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ofile
뮤지컬 <파리의 연인> <헤어 스프레이>(2012) <스트릿 라이프> <넥스트 투 노멀>(2011) <엣지>(2010) <스프링 어웨이크닝>(2009) <오즈의 마법사>(2008) <찰리 브라운>(2005)
엄마를 졸랐다. 학교 가는 길 빵집 옆에 붙은 벽보에서 <레 미제라블> 오리지널 공연팀이 한국 소녀 한명에게 코제트 역할을 맡긴다는 오디션 소식을 본 꼬마 오소연은 그렇게 엄마를 졸랐다. 서울 가자고. “학예회라는 학예회는 전부 주름잡았고, 요즘 나오는 꼬마 트로트 신동들과는 비교도 안될 만큼 더 잘 불렀다”는 천안의 명물 오소연을 데리고 엄마는 정말 서울에 왔다. 한국말로 불러도 되고 영어로 불러도 된다고 했지만 영어로 불러야 더 폼이 날 것 같아 밤새 영어 가사를 외웠는데 잘되지 않았다. 그렇게 울다 잠들었는데, 웬걸, 아침에 가사들이 머릿속에 있었다. 되려는
들장미 소녀, 오소연
-
Profile
뮤지컬 <몬테크리스토> <모차르트!>(2010) <로미오 앤 줄리엣>(2009) <햄릿>(2007~2008) <지킬 앤 하이드>(2006)
연극 <엘리자벳>(2012) <거미여인의 키스>(2011)
인터뷰에 응하고 있는 뮤지컬 배우 김승대를 보다가 이런 그림이 떠올랐다. 뮤지컬 팬들은 잘 알지만 영화 팬들은 잘 모르는 배우 김승대를 소개하기 위해 ‘배우인생극장 김승대 편’을 찍는다고 치자. 김승대가 직접 주연, 연출을 모두 맡는다. 이내 배우 김승대에게 연출 김승대가 다그치기 시작한다. 맡은 캐릭터에 대해 좀더 열심히 분석하고, 좀더 많이 연습하고, 좀더 창의적으로 표현하라고. 고민과 논쟁과 촬영은 쉬지 않고 계속된다. 그 풍경에서 몇 가지가 포착된다. 하나는 ‘비극’에 매혹된 배우의 모습이고, 다음은 본인을 가혹하게 몰아세우는 연출이고, 마지막은 그 창작의 과정을 지속시키는 어떤 비상한
냉정과 열정 사이, 김승대
-
Profile
뮤지컬 <모차르트 오페라 락> <풍월주> <번지점프를 하다>(2012) <넌 가끔 내 생각을 하지 난 가끔 딴 생각을 해>(2011) <엣지스>(2010) <살인마 잭>(2009) <제너두>(2008) <풋루스>(2005)
최유하는 인터뷰 전날 <풍월주> 주말 2회 공연을 가졌다. “감정적인 소모가 커 진이 빠지는 공연”이었다고 전날의 무대를 회상한 그녀는 1회 공연을 마치고 2회 공연을 준비하며 피로회복제를 벌컥벌컥 들이켰다고 한다. 어디 피로회복제뿐인가. 홍삼, 배즙, 오미자차, 비타민, 글루코사민, 오메가3 등을 매일 배부르게 먹어댄다. 특히 올해는 무대에 서지 않는 날엔 연습실에서 땀을 흘려야 하는 날의 연속이었다. <모차르트 오페라 락>이 끝나자마자 <풍월주>에 돌입했고, <풍월주>가 끝나면 곧 <번지점프를 하다>로
청초한 감성, 최유하
-
Profile
뮤지컬 <번지점프를 하다> <닥터 지바고>(2012) <엣지스> <틱틱붐> <내 마음의 풍금>(2010) <쓰릴미> <김종욱 찾기!>(2009) <나인> <나쁜녀석들> <씨왓아이워너씨>(2008) <쓰릴미> <지저스 크라이스트 슈퍼스타>(2007) <브루클린>(2006) <유린타운> <갓스펠>2005)
