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기술은 항상 젊은이들의 장난감이 되어왔다. 십대들은 30대나 40대는 절대로 따라할 수 없을 방식으로 휴대폰을 사용한다. 세계에서 가장 숙련된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은 모두 20대들인 듯하다. 올해 처음 발매되는 아이폰을 사기 위해 줄을 섰던 사람들 가운데 60대나 70대는 아마 거의 없었을 것이다.
영화제작기술 분야에서는 지난 5~6년 사이에 DI(디지털 보정·Digital Intermediate)나 좀더 향상된 시각효과 등 여러 가지 새로운 기술들의 상용화가 가능해졌다. 그러나 내가 볼 때 주류 한국영화의 신기술 중 가장 흥미로운 것은 HD기술이다. 기술 그 자체가 특별히 혁신적이어서가 아니다. 사실 HD기술은 이전의 디지털비디오 양식을 개선한 것에 불과하다. 그러나 HD기술은 영화제작자들에게 새로운 제작환경을 열어줬다.
신기술의 활용은 일정 정도 경제적인 문제와 연관돼 있다. HD로는 35mm필름으로 찍는 것보다 훨씬 적은 돈으로 매우 좋은 화면을 만들어낼 수 있다. 저
[외신기자클럽] 중견들을 위한 젊은 기술
-
할리우드가 다시 웨스턴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지난 90년대 초 케빈 코스트너 감독의 <늑대와 춤을>과 클린트 이스트우드 감독의 <용서받지 못한 자> 등 이후 간간이 명맥을 유지해오던 서부극과 변종 서부극 장르가 최근 다시 붐을 일으키고 있다. 지난 시즌 종영된 <HBO>의 오리지널 시리즈 <데드우드>의 영향을 받아 증가한 서부극에 대한 관심은 할리우드 영화제작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장르의 특성을 살린 작품성있는 영화들이 속속 개봉돼 영화팬들의 눈길을 끌고 있는 것이다.
1957년 동명작을 리메이크한 제임스 맨골드 감독의 <3:10 투 유마>를 선두로, 앤드루 도미닉 감독의 <제시 제임스의 암살>, 폴 토머스 앤더슨 감독의 <데어 윌 비 블러드> 등의 정통 서부극으로 연이어 극장가를 찾고 있는 가운데 서부극 변종으로 볼 수 있는 코언 형제 감독의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와 숀 펜 감독의 &l
[뉴욕] 고 웨스트 어게인!
-
국내 극장업계 1, 2위인 CJ CGV와 롯데시네마가 최근 ‘디지털 시네마 합작회사’를 설립키로 한 것과 관련해 영화계 안팎이 술렁이고 있다. 필름으로 영화를 제작해 배급, 상영하는 것과 비교하면 획기적인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는 디지털 시네마. 할리우드와 유럽을 중심으로 디지털 시네마 열풍이 거세게 불고 있음을 감안해 서둘러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인 평가도 있지만, 전체적인 협의없이 일부 업체들이 단독적으로 진행하는 사업이 이후 가져올 폐해에 대한 우려 또한 만만치 않다. 디지털 시네마를 둘러싼 충무로의 논란들을 살펴봤다.
11월8일 CGV와 롯데시네마는 각각 50%씩 출자해 디시네마 코리아를 만들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디시네마 코리아는 “국내 영화관을 대상으로 디지털 영사시스템을 보급한다”는 목적의 회사다. CGV 관계자는 “디지털 시네마 사업은 그동안 추진 필요성에 다들 공감하면서도 주체가 없어 지지부진했다”고 말하고 “디시네마 코리아를 통해 영사기를 현 장비
[쟁점] 디지털 시네마로 가는 길, 같이 갈까? 먼저 갈까?
-
발리우드 위세에 할리우드 움찔
발리우드영화 2편에 대한 호응이 인도 안팎으로 이어졌다. 소니픽처스의 <사와리야>와 1970년대 영화를 리메이크한 <옴 샨티 옴>이 그 주인공. <사와리야>는 13개 국가에서 1540만달러, <옴 샨티 옴>은 인도에서 1700만달러의 수입을 기록했다. <버라이어티>는 같은 날 개봉한 <로스트 라이언즈>의 성적과 견주어 “발리우드가 톰 크루즈의 스포트라이트를 빼앗았다”고 표현했다. <로스트 라이언즈>는 45개 국가에서 1030만달러를 벌어들이는 데 그쳤다.
아카데미, 애니메이션 부문 출품작
2008년 아카데미가 애니메이션 부문 출품작 12편을 발표했다. 이 리스트에는 <꿀벌 대소동> <라따뚜이> <슈렉3> 등 블록버스터급 애니메이션들이 포함됐고, 개봉을 앞둔 <앨빈과 슈퍼밴드> <베오울프> <페르세폴리스> 등이
[해외단신] 발리우드 위세에 할리우드 움찔 外
-
-
영국영화의 상업적 르네상스가 오려나. 오랫동안 영국영화가 시장에서 재기할 가능성이란 대처 총리가 노동운동에 뛰어들 가능성에 가까웠다. 그러나 2007년은 영국영화가 오랜 침잠기를 벗어나 수면으로 상승할 가능성을 보여준 해로 평가받을 듯하다. 현재까지 영국영화 자국점유율은 무려 27%에 달하고 있으며 이는 전년도의 19%에서 8%나 증가한 수치다. 특히 <해리 포터와 불사조 기사단> <뜨거운 녀석들> <미스 포터>와 <속죄>의 성공이 자국영화 점유율 상승에 단단히 한몫을 했고, 올해 박스오피스 상위 20위권에 오른 영국(혹은 합작)영화들은 무려 16편에 달한다. 지난해의 3편에 비하면 기하급수적으로 상승한 결과다.
