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부를 위해 조용한 시외로 이사 온 의대생 개비(테레사 팔머)는 그녀의 이웃 트레비스(벤자민 워커)의 개가 자신의 개를 임신시켰다고 의심하고 항의하기 위해 트레비스를 찾아간다. 트레비스는 개비에게 추파를 던지고 개비는 그런 트레비스에게 화를 낸다. 다음날 개와 함께 동물병원을 찾은 개비는 그곳에서 수의사로 일하는 트레비스를 다시 만난다. 그 후 두 사람은 서로에게 호감을 갖게 되지만, 개비에게는 오랜 남자친구 라이언(톰 웰링)이 있고, 트레비스에게도 헤어짐과 만남을 반복하는 여자친구 모니카(알렉산드라 다드다리오)가 있다. 라이언이 장기 출장을 간 동안 트레비스와 개비는 서로의 사랑을 확인하지만, 라이언이 돌아오자 개비는 라이언과 다시 만나고 트레비스는 이 상황을 지켜본다.
<노트북>(2004), <디어 존>(2010)의 원작자 니콜라스 스파크스의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영화다. 중반까지는 전형적인 로맨스로 가볍게 보기 좋다. 오래된 연인과 새로운 사랑 사이에서
<초이스> 두 연인 앞에 끊임없이 계속된 ‘선택’
-
복싱코치 기철(마동석)은 부당한 판정에 항의하다 제명당한 후 동생의 소개로 지방의 기간제 체육교사 자리를 얻는다. 제 몸 사리기 급급한 학교 선생들의 무관심 속에 학생들로부터 공납금 거두는 일을 맡은 기철은 이상한 분위기를 감지한다. 여고생이 실종되었는데 아무도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 것이다. 유진(김새론)만이 실종된 친구 수연(신세휘)을 찾아나선 가운데, 기철과 사사건건 부딪치지만 이윽고 힘을 합친 두 사람은 누군가에 의해 수연의 흔적들이 지워지고 있음을 눈치챈다.
시작부터 끝까지 기시감의 연속이다. <동네사람들>은 그동안 한국 스릴러영화에서 수없이 차용된 소재와 상황, 해결방식을 총집합시킨 영화라 해도 어색하지 않을 것이다. 악당에게 지배당하는 작은 마을에 정의로운 아웃사이더가 도착해 사건을 해결하고 홀연히 떠나는 구조는 큰 틀에서 서부극이 연상되는데 디테일은 지극히 한국(영화)적이다. 폐쇄적인 지방도시, 침묵하는 다수와 소외된 약자 등 한국 사회가 장르적으로 소비해
<동네사람들> 여고생이 사라졌지만 너무나 평온한 시골의 한적한 마을
-
“미친 것 같아. 갑자기 오자고 한 사람도 그렇고, 따라온 나도 그렇고.” 송현(문소리)은 윤영(박해일)을 따라 군산에 간다. 그녀는 윤영의 선배의 아내다. 송현을 좋아했던 윤영은 송현이 이혼했다는 사실을 알고 함께 여행을 가자고 제안한 것이다. 둘은 군산에서 며칠 머물기로 하고 민박집을 찾는다. 사람을 가려서 받기로 알려진 민박집은 중년 남자(정진영)가 자폐 증세가 있는 딸(박소담)과 함께 운영하는 곳이다. 그곳에 묵게 된 윤영과 송현은 민박집의 부녀와 엇갈린 사랑을 한다.
‘거위를 노래하다’(당나라의 시인 낙빈왕이 쓴 시 <영아>(咏鹅)로 거위의 모습을 묘사한 내용이다.-편집자)라는 부제가 뜨기 전까지 영화는 약 1시간17분 동안 윤영과 송현의 군산 기행기를 그린다. 간간이 나누는 대화를 통해 윤영과 송현이 어떤 관계인지 짐작만 될 뿐, 서로에 대한 감정까지 알기 어렵다. 이리(<이리>), 경주(<경주>), 수색(<춘몽>) 등 장률
<군산: 거위를 노래하다> 애매모호한 두 남녀의 군산이몽
-
그린델왈드(조니 뎁)가 돌아왔다. 마법 세계의 입장에서는 결코 반갑지만은 않은 소식일 터. 왜냐하면 전편 <신비한 동물사전>(2016)에서 그린델왈드는 어둠의 마법사로서 유럽 곳곳에서 테러를 일삼아 미국 마법 의회(MACUSA)가 경계하던 인물이었다. 훗날 <해리 포터> 시리즈에 등장할 볼드모트에 버금가는 문제적 존재인 셈인데 사상도 둘이 비슷하다. 그린델왈드는 마법사들이 비마법사인 노마지(영국식 표현은 머글)보다 우월한 존재이기 때문에 마법과 비마법 세계는 공존이 아니라 주종 관계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신비한 동물사전>에서는 그가 마법 의회 안보부장 퍼시발 그레이브스(콜린 파렐)로 위장해 강력한 어둠의 힘을 지닌 크레덴스(에즈라 밀러)를 부하로 삼으려 하다가 크레덴스에게 피해를 입히고 만다. 문제의 원흉은 그때도 지금도 그린델왈드라는 점을 잊지 말자.