연극 <레드>(2011) <레인맨>(2010)
<내 마음의 풍금>에 이어 준비 중인 <번지점프를 하다>까지. 강필석의 필모그래피 중 두편의 원작이 이병헌 출연작이다. “덕분에 뮤지컬계의 이병헌이란 기사가 났더라고요. (웃음)” 이병헌의 장점이야 워낙 많지만, 그는 강필석이 연기하는 ‘인우’를 창조해야 한다. 7월14일 공연까지는 한달도 채 남지 않았고, 인우는 매
검거나 희거나, 강필석
-
-
Profile
뮤지컬 <엘리자벳>(2012) <피맛골 연가>(2010) <모차르트!>(2010) <햄릿>(2008) <노트르담 드 파리>(2007) <사랑은 비를 타고>(2007) <라이온킹>(2006)
연극 <거미여인의 키스>(2011)
한달 월급을 뮤지컬 관람에 고스란히 쏟아붓는 지인에게 물었다. 박은태는 어떤 배우냐고. “그가 무대에 올라서는 순간부터 그밖에 안 보인다”는 대답이 돌아왔다. 뮤지컬 <엘리자벳>을 보고서야 그 말을 실감했다. 오스트리아의 왕후를 암살한 죄로 100년 동안 목이 매달린 채 재판받는 무정부주의자. 우유가 없어 고통받는 민중에게 우유 목욕을 하는 왕후의 일화를 들려주며 “그녀를 내쫓아”라고 속삭이는 선동가. <엘리자벳>의 루케니는 광기와 매혹을 동시에 지녀야 하는 인물이다. 박은태의 루케니는 강렬한 제스처와 폭발적인 고음으로 무대를 완전히 압
단단한 유리성, 박은태
-
요즘 부쩍 뮤지컬 무대에서 스포트라이트를 받다가 카메라 앞에 선 배우들을 자주 보게 된다. ‘납뜩이’ 조정석과 김무열, 주원이 대표적이다. 춤과 노래와 연기에 모두 능한 배우들을 더 다양한 채널에서 만날 수 있게 된 것은 분명 관객의 입장에서 반가운 일이다. 그래서 뮤지컬계로 시선을 뻗쳐보았다. 최근 몇년간 한국 뮤지컬계에 신선한 바람을 몰고 온 7명의 얼굴을 찾아나섰다. 그래서 불러온 이름이 강필석, 김승대, 박은태, 성두섭, 오소연, 조강현, 최유하다. 될성부른 나무는 떡잎부터 다르다고 했던가. 이들의 성장사 혹은 데뷔 과정은 하나같이 흥미롭다. 대부분은 뮤지컬이라는 한우물만 성실히 파온 배우들이지만 언제 이들을 스크린에서 만나게 될지 모를 일이다. 그러니 지금부터 뮤지컬계의 블루칩들의 얘기에 집중하시라.
제2의 납뜩이를 찾으세요?
-
같은 맨션에 사는 연쇄살인마와 살해당한 소녀. 그리고 그를 의심하는 이웃사람들 간에 일어나는 사건을 긴장감 있게 펼쳐 보일 영화 '이웃사람'은 2012년 여름 개봉 예정이다.
[김윤진] "김새론 연기, 질투 났다"
-
미쓰GO는 최악의 대인기피증에 시달리는 소심한 여인 '천수로'(고현정)가 우연히 범죄 조직 간의 사건에 휘말리게 되고, 그 과정에서 다섯 남자를 만나 상상도 못한 범죄의 여왕으로 거듭나는 과정을 그린 영화로 오는 6월 21일 개봉.
[영상인터뷰] 미쓰GO ‘고현정’
-
<아메리칸 뷰티>로 오스카 각본상을 수상한 작가이고, <HBO>에서 크리에이터이자 작가로
<식스 핏 언더>와 <트루 블러드>를 만든 앨런 볼은, 이 시대의 TV시리즈 크리에이터를 꼽을 때 빠질 수 없는 이름이다. 크리에이터로 참여한 TV시리즈 두편이 모두 크게 성공한 덕분이다.
