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불길, 불경, 부조리, 기이, 기묘 그리고 추락과 파국. 요르고스 란티모스 감독의 영화를 표현할 단어들을 긁어모으다 보면 여러 갈래 나뉜 물길이 결국 한줄기로 모인다. 가족, 연인, 동화, 신화 등 어떤 세계에 머물건 간에 요르고스 란티모스의 나침반은 언제나 불편함을 가리켜 왔다. 그는 좋은 의미에게 관객에게 불편함을 선사하기 위해 갖은 수단을 동원한다. 하지만 란티모스에게 불편함이란 인간 혹은 관계의 본질에 다다르는 과정에 따라오는 부산물일 뿐 그 자체가 목적은 아니다. 그와 오래 호흡을 맞춰온 각본가 토니 맥나마라는 란티모스의 특질을 이렇게 설명한다. “요르고스 란티모스는 인간을 좀더 넓은 관점에서 바라보는 방식이 존재한다고 믿는다. 더 깊이 들여다볼수록 인간은 비뚤어지고 기이한 존재가 되고 관객은 바로 그런 모습에 반응한다.” <송곳니>(2009)에서 세상과 단절된 가족이 도달한 파국을 그리고, <더 랍스터>(2015)에서 동화와 설화 어딘가에서 기이한 사
[제91회 아카데미⑥] 요르고스 란티모스와 <더 페이버릿: 여왕의 여자>
-
글렌 클로스에 비하면,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의 ‘오스카 수난사’는 과대평가됐다. <길버트 그레이프>(1993)로 연기상 후보에 처음 올랐던 디카프리오는 네번 고배를 마시고 다섯 번째 도전에서 남우주연상을 받았지만, 글렌 클로스는 <가프>(1982) 이래 여섯번 오스카에 노미네이트되고도 한번도 상을 받은 적이 없기 때문이다. 이는 데보라 커, 델마 리터와 동률 기록이며, 글렌 클로스는 현재 살아 있는 배우 중 오스카를 받지 못한 최다 후보 지명 배우다. 2018년까지 그가 받은 2개의 골든글로브, 3개의 에미상, 3개의 토니상은 모두 TV나 무대와 관련된 트로피이며, 미국배우조합상에서도 호명된 적이 없었다. 하지만 디카프리오처럼 오스카 후보에 오를 때마다 전세계 네티즌이 ‘인터넷 밈’을 만들며 놀고 매체에서 그의 수상 여부를 점치느라 호들갑을 떠는 일도 없었다.
여성들이 요구받은 조력자로서의 인생에 대하여
2월 27일 국내 개봉 예정인 <더 와이프>
[제91회 아카데미⑤] 일곱 번째 오스카 후보 지명된 글렌 클로스로 보는 <더 와이프>
-
올해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의 다크호스는 단연 <빅쇼트>를 연출한 애덤 매케이 감독의 <바이스>다. 작품상, 감독상, 남우 주·조연상, 각본상 등 아카데미의 주요 부문에 빠지지 않고 후보로 오른 이 작품은 조지 W. 부시 정부의 진정한 실세였던 딕 체니 전 부통령의 일대기를 다루고 있다. 2000년대 초, 그러니까 조지 W. 부시의 행정부 시절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의 메인 작가로 일하고 있었던 애덤 매케이는 무대 뒤편에서 “고요하고, 인내하며, 카리스마와는 거리가 먼 관료(딕 체니)가 세계 역사를 바꿔놓는 모습”에 강렬한 인상을 받았으며 이를 계기로 <바이스>를 완성했다고 한다. 4월경 국내 개봉예정인 <바이스>를 미리 관람했다. 영화를 보기 전 알아두면 좋을 여러 가지 일화들을 먼저 소개한다.
딕 체니는 누구?
