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카데미 시상식의 후보로 지명되는 것, 단순히 그것만이 영광일까? 물론, 매년 수백편의 영화가 만들어지는 할리우드에서 관객과 평단의 사랑을 확인한 것만으로도 성공이겠지만, 시상대에 올라 트로피를 쥔 소감을 말하는 그 순간의 기쁨과 영광과는 비교할 게 아니다. <Moviefone>은 한 번도 오스카 후보로 오르지 못한 20명의 배우들에 이어, 후보에는 올랐으되 상복은 없었던 백전백패 불운의 영화인 15명을 "The BIGGEST Loser"라는 타이틀로 소개했다. 하지만 "The BIGGEST Loser"가 되기에 너무 훌륭한 이름들을 보면서 아쉬운 마음이 드는 것이 사실이다. 특히 이 중 마틴 스코시즈 감독은 <디파티드>로, 케이트 윈슬렛은 <리틀 칠드런>으로, 피터 오툴은 <비너스>로 2007년 아카데미 시상식 후보명단에 또 이름을 올렸으니, 이번 만큼은 특별히 그들에게 행운의 여신이 찾아오기를!
마틴 스코시즈
어떤 감독들이나 배우들
마틴 스코시즈, 오스카 감독상 5전6기 이뤄낼까?
-
공중파에서 사라졌던 단편영화관이 케이블TV로 되살아난다. TV시리즈전문채널 CNTV가 단편영화 상영프로그램 ‘시네마S’를 3월 12일부터 방송한다. 방영시간은 매주 월요일과 화요일 오후7시, 토요일과 일요일에는 오전 8시로 편성됐다. 통상적으로 심야시간대에 배정됐던 단편영화와 독립영화의 시간대를 감안할 때, 이번 시네마S의 방영시간 배정은 고무적이다.
작년 11월부터 기획된 <시네마 S> 3월 12일 첫 작품으로 박수영, 박재영 형제의 <핵분열 가족>을 방영한다. <핵분열 가족>은 핵전쟁 위기에 놓인 가족들의 모습을 코믹한 터치로 그려낸 작품으로 클레르몽페랑 단편영화제 국제경쟁부문 초청작. 다음날 13일에 방영될 영화는 최근 케이블TV에서 제작되어 극장에서도 개봉한 <소녀X소녀>를 연출한 박동훈 감독의 <전쟁영화>. <전쟁영화>는 1965년 맞선을 보는 두 남녀의 대사를 통해 전쟁을 상상해보는 재기발랄한 이야기로 구
케이블채널 CNTV, 단편영화관 시네마S 개설
-
디즈니 소유의 미국 방송사 <ABC>의 인기 TV시리즈 <그레이 아나토미>가 변화를 꾀한다. 닥터 애디슨 몽고메리(몽고메리-셰퍼드 였으나 이혼하면서 몽고메리로 성을 수정했다)를 주인공으로 하는 스핀오프 드라마를 준비한다는 것. 확정된 사실은 아니지만, <그레이 아나토미>의 외전격인 새로운 드라마가 시작될 수도 있다는 뉴스를 <로이터> <Zap2it> 등의 외신은 <월스트리트저널>에서 보도한 내용을 중심으로 기사화했다.
케이트 월시가 연기하는 닥터 애디슨 몽고메리는 닥터 데릭 셰퍼드(패트릭 뎀시)의 전부인으로 1시즌 마지막 회에 등장해 메레디스 그레이와 삼각관계를 이뤘으나, 극이 진행됨에 따라 안정적인 고정 출연자로 자리 잡았다. 현재 미국에서 방송중인 3시즌에서 몽고메리는 차기 외과 과장 자리를 염두해 두는 한편, 인턴 중 한사람과 애정라인을 보여주는 등 안정적인 위치를 점유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
닥터 몽고메리, 이번엔 당신이 주인공이야
-
아카데미 시상식 발표가 한 주 앞으로 다가왔다. 매일 할리우드 외신은 관련 기사를 쏟아내는 가운데, AOL의 엔터테인먼트 채널인 <Moviefone>이 "Never Been Nominated"라는 제목으로 단 한번도 아카데미 시상식 후보로 지명되지 못한 20명의 할리우드 유명 배우들을 소개했다. 20명의 명단을 보다 보면, 정말인가 싶을 정도로 활동이 많은 배우들이 포함되어 있다. 짐 캐리로 시작하는 20명의 배우에 대해서 <Moviefone>에서 곁들인 달콤, 살벌한 코멘트도 함께 즐기시라.