<트루 블러드>처럼 따로 원작이 있는 경우라면 크리에이터 대신에 디벨로퍼라고 부르기도 한다. 원작자에게 창작의 공을 돌리는 의도에서이다. 하지만 원작 소설인 샬린 해리스의 <남부 뱀파이어 미스터리> 시리즈를 읽은 사람이라면 <트루 블러드>가 전혀 다른 생명체라는 것, 그렇기에 앨런 볼이 크리에이터라는 직함을 받을 자격이 있다는 생각에 동의할 것이다. 1인칭 시점에서 전개된 소설을 TV 각본에 적합하도록 각색했음은 물론, 주요 캐릭터마다 각각의 역사를 만들어주었다. 줄거리는 원작에 충실하지만 특히 캐스팅에 공을 많이 들였다. 주연배우 대
[안현진의 미드 크리에이터 열전] 소수자의 목소리를 드러내다
-
“…그래서, 최다니엘이 소지섭이 됐어.” 뭐, 뭐라고? 또다시 한날한시에 쏟아진 수목드라마 2차전, 몸이 하나인 탓에 모든 드라마를 본방 사수하는 것은 애당초 불가능한 미션이었지만, 첫주부터 이렇게 중대한 스포일러를 당하게 될 줄은 몰랐다. 심지어 폭발 사고 현장에서 전신화상을 입은 박기영(최다니엘)이 죽은 김우현(소지섭)의 위조한 신분증을 소지하고 있었던 바람에 성형수술과 성대복원술을 통해 외적으로 거의 완벽한 김우현이 되다니! 이것은 화상을 완벽하게 커버하는 파운데이션을 개발해 자신의 실체를 숨겼던 SBS <아내의 유혹>의 구은재(장서희)도 다다르지 못했던 경지 아닌가. SBS <싸인>을 집필한 김은희 작가의 신작이라는 소식에 마음의 준비를 하고는 있었지만 초장부터 페이스오프라는 과감한 수를 던지다니, 더이상 뒤처질 수는 없었다. 아, SBS <유령> 얘기다.
천재 해커와 강직한 경찰, 사이버 범죄라는 분야로 옮겨졌을 뿐 그다지 새로울 것은 없
[최지은의 TVIEW] 우리가 사는 이 세상
-
<시체가 돌아왔다>는 경쾌한 코미디 활극이다. <록스탁 앤 투 스모킹 배럴즈> 같은 가이 리치 스타일이 매력적인데, 딱딱 맞아떨어지다가 뒤집어지는 반전의 쾌감은 덜하지만 시작과 함께 흩어진 사연들이 클라이맥스를 향해 집중되는 과정은 흥미진진하다. 여기에 활력을 더하는 건 델리스파이스의 윤준호가 감독한 사운드트랙이다. 키보디스트 고경천과 함께 갤럭시 익스프레스, 킹스턴 루디스카, 무중력소년 등이 참여한 영화음악은 스카, 일렉트로니카, 로큰롤을 넘나들며 장르적 쾌감을 선사한다.
메인과 엔딩 테마가 스카 펑크의 그루브를 재현한다면 영화 틈틈이 짤막하게 등장하는 건 사이키델릭, 컨트리 블루스, 스카펑크의 장르적 사운드다. 만돌린과 와와페달 등을 활용한 독특한 소리도 인상적이다. 전체적인 분위기와 어긋나지 않으면서 영화와 음악 모두의 장르적 관습에 충실하다. 서부극 같은 긴장감이나 슬랩스틱 코미디의 유머가 잘 살아난 것도 그 때문이다. 요컨대 장르영화에 꼭 맞는 사운
[차우진의 귀를 기울이면] 긴장감과 유머가 넘실
-
“예수는 우리의 죄를 대신 속죄하기 위해 죽었다는데 우리의 죄란 무엇인가?” 고(故) 이병철 회장이 타계하기 전에 남겼다는 24개의 종교적 물음 중의 하나다. 차동엽 신부는 이 물음에 이렇게 답한다. “‘죄’는 히브리어로 ‘하타’(hata), 그리스어로 ‘하마르티아’(hamartia)다. ‘과녁을 빗나간 상태’란 뜻이다. 과녁이 뭔가. 기준이다. 어떠한 기준을 벗어난 상태가 죄라는 얘기다. 우주에 깃든 섭리, 그런 섬세한 질서에서 벗어나는 것이 죄다.”