원작자 J. K. 롤링이 처음으로 직접 각본을 썼던 <신비한 동물사전>은 기존
[겨울 외화 빅5 ⑤] <신비한 동물들과 그린델왈드의 범죄> 미리보기
-
-
<트랜스포머> 시리즈의 돌림노래가 지겨웠던 관객에게도, <범블비>의 예고편은 솔깃하다. 액션의 지나친 물량 공세로 피로감을 주던 전작과 달리 1987년 캘리포니아의 작은 마을로 무대를 옮겼고, 성인 남성이 아닌 10대 소녀를 주인공으로 내세운 접근이 신선하기 때문이다. 여기엔 시리즈 중 처음으로 마이클 베이가 연출을 맡지 않았다는 이유가 큰 지분을 차지할 것이다. 대신 애니메이션 <쿠보와 전설의 악기>(2016)를 연출한 트래비스 나이트가 감독을 맡아 <트랜스포머> 세계관의 첫 캐릭터 무비를 책임진다. 그는 <엠파이어>와의 인터뷰에서 “이 거대한 프랜차이즈에 접근하면서 캔버스의 작은 구석에 집중하고 싶었다”는 포부를 밝힌 바 있다. “내가 속한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라이카는 어둠과 빛, 강렬함과 따뜻함, 유머와 사랑의 예술적인 균형을 찾기 위해 노력해왔다. 이런 철학을 <트랜스포머> 시리즈에 녹여내고 싶다.”(<엠파
[겨울 외화 빅5 ④] <범블비> 미리보기
-
런던이 바퀴를 단 기계가 되어 움직인다. 무려 세계에서 가장 큰 유람선의 두배 크기다. 그리고 7층짜리 거대 도시 런던은 다른 약한 도시를 잡아먹는다. 필립 리브의 소설 <모털 엔진>은 SF 장르의 상상력이 어디까지 뻗칠 수 있는지 새삼 감탄하게 하는 역작이지만, 쉽게 시각화할 엄두가 나지 않는 초현실적 시공간이 묘사된다. 하지만 <반지의 제왕> <호빗> 시리즈를 만든 피터 잭슨이라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그는 <모털 엔진>의 판권을 일찌감치 구입해 2008년부터 각색에 매달린 것으로 알려졌다. 처음에는 본인이 직접 연출할 예정이었던 <모털 엔진>은 <호빗> 프로젝트가 먼저 착수하면서 연기됐고, 결국 <모털 엔진>은 <킹콩>(2005)과 <아바타>(2009)의 시각효과를 담당했던 크리스천 리버스의 장편 데뷔작이 됐다. 스케줄상 직접 연출이 어려웠던 피터 잭슨이 제작자에 이름을 올린 대신,
[겨울 외화 빅5 ③] <모털 엔진> 미리보기
-
“다른 감독에게 이 프로젝트를 넘겨야 할까? 안 돼, 그러기엔 내가 이 작품을 너무 사랑하는데….” 지난 2011년 <콜라이더>와의 인터뷰에서 제임스 카메론은 이렇게 말했다. <알리타: 배틀 엔젤>은 알 만한 사람은 다 아는 제임스 카메론의 드림 프로젝트였다. 유키토 기시로가 1990년 출간한 만화 <총몽>에 완전히 매료된 카메론은 2000년대 중반부터 이 작품의 세계관을 바탕으로 하는 실사영화를 반드시 만들겠다며 공공연하게 얘기하고 다녔다. 그 작품이 바로 <알리타: 배틀 엔젤>이다. <아바타>(2009)가 전세계 박스오피스 역대 1위를 달성하고, 몇편의 속편 제작이 확정된 뒤에도 제임스 카메론은 <알리타: 배틀 엔젤>을 완전히 접거나 다른 감독에게 섣불리 넘겨주지 않았다. 영화에 대한 애정이 그만큼 컸기 때문이다.