짐 캐리
카페인 효과를 보는 듯 늘 흥분 상태를 유지하는 코미디 배우지만, 짐 캐리도 죽도록 열심히하면 "연기"를 할 수는 있다. 그는 이미 <트루먼 쇼> <맨 온 더 문> <이터널 선샤인>에서의 연기를 통해서 이를 증명한 바가 있다. 물론, 그 모든 영화가 오스카에서는 거부 당해서인지 요즘 그는 제정신이 아니다.
리차드 기어
물론,
짐 캐리, 멕 라이언이 오스카 후보가 된 적이 없다굽쇼?
-
-
프랭크 밀러의 동명원작을 영화화한 <300>이 예고편을 공개했다. <300>은 100만 페르시아 대군에 맞선 300명의 스파르타 전사들의 ‘테르모필레 전투’를 그린 액션 블록버스터. 이번에 공개된 예고편에서는 붓으로 그린 듯한 회화적인 화면을 통해 역동적이고 거대한 고대서사극의 스케일을 보여준다.
<새벽의 저주>의 잭 스나이더 감독이 메가폰을 잡은 <300>은 3월 15일 개봉한다.
프랭크 밀러 원작 <300> 예고편 공개
-
철없는 아저씨들의 유쾌한 樂밴드 이야기. 영화 <즐거운 인생> (감독 이준익)이 장근석과 고아성의 합류로 모든 캐스팅을 완료했다.
<왕의 남자>, <라디오 스타>의 이준익 감독의 차기작 <즐거운 인생>은 정진영, 김윤석, 김상호 세 배우가 아저씨 락밴드로 캐스팅되어 화제가 되고 있는 작품이다. 여기에 KBS 드라마 <황진이>에서 ‘은호’ 를 연기했던 장근석과 <괴물>의 ‘현서’ 역으로 단숨에 2006년 청룡 영화상 신인 여우상을 차지한 고아성이 합세해 <즐거운 인생>에 젊은 피를 수혈했다.
장근석은 ‘활화산’의 보컬리스트 ‘현준’역을 맡아 ‘활화산’의 유일한 20대이자 꽃 미남 보컬로 철없는 아저씨들 틈에서 가장 눈길 가는 젊은 멤버가 될 예정이다.
또한 고아성은 기영(정진영)의 딸 ‘주희’ 역을 맡았다. 여중생 ‘주희’는 명퇴 당한 채 집에서 빈둥거리는 아빠 기영을 창피해하면서도 속으로는 락밴드 재
장근석, 고아성 <즐거운 인생> 캐스팅
-
난타전이다. 맥스무비와 인터파크에서 1위를 차지한 윤제균 감독의 <1번가의 기적>이 우세하지만 티켓링크에서 1위, 나머지 사이트에서 고르게 지지를 확보한 비욘세 놀즈 주연의 <드림걸즈>의 기세도 만만치 않다. 맥스무비에서 두 영화의 예매율 격차는 2%대에 불과하다. 구정 극장가를 평정하며 100만명 가까운 관객을 동원한 임창정·하지원 주연의 <1번가의 기적>은 평균 21.5%의 점유율로 예매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공교롭게도 두 영화는 모두 CJ엔터테인먼트가 배급하기 때문에 스크린의 배분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1번가의 기적>의 한 관계자는 “전체 극장가의 볼륨은 크지 않지만 꾸준히 관객이 몰리고 있다. <드림걸즈>와 배급사가 중복되지만 외화니까 크게 영향은 받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한다. 이후의 배급상황을 감안하면 <1번가의 기적>과 영화성격이 겹치거나 주목할 만한 작품이 뚜렷히 보이질 않기 때문에 3월에도 꾸준
<1번가의 기적>은 달리고, <드림걸즈>는 쫓는다
-
해외영화펀드가 충무로에 입성했다. 광고대행사 와이즈인터랙티브는 해외자금 250억원을 유치해 영화펀드를 조성한다. 2월 8일 와이즈인터랙티브는 리츠칼튼호텔에서 독일의 다국적 컨설팅 및 소프트웨어 기업 콘트라코와 펀드 조성에 관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콘트라코가 투자하는 250억원 외에도 국내투자 150억원이 더해져 전체 펀드 규모는 400억원대일 것이라고 와이즈인터랙티브 측은 밝혔다.