과녁을 빗나가다
최 신부의 말대로 그리스어 ‘하마르티아’는 ‘과녁을 빗나가다’(hamartanein)라는 말에서 유래한다. 신약에서 이 말이 ‘죄’라는 뜻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게 흥미롭다. 고전기의 그리스에서는 ‘하마르티아’가 ‘단순한 실수’를 가리키는 데 쓰였다. 사실 과녁을 맞히지 못한 것은 ‘죄’(sin)보다는 ‘실수’(error)에 가깝지 않은가? 그러던 것이 헬레니즘 시대에 들어와 ‘죄’를 가리키는 도덕적 어휘로 전의(
[진중권의 미학 에세이] 인간이 불행해지는 두 가지 방식
-
몇년 만에 노래방에 가서 특유의 공기를 마시고 왔다. 거긴 참으로 묘한 곳이다. 노래방에 처음 갔던 때가 생각난다. 방방곡곡(房房曲曲), 닫힌 방문 틈에서 흘러나온 노랫소리가 복도를 가득 메우고 있었다. 세상에 이런 별천지가! 천국이 아마 이런 분위기일까. (노래 부르기 싫어하는 사람에겐 지옥이겠지?) 노래방에 가서는 내 노래 부르는 재미도 좋지만 남의 노래 듣는 즐거움이 크다. 사람들이 어떤 노래를 선곡하는지, 그 노래를 어떻게 부르는지 보고 있는 게 재미있다. 노래방에서의 선곡은 현재 분위기를 간파하는 ‘눈치’, 자신의 매력을 펼쳐 보이는 ‘전략’, 함께 온 사람들과의 관계를 아우르는 ‘조화’, 이렇게 세 가지가 필요한데 이건 <일밤-나는 가수다>의 선곡보다도 힘든 일이다. 적절한 타이밍에서 분위기를 후끈 달아오르게 만드는 ‘명가수’를 보고 있으면 내 마음이 다 흐뭇하다.
나로 말할 것 같으면 (최신가요인가요의 필자답게) 노래방에 가서 괜히 최신곡 연습하는 얼리어답
[김중혁의 최신가요인가요] 노래방에서 부르고 싶어라
-
21세기 초반까지만 해도 인력-대체물 시장은 타이렐사의 독무대였습니다. 이 기업은 바이오테크놀로지 분야의 탁월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리플리컨트’라고 불리는 복제인간을 양산해 우주 식민지 개척에 나선 군산복합체에 납품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2025년이 되자 이 기업에도 위기가 찾아왔습니다. 강력한 경쟁자가 등장했던 것입니다. 환경프로세서 시스템을 개발해 지구 온난화를 막는 데 뚜렷한 성과를 거뒀던 뭄바이 태생의 영국인 천재 과학자, 피터 웨일랜드가 그 주인공이었습니다. 이 시기에 그는 자신의 이름을 딴 벤처 기업의 사업방향을 인력-대체물 시장으로 확장하면서 ‘데이빗’이라는 안드로이드 로봇을 개발했습니다. 사이버네틱스, 내골격 메커니즘, 합성피부 등과 관련된 첨단기술을 집대성한 결과였습니다. 그동안 구글에 의해 스크린 안에 감금되었던 인공지능이 현실 세계로 뛰쳐나와 제 몸을 가지게 되었다고나 할까요?
이에 따라 시장도 타이렐사와 웨일랜드사의 대결 구도로 재편되었습니다. 20년 가까
[design+] 리플리컨트 vs 데이빗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