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스페셜 > 스페셜1
사운드 디자인의 비밀 [5] - 사운드 디자이너 9인

한국영화의 사운드를 만드는 사람들을 소개한다. 대부분 슈퍼바이저급에 해당하는 사운드 디자이너들이자 사운드 믹서들이다. 이들만이 한국영화의 사운드를 만드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리스트는 불완전하다. 그럼에도 이 아홉명의 이름이, 그리고 이들 아홉명이 밖으로 꺼내놓는 생각들이, 한국영화 사운드 후반작업 현장의 밑그림을 보여주는 작은 지도가 되기를 바란다(가나다순).

“소리도 연기다”

김석원/ 블루캡 대표

토목공학과 출신. 노래모임에서 기타와 보컬을 맡으며 음악에 빠져지냈다. 서울오디오를 거쳐 1991년 독립해 차린 녹음실 리드사운드 시절까지 광고음악을 10여년간 작업하다 1995년 블루캡을 차리면서 영화 사운드를 시작했다. 명필름과 강제규필름의 주요 작들을 작업했고 박찬욱과의 작업을 통해 독창적인 사운드 연출력을, 강제규와의 작업을 통해 영화의 규모를 컨트롤하는 사운드 연출력을 인정받았다. 초기에는 사운드 전 파트에 관여하다 현재는 폴리 파트와 전체 믹싱을 주관하고 있다.

“소리도 연기다. 영화가 관객에게 깊이있게 다가가기 위해 배우가 연기를 잘해야 하듯, 소리도 그 영화에 가장 걸맞게 나야 한다. 가짜를 갖고 만든 것이든 진짜를 갖고 만든 것이든, 소리로 관객에게 감정을 전달하는 것, 그것이 사운드의 궁극 목표다.”

주요작/ <유령> <공동경비구역 JSA> <실미도> <혈의 누> <여고괴담4: 목소리>

“공간음 하나가 영화의 색깔을 바꿀 수도”

김창섭/ 블루캡 팀장

고교 방송반에서 기술 파트를 맡으면서 소리를 만지고 바꾸는 작업에 흥미를 갖기 시작했다. 명보극장에서 <지옥의 묵시록>을 보는데 소리밖에 안 들리던 기억이 선명하다. 전자공학과 졸업 뒤, <귀천도> 연출부 출신의 친구에게 “영화 사운드를 해보고 싶다”는 말을 꺼낸 것이 계기가 돼 1996년 블루캡에 들어오게 됐다. <인샬라>의 이펙트가 그의 첫 영화 작업. 앰비언스 사운드에 관한 탁월한 해석력을 인정받고 있다. 한 관계자는 그를 “한국영화 사운드의 앰비언스를 새롭게 만든 인물”이라고 평가했다.

“앰비언스는 공간에 대한 해석을 전제로 한다. 과거엔 앰비언스라고 하면 단순히 룸톤을 연상했지만 공간을 이루는 작은 소리 하나에도 많은 의미를 담을 수 있고, 그것이 영화의 전체적인 색깔도 바꿀 수 있다.”

주요작/ <유령> <텔미썸딩> <순애보> <와이키키 브라더스> <그때 그 사람들> <친절한 금자씨>(이상 앰비언스·이펙트 슈퍼바이징) <엽기적인 그녀> <주먹이 운다>

“사운드 슈퍼바이저는 기획자다”

박덕수/ 리드사운드 실장

경영학과 출신이며, 1995년 리드사운드에 합류해 광고음악 작업으로 경력을 시작했다. 첫 번째 영화 사운드 작업은 <헤어드레서>(1995). 이펙트와 믹싱 파트를 주로 맡고 있다. <해리 포터> 전 시리즈를 비롯해 <뮬란> <폴라 익스프레스> <마다가스카> <월레스와 그로밋> 등 외화 더빙 믹싱 작업도 해왔다. 원혼의 발목에 끌려다니는 방울 소리와 무전기에서 흘러나오는 병사 목소리의 독특한 디자인이 돋보인 <알포인트>로 지난해 대종상영화제 음향상을 수상했다.

“사운드는 영상을 넘어서면 안 된다. 사운드는 효과다. 영상을 뒷받침하면서 효과를 배가하는 것이 사운드라고 생각한다. 사운드 슈퍼바이저는 그런 면에서 기획자의 개념을 포함한다.”