이번 펀드는 해외자금이 주도하는 국내 영화펀드의 첫번째 사례가 될 가능성이 높다. 아뮤즈 엔터테인먼트 같은 일본 미디어기업이나 외국계 증권사가 국내 엔터테인먼트 기업 지분을 소유하거나 펀드의 구성원으로 참여한 경우는 있지만, 이번처럼 절반 이상의 자금을 투입하면서 참여한 경우는 없었다.
'프로젝트 팝콘 펀드'로 명명된 펀드는 오는 3월중 콘트라코사의 프랭크 멜케 회장이 방한하면 전면적으로 가시화될 전망이다. 프랑크 멜케는 1998년 콘트라코를 설립했고 현재 콘트라코의 대표를 역임중이다. 조합 구성
와이즈인터랙티브, 독일계 자금 250억원으로 영화펀드 조성
-
공포영화 <므이>가 베트남 일정을 마쳤다. 김태경 감독의 <므이>는 작년 12월 30일 베트남 달랏에서 촬영을 시작했고, 호치민에서 마지막 촬영을 마친 후 2월 17일 귀국했다. 초상화를 둘러싼 비밀을 다루는 <므이>는 베트남에서 39회차의 촬영을 진행했고, 이는 전체 촬영의 85%에 해당한다. <므이>는 현재 국내의 일부 촬영만을 남겨뒀다.
빌리픽처스와 팝콘필름이 공동으로 제작하는 <므이>는 1896년 베트남 달랏에서 발견된 실존하는 초상화의 전설을 모티브로, 봉인된 초상화의 끔찍한 비밀이 밝혀지며 벌어지는 미스터리를 추적하는 공포물이다. ‘므이’는 베트남어로 숫자 열을 뜻하고 흔히 불리는 여자아이의 이름이기도 한 중의적인 단어다. <므이>는 2007년 여름 개봉할 계획이다.
<므이>, 베트남 촬영을 끝내다
-
<다빈치 코드>로 흥행에 성공한 론 하워드 감독이 미카엘 하네케 감독의 2005년 작 <히든>의 리메이크에 관심을 보인다고 <할리우드 리포터> <Zap2it> 등의 온라인 외신이 보도했다.
<히든>은 미카엘 하네케 감독에게 2005년 칸 영화제 감독상의 영광을 허락한 영화로, 프랑스 배우 다니엘 오테이유, 줄리엣 비노쉬가 익명의 비디오 테이프를 배달받으며 협박을 당하는 부부로 출연하는 서스펜스 스릴러다. <버라이어티>는 <뷰티풀 마인드>와 <다빈치 코드>에서 제작자와 감독으로 호흡을 맞춘 바 있는 브라이언 그레이저와 론 하워드가 이 영화의 리메이크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히든>의 리메이크 판권은 지난해 12월 뉴욕의 영화사 플럼이 구입했는데, 리메이크 되는 영화는 오리지널과 비교해 서스펜스적 요소가 강화된 할리우드 영화로 재탄생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리메이크에 관심
론 하워드, 하네케 감독의 <히든> 리메이크에 관심
-
전주국제영화제의 출품작이 1000편을 넘었다. 여덟번째 전주영화제에 출품된 작품은 국내 661편, 해외 374편으로 총 1035편이 접수됐다. 작년 888편보다 147편이 증가한 수치. 2월 5일까지 진행된 출품 접수에는 한국 장편영화 49편, 한국 단편영화 612편이 모습을 드러냈다. 제8회 전주국제영화제는 한국장편 부문의 ‘JJ-St★r상’과 한국단편 부문의 ‘KT&G 상상마당 상’을 신설해 국내 감독들에게 다양한 지원을 제공할 계획이다. 해외 출품작은 51개국에서 총 374편이 전주국제영화제를 찾아왔다. 특히 해외 장편 영화는 지난해 100편보다 51편이 늘어난 151편이 접수됐다. 42편이 감소한 해외 단편 부문을 제외하고는 전 섹션의 출품작이 고르게 확대됐다.