그렇게 무한대로 연기될 것 같았던 <알리타: 배틀 엔젤> 프로젝트가 수면 위로 떠오른 건
[겨울 외화 빅5 ②] <알리타: 배틀 엔젤> 미리보기
-
냉정하게 말하면, 최근 DC 확장 유니버스를 바라보는 팬들의 시선은 곱지 않다. 제작진의 잦은 하차와 갈등, 세계관에 대한 오독, <저스티스 리그>와 같이 DC의 슈퍼히어로들이 총출동한 팀 무비의 흥행 부진은 마블과 함께 슈퍼히어로영화를 두고 건전한 대결 구도를 형성할 것이라 믿었던 DC의 역량에 의문을 품게 만들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DC 확장 유니버스에 희망이 남아 있다면, 그건 바로 <아쿠아맨> 덕분이 아니겠냐는 생각이다. 아직 마블조차 충분히 탐구해본 적 없는 바닷속 왕국을 주요 배경으로 하고 있다는 점, <쏘우>(2004)와 <컨저링> <인시디어스> 시리즈를 성공적으로 론칭하고 <분노의 질주: 더 세븐>(2014)을 시리즈 사상 최고의 흥행작으로 만든 제임스 완이 연출을 맡았다는 점은 <아쿠아맨>에 이유 있는 희망을 걸게 한다.
<아쿠아맨>은 등대지기 아버지와 바닷속 왕국 아틀
[겨울 외화 빅5 ①] <아쿠아맨> 미리보기
-
올해 국내 극장가에서 블록버스터 외화의 존재감은 엄청났다. 지금까지의 통계만 보더라도 연간 박스오피스 상위 5위권에 세편의 외화,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미션 임파서블: 폴아웃> <쥬라기 월드: 폴른 킹덤>이 포진해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외화의 공습은 전통적인 성수기 시장인 겨울 극장가에서 다시 한번 재현될 가능성이 높다. 11월 14일 개봉예정인 <신비한 동물들과 그린델왈드의 범죄>를 시작으로 <아쿠아맨>과 <범블비> <모털 엔진> <알리타: 배틀 엔젤> 등의 블록버스터가 내년 초까지 포진해 있기 때문이다. 판타지, 액션, SF 등을 아우르는 다채로운 장르와 최첨단 기술을 통한 시각적 향연을 예고하는, 올겨울 개봉예정인 다섯편의 대작 외화를 소개한다.
개봉 기다리는 겨울 외화 빅5 ① ~ ⑤
-
잘 모르는 세계에 대한 공포가 혐오로 바뀌더니 점점 짙어졌다. 미국을 비롯한 유럽, 남미 국가들의 난민 혐오를 더욱 부추기는 것은 왜곡된 가짜 뉴스다. 물론 여기서 한국도 자유로울 수 없다. 전쟁과 가난, 참혹한 현실로부터 도망쳐 ‘산다’는 행위를 추구하는 것만으로도 난민은 공포와 혐오의 대상이 되고 있다. 우리는 이들을 잘 모른다. 언제나처럼 한차례 걸러진 세계 뉴스만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며 타인이 내 삶에 위협이 되지 않기만을 바랄 뿐이다. 지금 이 순간에도 벌어지고 있는 세계의 분쟁과 재난, 질병으로부터 생명을 살리기 위해 힘쓰는 국경없는의사회의 국경없는영화제가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로 열린다.
전세계가 한 발짝 우측으로 움직이며 우파의 포퓔리슴 공격이 더해지는 가운데 올해 국경없는영화제의 주제는 ‘생명을 살리는 외로운 싸움’이다. 이번 영화제는 병원 폭격, 결핵, 이주민, 난민, 파괴되는 문화유산을 주제로 총 7편의 다큐멘터리를 상영한다. 영화들은 폭격으로 무너진 분쟁 지
국경없는영화제, 11월 23~25일 서울극장에서 개최
-
미국영화협회(MPAA)가 주관하는 영상물등급제도가 11월 1일 50주년을 맞는다. MPAA는 이에 50년간을 정리하는 특별보고서를 발행했는데, 이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50년 동안 가장 많이 매겨진 등급은 R등급이다. 1968년부터 MPAA의 등급 시스템을 거친 총 2만9791편 중 약 58%에 달하는 1만7202편이 제한 관람가(17세 미만 부모나 성인 보호자 동반 요망) 등급인 R등급을 받았다. PG등급이 5578편으로 그 뒤를 이었으며, PG-13등급이 4913편, G등급이 1574편으로 가장 적었다. 할리우드 스튜디오들이 함께 운영하는 MPAA는 미국극장주협회와 협력하여 등급제도를 운영하며, 법적인 강제성은 없지만 등급을 받지 못한 영상물은 극장에서 상영을 거부한다.