“다음 이야기는 실화다. 혹은 실화에 가까운 이야기다. 딕 체니는 역사상 손 꼽히는 비밀스러운 지도자였으므로
[제91회 아카데미④] 2019년 아카데미의 다크호스, 주요 부문 후보 지명된 <바이스> 이야기
-
지난 칸국제영화제 최대 이변은 단연 <블랙클랜스맨>(국내에서는 극장 개봉 없이 2차 시장으로 직행했다)의 심사위원대상 수상이었다. 냉정하게 말해 스파이크 리는 21세기 들어 사람들의 관심에서 멀어진 이름이었다. <그녀는 그것을 좋아해>(1986)로 칸국제영화제에서 인상적인 데뷔를 한 스파이크 리는 <똑바로 살아라>(1988), <정글 피버>(1991), <말콤 X>(1992) 등 대표작을 연달아 내놓으며 블랙 시네마의 아이콘이 됐지만, 최근 10여년간 그가 손댄 작품은 흥행에 참패하고 비평적으로도 혹평을 면치 못했다. 특히 한국영화 <올드보이>(2003)의 할리우드 리메이크판이 안겨준 실망감이 결정타가 됐다. 투자받는 데 난항을 겪은 그는 2차 세계대전 당시 흑인 부대를 다룬 <안나 성당의 기적>(2008)의 제작비 마련을 위해 유럽까지 건너갔고, <더 스위트 블러드 오브 지저스>(2014)는 크라
[제91회 아카데미③] 칸국제영화제 심사위원대상 수상한 스파이크 리 감독을 중심으로 본 <블랙클랜스맨>
-
-
● 작품상
<씨네21>의 선택_ <로마>
<로마>가 받아야 한다. 베니스국제영화제 황금사자상 수상을 시작으로 2018년 가장 뜨거운 이슈를 몰고 다닌 영화를 하나만 꼽는다면 단연 <로마>다. 넷플릭스 영화, 100% 스페인어로 제작된 외국어영화라는 점이 약점으로 거론됐지만 골든글로브에서 감독상과 외국어영화상을 함께 수상하며 불안이 어느 정도 해소됐다. 이민자 문제 등 트럼프 행정부를 향한 메시지를 우회적으로 드러낼 수 있다는 점도 있다.
아마도) 아카데미의 선택_ <로마>
<로마>가 받을 것이다. 작품 자체의 완성도만큼 중요한 것이 그해의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명분과 상징성이다. 올해는 유난히 각 후보들이 대표하는 메시지가 선명하여 각축이 예상된다. 매체에 주로 거론된 영화는 <로마> <보헤미안 랩소디> <그린 북>이다.
● 감독상
<씨네21>의 선택_ <
[제91회 아카데미②] 아카데미의 선택 예측 vs <씨네21>의 선택
-
엄청나게 시끄럽고 믿을 수 없을 만큼 다채롭다. 2019년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의 관전평을 한마디로 말하라면 이렇게 얘기할 수 있다. 시상식의 진행 방식을 두고 시작부터 수많은 잡음을 낸 올해의 아카데미는 후보작 선정에서 전례 없는 파격을 선보이며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분명한 건 영미권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동시에 가장 보수적인 시상식인 아카데미에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는 점이다. 매년 최저치를 경신하는 시청률과 다변화된 플랫폼을 넘나들며 콘텐츠를 즐기는 현대 관객의 성향, 영화적 다양성에 대한 요구는 아카데미에 여러 측면에서 경각심을 심어준 듯하다. 하지만 뚜껑은 열어봐야 아는 법이다. 현지시각 2월 24일 밤, 할리우드 돌비 극장에서 상연될 이 극본 없는 드라마가 끝나고서야 우리는 비로소 올해 아카데미 시상식이 담고 있는 메시지를 온전하게 해독할 수 있을 것이다. 2019년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을 둘러싼 화제와 논란의 키워드를 정리해보았다.
1. 올해 작품상 후보
[제91회 아카데미①] 형식 면에서 큰 변화를 겪은 아카데미, 과연 내실은?
-
제91회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이 2월 24일 LA 돌비 극장에서 열린다. 이날 시상식에서는 10개 부문에 노미네이트된 알폰소 쿠아론 감독의 <로마>와 요르고스 란티모스 감독의 <더 페이버릿: 여왕의 여자>를 필두로, 한해 동안 주목할 만한 성취를 거둔 영미권 영화들이 각축을 벌이게 된다. 이어지는 지면에서 더 자세히 말하겠지만, 올해의 시상식을 둘러싼 다양한 사건과 해프닝은 시대 변화에 따라 아카데미의 보수적인 기반이 뿌리부터 흔들리고 있다는 사실을 감지하게 한다. 올해 시상식의 주요 키워드와 수상작 예측, 국내 개봉을 앞둔 화제작에 대한 다채로운 분석 글을 준비했다. 변화의 기점에 선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의 현재를 만나보시라.
제91회 아카데미 시상식 미리 보기 - 오스카의 행방을 점친다! ① ~ ⑥
-
제69회 베를린국제영화제는 중국영화의 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다양한 중국영화를 볼 수 있었다. 경쟁부문에 중국 감독 왕취안 감독의 <공룡단>과 왕샤오슈아이 감독의 <소 롱, 마이 선>이 진출했고, 로우예 감독의 <더 섀도 플레이>와 샹쯔 감독의 <어 도그 바킹 앳 더 문> 그리고 바이쉬에 감독의 <더 크로싱>이 제너레이션 부문에 진출했다. 이 밖에도 왕리나 감독의 데뷔작 <어 퍼스트 페어웰>은 제너레이션 Kplus 섹션에서 심사위원이 뽑은 최우수작품상을 수상하며 또 한번 관객을 놀라게 했다.