전문가들은 기념비적인 자국영화 점유율 상승을 ‘전반적인 박스오피스 규모의 확장’과 ‘다양한 장르를 자랑하는 영국영화들의 등장’이 불러일으킨 동반효과로 풀이한다. 전체 박스오피스의 규모가 올해 유독 상승한 구체적인 이유는 3가지다
[What's Up] 영국영화의 박스오피스 습격사건
-
디지털 시네마의 시대를 맞이하라. 영국의 영화산업 전문 조사기관 도도나 리서치는 11월12일 발표한 ‘디지털 시네마 리포트’를 통해 2013년에는 전세계 스크린의 절반이 디지털 시네마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리포트는 또 2013년에는 디지털 시네마의 시장규모가 80억달러를 넘어설 것이며, 현재 15억달러에 이르는 영화 프린트 시장은 결국 소멸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2007년 9월을 기준으로 35mm프로젝터 대신 디지털 영사 시스템을 갖춘 스크린은 총 4627개로, 이는 전세계 스크린의 5%에 이르는 수치다.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미국으로, 전세계 디지털 시네마의 78%를 차지하고 있으며, 영국과 한국이 2위와 3위로 그 뒤를 잇고 있는 상태다.
디지털 시네마의 최근 상승세를 견인한 것은 이른바 ‘인테그레이터’(integrator)로 불리는 새로운 사업자들의 등장. 이들은 주로 장비 구입 등 디지털 시네마로의 전환에 들어가는 막대한 비용을 부담하는 대신
10년 내, 디지털 시네마 시대 열린다
-
3D로 스크린에 되살아난 고대 영웅담 <베오울프>가 개봉 첫주 박스오피스 정상에 올랐다. 애니메이션이다, 아니다로 논란을 빚은 로버트 저메키스 감독의 <베오울프>는 개봉 첫날인 금요일 800만달러의 수입을 올렸으며, 첫 주말 성적은 2810만달러인 것으로 집계됐다. 레이 윈스턴, 안젤리나 졸리, 안소니 홉킨스 등의 배우들이 퍼포먼스 캡쳐 방식 촬영에 이어 목소리 연기에도 참여해 3D로 창조된 세계의 리얼리티를 높였다. <베오울프>는 총 3153개 스크린에서 상영됐으며, 이 중 리얼D 시스템을 장착한 684개 디지털3D 상영관과 84개 아이맥스 스크린을 포함한 740개 스크린에서 3D로 상영됐다. 제작사 파라마운트는 <베오울프> 개봉수입의 40%를 디지털3D 상영관에서 거둬들였다고 발표했다. 할리우드 스튜디오들은 3D 영상이 일반 상영관보다 비싼 티켓요금을 부과했음에도 상당한 관객을 동원했다는 사실을 준비하고 있는 3D 영화에 대한 청신호로
3D 애니메이션 <베오울프>, 북미 박스오피스 1위
-
[헌즈다이어리] <베오울프> 머지않아 이런 날이 올지도?
[헌즈다이어리] <베오울프> 머지않아 이런 날이 올지도?
-
<은하해방전선>은 영화만들기에 관한 자기반영적 메타영화이자, 연애의 실패와 새만남을 그린 멜로영화이다. 화법은 지극히 발랄하고, 좌파 청년이 내뿜는 정치적 독설과 풍자는 몹시 예리하다. 영화는 76년생 감독의 예술과 정치와 연애에 관한 자의식을 오롯이 담고있다. 마치 영화 속 '복화술'처럼 감독은 자신의 말을 배우 임지규를 통하여 하는 중이며, 감독은 말 많은 자신과 자기 영화를 반성하면서, 언어화되지 않는 소중한 느낌들을 수화를 비롯한 몸의 운동방식으로 전달하고 싶어한다. (그러니 이 영화도 '소통'에 관한 영화라 할 수 있겠다만, 영화는 이러한 진부한 해석을 온몸으로 거부한다*^^*) 이 영화 최대의 매력은 신선도 100%의 유머이다. (정치적 코드가 맞으면 시종 깔깔거리며 볼 수 있다.) 개인적으로 이 영화를 본 최대의 수확은 소위 386세대들이 근심해 마지 않는 '88만원 세대' 의 가능성을 본 것이다. 그들은 비정치적이고 파편화되어있는 듯이 보이지만, 자신의 입으
[전문가 100자평] <은하해방전선>
-
지난 11월 8일에 있었던 영화 <열한번째 엄마> 제작 보고회 현장 영상입니다.
