼 두 사람은 어떤 사연을 지녔기에 이토록 아련한 느낌일까. 제11회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최고의 영화 포스터로 선정된 <포도나무를 베어라> 포스터는 화가 이수동씨 작품. KBS 드라마 <가을동화>에서 윤준서(송승헌)가 그린 그림의 원제작자이기도 한 그는 마음을 위로하는 따뜻하고 포근한 화폭으로 유명하다. 일산에 위치한 작업실을 찾아 <포도나무를 베어라> 해외 영화제용 포스터를 준비하는 그를 만났다.
<포도나무를 베어라> 포스터를 그리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
알고 지내는 미술부 기자가 민병훈 감독과의 연결 고리였다. 사실 그림을 통해 대중에게 다가가는 방법은 매우 다양한데 그런 작업을 늘 염두에 두고 있었다. 게다가 그냥 살면서 영화감독 만
[스팟] <포도나무를 베어라>의 포스터 그린 화가 이수동
-
대니 드 비토가 지난 11월29일 아침, TV토크쇼 <The View>에서 사고를 쳤다. 전날 조지 클루니와 함께 파티를 가진 뒤 술이 깰 시간도 없이 쇼에 출연한 것이다. 드 비토는 이날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에게 폭언을 퍼부었지만, 진행자인 로지 오도넬과 조이 베하는 드 비토의 행동에 당황한 나머지 속수무책으로 지켜볼 수밖에 없었다. 드 비토는 부시를 원숭이, 기형아로 묘사하면서 최근 민주당이 선거에서 승리한 것을 두고 골려대기까지 했다고. 한편 함께 술을 마신 조지 클루니는 전날 파티에 대해 “야만적인 밤이었다”고 논평했다.
술과 함께 야만의 쇼?
-
10년의 사랑, 짝패를 이루다. <아라한 장풍대작전> <짝패>의 영화배우 안길강이 10년 연인 김은주씨와 지난 12월3일 서울 삼성동 웨딩의전당에서 결혼식을 올렸다. 영화배우 공형진의 사회로 진행된 이날 결혼식에는 지진희, 황정민, 오광록 등의 동료 영화배우와 드라마 <무적의 낙하산요원>에 함께 출연했던 에릭, 한지민 등이 참석하여 마흔살 노총각의 새 출발을 축하했다. 현재 출연 중인 영화 <식객> 때문에 신혼여행을 내년으로 미룬 안길강은 이날 “신부가 현재 임신 4개월”이라는 사실을 고백하기도 했다.
노총각의 뒤늦은 새 출발
-
미국인 기네스 팰트로의 ‘미국 폄하 발언’으로 온 미국이 분노에 휩싸였다. LA 출신인 그가 지난주 한 포르투갈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나는 미국식 사고방식과 별로 맞지 않다. 영국인은 미국인보다 훨씬 더 교양있고 지적이다. 나는 영국식 삶의 방식을 사랑한다”고 말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심한 반발을 사고 있다. 격분한 한 미국인은 방송국에 전화를 걸어 “정말 그렇게 생각한다면 미국인 하지 마라”라고 일갈했다는데, 이미 영국인으로서의 삶을 즐기고 있는 팰트로에겐 하나 마나한 얘기가 아닐까?
미국보다 영국!
-
일본 열도도 그의 제대를 애타게 기다렸다. 12월12일 열리는 송승헌의 첫 일본 팬미팅이 2천 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 행사는 <후지TV>의 대형 겨울 이벤트 ‘HOT 판타지 오다이바 2006∼2007’의 일환으로 <가을동화> <여름향기> 등의 스틸사진과 소품, 의상 전시회도 마련된다. 한편 11월17일 서울에선 그의 군생활 사진과 군복, 식기 등을 전시하는 <송승헌 미공개 사진 소품전>이 열렸다가 빈축만 사고 철수됐다. 소속사의 변에 따르면 해외 팬들에게 그의 군생활을 알려주기 위한 행사였다던데, 이 참에 일본에서 다시 추진해보는 게 어떨까?
송승헌, 일본 열도를 달구다
-
할리우드 여성 영화인의 최강자는 누구일까. 매년 ‘미국 연예계 여성 파워 100인’(Women in Entertainment Power 100)을 선정하는 <할리우드 리포터>의 2006년 리스트에서 1위는 소니픽처스영화그룹의 회장이자 소니픽처스엔터테인먼트의 공동회장인 에이미 파스칼이 차지했다. 지난 2003년 소니픽처스 부사장 시절에도 1위를 차지했던 그는 올해 <핑크 팬더> <다빈치 코드> 등 12편의 영화를 주말 박스오피스 1위로 개봉시키며 북미시장에서만 10억달러의 수입을 올렸다. 덕분에 지난해 메이저 스튜디오 중 8위에 머물며 고전을 면치 못했던 소니픽처스의 내부 분위기도 180도 달라졌다는 후문. 이에 대해 에이미 파스칼은 “우리는 좋은 영화를 골랐을 뿐”이라며 “지금이 끝일지 모른다고 생각한다. 앞으로 더 나은 선택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소감을 전했다.
하포 인코퍼레이션 및 하포 프로덕션의 사장인 오프라 윈프리는 지난해보다 한 단계
미스 넘버 원!
-
<판의 미로: 오필리아와 세개의 열쇠> <블레이드2>의 기예르모 델 토로 감독이 차기작으로 DC코믹스의 <데드맨>을 낙점했다. <데드맨>은 서커스 곡예 중 살해당한 남자의 영혼이 살아 있는 생명체에 빙의할 수 있는 능력을 이용해 자신을 죽인 범인이 누구인지 추적하고, 그렇게 하는 과정에서 무고한 생명도 구하는 이야기다. 델 토로 감독은 <좀비 웨스턴>의 게리 도버만과 함께 각본 작업 중이다.
기예르모 델 토로 차기작, DC코믹스의 <데드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