하지만 이번 베를린에서 관객의 가장 큰 탄성을 불러일으킨 장면은 경쟁부문에 진출한 왕샤오슈아이 감독 <소 롱, 마이 선>의 두 주연배우 왕징춘과 용메이가 각각 남우주연상과 여우주연상을 탄 순간이었다. 국제영화제에서 중국 배우가 남녀주연상을 모두 휩쓴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두 배우 모두 중국영화계에서 20여년
[베이징] <소 롱, 마이 선> 베를린국제영화제 남우·여우주연상 쾌거
-
감독 켄 로치 / 출연 폴 브래니건, 존 헨쇼 / 제작연도 2012년
켄 로치 감독의 모든 영화를 사랑한다. 역사물인 <보리밭을 흔드는 바람>(2006) 정도를 제외하면 모든 작품이 하나의 긴 변주곡 같다. 가난한 소년과 야생 매의 우정을 다룬 <케스>(1969)로 시작해 영국 사회복지제도의 문제를 신랄하게 비꼰 <나, 다니엘 블레이크>(2016)에 이르기까지 켄 로치는 일관되게 노동계급의 애환과 연대를 통한 희망을 그려왔다. 감독의 거의 모든 작품이 유사한 주제와 플롯을 가지고 있음에도 다양한 소재, 디테일한 묘사와 개성 있는 해학이 각각의 이야기에 설득력과 존재 이유를 부여한다. 마니아로서 그중 한편을 꼽는 것은 쉽지 않은데, 누구든 재미있게 보고 쉽게 공감할 수 있는 작품은 아무래도 <앤젤스 셰어: 천사를 위한 위스키>인 것 같다.
국내 개봉 시 이례적으로 우리말 제목 앞에 원제(‘The Angels’ Share’)가 나란히 적힌
[내 인생의 영화] 밴드 9와 숫자들의 9(송재경)의 <앤젤스 셰어: 천사를 위한 위스키>
-
마약 스캔들에 휘말렸던 톱스타 오윤서(유인나)는 무혐의 처분을 받고도 잠정 은퇴 상태로 2년을 보내야 했다. 유명 드라마 작가의 차기작으로 복귀 계획을 세우지만, 작가는 캐스팅에 조건을 붙였다. ‘변호사 사무실에서 3개월간 현장실습을 할 것.’ 변호사 권정록(이동욱) 쪽에선 로펌 대표의 압력으로 떠맡게 된 연예인 비서가 달갑지 않다. 첫날부터 지각을 한 데다 복사 용지도 줍지 못할 정도로 꽉 끼는 원피스를 입고, 전화 내선 연결도 하지 못하니 당연히 일을 가볍게 여기는 사람으로 판단한다.
세상물정 모르는 여성 톱스타가 나오는 드라마들이 숱하게 반복한 해프닝이다. tvN <진심이 닿다>는 여기에 짧은 부연을 더한다. “누가 비서인 줄 알고 왔어? 알았으면 나도 이렇게 안 입었지.” 어떤 역할로 ‘현장실습’을 하는지 알지 못했던 윤서는 대중이 기대하는 ‘여배우’ 차림을 했고, 15년간 스케줄 관리를 맡긴 매니저가 데려다준 시간에 로펌에 도착했다. 일종의 업무 전달 착오다.