영화 <열한 번째 엄마>는 단 한 번도 사랑해 본 적도, 사랑 받은 적도 없는
여자가 재수의 열한 번째 엄마가 되면서 서로의 마음을 알아가며, 사랑을
느껴가는 과정을 그린 휴먼 드라마.
지금까지의 연기와는 달리 감성연기로 연기변신한 배우 김혜수와
계산하지 않는 순수 그 자체로의 순수함을 지닌 김영찬군이 이날 현장에 함께 했다.
김영찬군의 순수 할 수 밖에 없는 이야기와 배우 김혜수가 말하는 <열한번째 엄마>의
비하인드 스토리가 담겨 있습니다.
감동과 웃음으로 함께 했던 <열한번째 엄마>의 제작 보고회 현장 영상을보시려면
'동영상 보기'버튼을 클릭해주세요.
함부로 눈물 흘릴 수 없는 감동 <열한번째 엄마> 제작보고회 현장
-
한 주간에 개봉되는 영화를 엄선하여 관객들에게 질문하는 [개봉작 출구조사]
이번 주에는 11월 15일에 개봉한 <세븐데이즈><베오울프>를 보신 관객분들에게 솔직담백한 영화평을 들어 봤습니다.
동영상을 보시려면 ‘동영상보기’ 버튼을 눌러주세요.
[출구조사] <세븐데이즈>, <베오울프>
-
팀 버튼이 들여다 본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는 어떤 세계일까? <버라이어티> <로이터>는 11월15일자 인터넷 기사로, 팀 버튼 감독이 디즈니가 제작하는 3D 영화 2편의 감독을 맡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루이스 캐럴의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이하 <앨리스>)와 팀 버튼이 1984년 발표한 <프랑켄위니>가 그 두편으로, <앨리스>는 로버트 저메키스 감독의 최근작인 <베오울프>가 선보인 퍼포먼스 캡쳐 방식으로 촬영해 3D로 상영될 예정이다. 현재 팀 버튼은 조니 뎁이 출연한 <스위니 토드>의 개봉을 한 달 앞두고 후반 작업 중이며, <앨리스>는 2008년 초부터 촬영에 들어갈 예정이다. 죽은 애완견을 전기충격을 되살려낸다는 이야기인 <프랑켄위니>는 <앨리스>의 촬영이 끝나는 대로 크랭크인하며 스톱모션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어져 디지털 3D로 상영할 계획이다.
팀 버튼,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3D로 영화화
-
위노나 라이더
위노나 라이더가 <스타트렉>에 뒤늦게 합류했다. 유명 SF시리즈 <스타트렉>의 11번째 작품인 이 영화에서 라이더가 연기할 인물은 스포크의 어머니. 일부 팬들은 그녀가 불칸인으로 설정됐다는 소식에 감독인 J. J. 에이브럼스가 원작을 잘못 해석했다며 설전을 벌이고 있다. 엔터프라이즈호 대원들의 젊은 시절을 다룰 이 영화에는 존 조, 재커리 퀸토, 크리스 핀, 사이먼 페그, 에릭 바나 등이 캐스팅됐다.
조시 하트넷, 샘 록웰
조시 하트넷(사진)과 샘 록웰이 돈 드릴로의 72년작 소설 <엔드 존>을 영화화하는 작품에 캐스팅됐다. 영화는 핵전쟁에 대한 강박에 사로잡힌 대학 미식축구 선수의 이야기로, 조시 하트넷이 문제의 축구선수를, 록웰이 다혈질의 학교 관계자를 연기한다. <조슈아>(2007)로 선댄스영화제에서 호평받은 바 있는 조지 래틀리프 감독이 각본과 연출을 맡는다.
고아라
고아라의 발레리나 변신?! 고아라가 한·일
[캐스팅] 위노나 라이더 外
-
<씨네21>은 한국영상자료원과 함께 내년 5월 영상자료원 내에 문을 열 한국영화박물관을 위한 영화인들의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하며 전시품 기증 캠페인을 벌입니다. 12번째 기증품은 국군홍보관리소에서 기증한 안양촬영소의 파르보 카메라입니다.
해방 이후 한국영화는 서울을 중심으로 한 급격한 도시화와 대중문화의 약진 속에 산업으로서의 자의식과 대중오락으로서 스스로의 지위를 적극적으로 형성해갔다. 이른바 ‘충무로 시대’를 열기 시작한 당시 한국영화는 수많은 히트작과 스타를 양산하며 성장가도를 달려갔다. 하지만 그 뜨거운 의욕에도 불구하고 카메라 같은 고가의 기자재나 필름 등 영화의 제작여건은 여전히 어려웠던 시대이기도 했다. 1908년 프랑스 데브리사가 만든 파르보 카메라는 35mm 아이모 카메라와 함께 해방 이후 중요하게 사용하던 카메라였다. 사각형의 커다란 나무 박스로 만들어진 투박한 외양에서 느껴지듯 파르보는 사용에 불편함이 많았지만 워낙 카메라가 귀했던 시대였으므로 그
[한국영화박물관 전시품 기증 릴레이 12] 파르보 카메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