영향력이 큰 만큼 이 제도에 반대하는 목소리도 크다. 종교단체는 물론 일부 영화인들도 이 제도의 문제점을 거론하는데, 특히 2006년 만들어진 다큐멘터리 <This Film is Not Yet Rated
[LA] 50주년 맞은 미국영상물등급제, 가장 많이 매겨진 등급은?
-
감독 로버트 크레이머 / 출연 알베르트 필버 / 제작연도 1984년
로버트 크레이머 감독의 1984년 작품 <우리 모두의 나치>를 통해 약 40년이란 세월이 흘러 마주한 병약한 나치 전범은 꽤나 지적이며 친절하기까지 한 노인이다. 이 영화는 악의 평범성에 대한 불편한 깨달음을 넘어 노약자라는 사회적 관념의 카테고리 안에서, 이제는 보호 대상이 돼야 할 것 같은 가해자를 만나게 되는 혼란 속으로 관객을 소환한다. 끊임없이 관객에게 질문을 던지게끔 하는 이 영화를 위해서 우선 2명의 독일 감독 얘기로부터 시작해야 할 것 같다. 그들은 부자관계였던 베이트 할란과 토마스 할란이다. 베이트 할란은 나치정권 선전부 장관 괴벨스의 전폭적인 지지 속에 가장 악명 높은 반유대주의 영화라 일컬어지는 <유대인 쥐스>를 만들었다. 아버지와 함께 어린 시절 히틀러의 식탁에 초대받기도 했던 토마스 할란은 아버지와 그들 세대에 대한 증오를 품고 독일 극좌운동에 참여한다. 그리고 <
조명진 프로그래머의 <우리 모두의 나치> 가해자의 시선
-
인생의 진실을 담고 있는 명대사는 좀처럼 만나기 어려운 법이다. 그런데 넷플릭스 <김씨네 편의점>은 첫 에피소드부터 한방을 날린다. 캐나다에서 작은 편의점을 운영하며 살아가는 한국인 이민자 가정의 딸 재닛(앤드리아 방)은 교회에 나와 ‘멋진 기독교인 한국인 남자친구’(Cool Christian Korean Boyfriend)를 만나라는 엄마(진윤)에게, 그런 건 존재하지 않는다며 조목조목 반박한다.
“우선, 멋진 한국인 기독교인 남자란 건 없어요. 멋지고 기독교인이면 한국인이 아니고, 멋진 한국 남자면 기독교인이 아니에요. 멋진 기독교인 한국인은 전부 여자라고요!” 아들 정(시무 리우)을 끔찍이 사랑하는 엄마는 “그럼 멋진 기독교인 한국인인 네 오빠는 여자니?”라고 우겨보지만 소용없다. 내게도, 우리 가족에게도 없는 장점을 모두 갖춘 (그리고 결혼을 전제로 만나고 있는) 남자를 어느 날 떡하니 대령할 것을 기대하는 엄마와 살아본 딸이라면 이 장면에서 수많은 기억이 떠올
[TVIEW] <김씨네 편의점> 어느 가족
-
<스윙키즈>
제작 안나푸르나필름 / 감독 강형철 / 출연 도경수, 박혜수, 재러드 그라임스, 오정세, 김민호 / 배급 NEW / 개봉 12월 예정
거제도 포로수용소에 불어닥친 춤바람은 과연 남과 북의 이념을 뛰어넘을 수 있을까. 강형철 감독의 <스윙키즈>는 “그 땅바닥 막 때리는 춤 같지도 않은 거이”라며 툴툴거리던 북한군 로기수(도경수)가 탭댄스에 매료되어 공연 무대에 오르게 되는 이야기다. 암울한 수용소 내에서 신나는 음악 무대를 꾸미려는 미군의 속내와 이를 저지하려는 북한군, 그리고 시대의 변화에 순응하려는 이들의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히고설키면서 벌어지는 갈등과 그 사이를 비집고 기어이 관객의 눈과 귀를 사로잡을 춤과 음악이 영화의 주요 감상 포인트가 될 터. 브로드웨이 출신 흑인 장교 잭슨(재러드 그라임스), 열정은 있지만 몸이 아파 오래 공연을 못하는 중공군 샤오팡(김민호), 전쟁 포로와는 다른 이해관계를 갖고 무대에 오르려는 양판래(박혜수) 등
[Coming Soon] <스윙키즈>, 탭댄스와 전쟁 포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