[TVIEW] <진심이 닿다>, 착실한 로맨스
-
<우상>
제작 리공동체영화사 / 공동제작 폴룩스(주)바른손 / 감독 이수진 / 출연 한석규, 설경구, 천우희 / 배급 CGV아트하우스 / 개봉 3월
도의원 구명회(한석규)는 깨끗한 정치인으로 명성이 자자해 차기 도지사감으로 주목받는다. 그러던 중 아들이 교통사고를 낸 뒤 은폐한 사실을 알게 되고, 자신의 정치 인생을 지키기 위해 아들을 자수시킨다. 유중식(설경구)에게 지체장애를 가진 아들 부남은 금쪽같은 새끼다. 중식은 부남이 교통사고를 당해 목숨을 잃자 절망하고, 사건을 파헤치기 시작한다. 부남의 아내이자 중식의 며느리인 최련화(천우희)는 사고 당일 부남과 함께 있다가 사고의 진실을 안은 채 연기처럼 사라진다. <우상>은 한 사고를 둘러싼 세 인물이 저마다 믿는 꿈이나 신념이 맹목적으로 변하는 순간, 욕망의 민낯이 정체를 드러내는 과정을 적나라하게 담은 이야기다. 사고 친 아들을 둔 아버지 한석규와 사고로 아들을 잃은 아버지 설경구가 부딪는 상황만으로도
[Coming Soon] <우상>, 욕망의 민낯이 정체를 드러내는 과정
-
<오즈의 마법사> <시민 케인> <현기증>의 공통점은 뭘까? 시대를 대표하는 명작. 그 앞에 수식어도 하나 붙는다. 바로 ‘박스오피스 폭망’이다. 몇 십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명작으로 회자되는 작품들이지만, 이들은 개봉 당시 박스오피스에서 참패의 성적을 거뒀다. 이처럼 명성과 정반대로 낮은 박스오피스 흥행 수익을 기록한 비운의 명작들을 한자리에 모았다.
+ 300만 달러 (약 34억 원 흑자)
<쇼생크 탈출>
제작비 $25,000,000 |
북미 흥행 수익 $28,000,000
맛보기 작품부터 소개한다. 영화를 사랑하는 이들 사이에서도 유독 사랑받는 작품 <쇼생크 탈출>은 제67회 아카데미 시상식의 작품상을 비롯해 무려 7개 부문에 이름을 올렸던 명작이다. 2500만 달러의 제작비로 탄생한 이 작품은 북미 극장가에서 2800만 달러의 흥행 수익을 기록했다. 제작비보다 300만 달러를 더 벌어들이며 체면 치레는 했지만, 명성
북미 극장가에서 제작비 대비 폭망 성적 거둔 명작 10편
-
올해로 67세를 맞이한 리암 니슨의 액션 영화가 극장가를 찾았다. <콜드 체이싱>은 마약 조직의 사이코패스에게 죽음을 당한 아들의 복수를 다짐하는 아버지의 이야기다. 죽음과 복수, 아버지란 단어가 유달리 돋보인다. 어느 작품에서나 순탄치 못한(?) 인생을 살았던 리암 니슨의 캐릭터들. <콜드 체이싱>의 개봉을 맞아 리암 니슨에게 닥친 영화 속 사건·사고를 한자리에 모았다. 다른 시간, 다른 공간 안에 같은 인물(=리암 니슨)이 존재하는 듯한 착시를 주는 영화들이다. 이란성 쌍둥이(!) 같은 매력을 자랑하는 리암 니슨의 액션·범죄 영화들을 소개한다.
아내와 아내의 내연남을 죽였단 누명을 쓴 전직 경찰
<써스피션> 1991
리암 니슨 캐릭터의 ‘전직 경찰 계보’ 시작을 알린 작품. 이혼 사건을 주로 맡아 처리하며 생계를 꾸려가는 전직 경찰 출신 사설탐정 토니(리암 니슨). 어느 날 자신의 고객 중 한 명과 아내가 호텔에서 총에 맞아 사망하는 사고가
이번엔 또 무슨 일이? 리암 니슨에게 닥친 영화 속 사건 ·사고 연대기
-
현재 나란히 박스오피스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는 <증인>과 <사바하>. 전혀 다른 분위기의 두 영화에는 한 가지 공통점이 있다. 바로 정우성, 이정재 두 90년대 청춘스타들이 활약했다는 것. 한때 청춘의 초상이었던 두 배우는 이제는 중견배우로서 다양한 작품, 캐릭터로 관객들을 만나고 있다. 그들처럼, 90년대 청춘스타에서 최근까지도 작품 활동을 이어오고 있는 배우들이 있다. 정우성, 이정재를 포함해 X세대의 마음을 훔쳤던 7인의 풋풋했던 ‘그때 그 시절’을 알아봤다.
정우성
멋지다고 따라하면 절대 안 된다. 90년대를 주름잡던 정우성의 영화 속 캐릭터를 두고 하는 말이다. 1994년 데뷔작 <구미호>를 통해 순정만화를 찢고 나온 듯한 외모 자랑한 정우성. 그러나 그를 청춘스타로 만들어준 것은 이와 상반되는 거친 캐릭터들이다. 본격적으로 반항아적 이미지를 구축한 작품은 장현수 감독의 <본 투 킬>. 이미 <마지막 승부>로
‘그때 그 시절’ 90년대 청춘스타 출신 배우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