전주국제영화제 정수완 수석 프로그래머는 “올해는 해외 단편부분을 축소할 예정이라 출품작 수가 예년 수준이 될 것이라 생각했다. 하지만 <디지털 삼인삼색>이 2006 스위스 로카르노국제영화제 경쟁부
제8회 전주국제영화제 출품작 1035편, 역대 최다
-
베를린영화제를 찾은 한국영화 9편 중, 비교적 대중적인 문법을 지닌 기성감독의 영화를 상영하는 파노라마부문에 초청된 두편의 한국영화, <후회하지 않아>(이송희일)와 <해변의 여인>이 영화제 후반부에 관객을 만났다. 두편 모두 축제의 열기가 사그라들기 마련인 영화제 후반부에, 자정이 넘어 영화가 끝나는 늦은 시간에 상영되었음에도 거의 만석을 기록했고, 영화 상영후 이어진 감독과의 대화 역시 대부분이 남아 감독의 말을 경청했다. <버라이어티> 영화제 데일리 마지막 호에서, 350여편의 영화제 상영작 중에서 데릭 엘리가 꼽은 베스트 50에 두 영화 모두 <싸이보그지만 괜찮아> <다세포 소녀>와 함께 언급되기도 했다.
<후회하지 않아>
“도식적인 플롯에도 불구하고 매우 원숙하게 쓰여진 드라마를 지녔다. 감동적이면서도 코믹한 순간이 곳곳에 배치된 이 영화는 게이축제의 게토를 넘어 약삭빠른 대중적 배급세계안에서도 일정한 성과
<후회하지 않아>와 <해변의 여인> 베를린 영화제 현지 반응
-
달동네 사람들이 구정 극장가를 점령했다. 윤제균 감독의 <1번가의 기적>이 박스오피스 정상에 올랐다. 하지원·임창정 주연의 <1번가의 기적>은 2월19일까지 서울 77개, 전국 390개 스크린에서 개봉하여 서울 25만 7천명, 전국 96만 5천명을 동원했다. 주연배우들 뿐만 아니라 일동과 이순으로 출연한 아역배우들의 연기가 눈부시다는 중평. 100만명 가까운 관객을 기록한 <1번가의 기적>의 첫주 성적은 <그놈 목소리>의 140만명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전주 <바람피기 좋은 날>의 68만명보다는 50% 가까이 늘어난 숫자. 차태현·이소연 주연의 코미디영화 <복면 달호>도 선전했다. 서울 57개, 전국 317개 스크린에서 상영된 <복면 달호>는 서울 16만 1187명, 전국 64만 6852명을 불러모았다. 전주 1위에 근접한 성적이다.
<바람피기 좋은 날>도 순탄한 바람을 타고 있다. 평일 7~
<1번가의 기적> 설 연휴 극장가 1위
-
마블 코믹스의 <고스트 라이더>를 실사화한 영화 <고스트 라이더>가 북미 박스오피스 정상을 차지했다. 악마에게 영혼을 판 스턴트맨 자니 블레이즈라는 안티 히어로를 니콜라스 케이지가 연기했고 <데어데블>의 마크 스티븐 존즈 감독이 메가폰을 잡았다. 에바 멘데즈가 니콜라스 케이지의 헤어진 연인이자 고스트 라이더를 쫓는 기자로 출연한다. <고스트 라이더>의 데뷔 성적은 4450만달러로, 이전까지 니콜라스 케이지 최고 기록이었던 <내셔털 트레져>의 개봉 기록인 3510만달러를 넘어선 기록이며 2007년 북미 박스오피스 개봉 성적 중에서도 최고다.
외신은 <고스트 라이더>의 흥행을 두고 지난해 크리스마스 시즌에 개봉한 <박물관이 살아있다!> 이후 눈에 띌 만한 히트작이 없었던 북미 박스오피스의 무풍 상태를 타도한 영화라고 평가했으며, 이를 기점으로 해서 북미 박스오피스의 순항이 시작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또한, 이
안티 히어로 <고스트 라이더>, 북미 박스오피스 1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