주요작/ <여고괴담> <미술관 옆 동물원> <주유소 습격사건>(이상 이펙트·믹싱) <두사부일체> <주홍글씨> <레드 아이>(이상 슈퍼바이징)

“폴리 작업이 진정한 소리 창조”

박준오/ 프리랜서

대학 시절 록밴드 드러머로 활동했다. 공연을 위해 자기들끼리 음향장비를 만지던 일에 재미를 붙여 1992년 영화진흥공사 녹음실에 입사, 폴리 아티스트의 커리어를 시작했다. 첫 작업은 <장군의 아들3>. 아날로그 사운드 작업 시절을 겪은 마지막 세대이기도 하다. 1999년 이성진, 이승철과 함께 녹음실 웨이브랩으로 독립했고 최근 다시 독립을 준비중이다. 2∼3년 전부터 사운드 디자인과 슈퍼바이징을 겸하고 있지만 본인 작품의 폴리는 본인의 것. 업계 종사자들의 말을 빌리면 “현존하는 국내 최고의 폴리 아티스트”다.

“폴리 작업만 하던 시절, 폴리는 이쪽 업계에서도 언더그라운드적인 일이라고 여겨졌고 주변 사람들은 ‘대학 나와서 그거 하냐’는 말도 하곤 했다. 그러나 내 생각에 영화 사운드에서 진정한 소리의 창조는 폴리밖에 없다.”

주요작/ <유령> <공동경비구역 JSA> <친구> <올드보이>(이상 폴리) <…ing> <바람의 파이터> <형사>(이상 슈퍼바이징)

“소스의 취사선택이 실력을 가른다”

서영준/ 영화진흥위원회 녹음실

고교 때 시작한 밴드 활동을 대학 졸업 때까지 이어오다 음악의 꿈을 접고 레코딩 엔지니어의 길로 들어섰다. 광고음악으로 경력을 시작했고 마산MBC를 거쳤다. “영화를 해보고 싶었지만 이쪽에 연고가 없어 쉽사리 길을 못 찾다가” 2001년, 서른셋이라는 늦은 나이에 영진위 녹음실에 입사했다. 작업 하나를 끝낼 때마다 ‘작품’이라는 개념이 포함된다는 것, 크리에이티브한 사람들을 계속 만날 수 있다는 것이 그가 꼽는 영화 작업의 매력이다.

“개인적으로 크리에이티브한 사운드에 점수를 주는 편이다. 홍수처럼 밀려드는 사운드 소스들 중에 어떤 취사선택을 거쳐 전체 색깔을 낼 것이냐가 슈퍼바이저의 실력을 가른다고 생각한다. 감독의 의사표현을 돕는 것은 기본이다.”

주요작/ <국화꽃향기> <내츄럴시티> <내 여자친구를 소개합니다> <누구나 비밀은 있다> <거미숲> <꽃피는 봄이 오면>

“과장하느니 덜 들리는 것이 낫다”

이성진/ 웨이브랩 대표

고교 시절 밴드부, 대학 시절 클래식 기타 동아리에서 활동했고, 공대 졸업 뒤 관련 직종으로 대기업에서 근무하다 1992년 영화진흥공사에 입사했다. NHK 연구소 포스트 프로덕션 전문사 과정, 일본 문부성 녹음기술협회 전문과정을 수료했으며 용인대 영화영상학과 석사과정을 밟았다. 1999년 박준오, 이승철 등 영진위 동료들과 함께, 일정 빠듯한 작업장이 아닌 ‘동호회 성격’의 녹음실 웨이브랩을 차려 독립했다. 사운드 디자인이 전문 파트. “시끄러운 소리를 싫어해서” 극장 앞자리를 피하는 사람이다.

“사운드를 평가할 때 영화의 스케일을 감안하게 되는 점은 있지만, 비주얼이 복잡한 영화라고 해서 반드시 사운드가 훌륭할 수는 없다. 사운드는 아내처럼, 영화를 내조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과장하느니 덜 들리는 것이 낫다. 작고 섬세한 소리들로 이루어진 편안하고 따뜻한 사운드가 내가 생각하는 좋은 영화 사운드다.”

주요작/ <소름> <라이방> <꽃섬> <4인용 식탁> <스캔들-조선남녀상열지사> <나의 결혼원정기>

“보이는 것을 믿게, 보이지 않는 것을 느끼게”

이규석/ A&D 실장 겸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교수

공대를 졸업했고, 고려대 영화제작동아리 ‘돌빛’의 창립 멤버이며, “순수하게 영화 마니아”였다. 영화쪽 일을 해야지, 말아야지 하는 생각도 구체적이지 않던 대학 시절을 끝내고 삼성전자연구소 입사 7개월 만에 사표를 냈다. 동국대 영화과 대학원과 USC 영화과 석사과정을 마쳤다. 여균동 감독과의 개인적 친분으로 <맨?>의 사운드 작업을 통해 커리어를 시작했다. 부친의 녹음실 A&D가 그의 작업실. 사운드 디자인 및 이펙트 작업에 유독 관심과 애정이 높았던 그에게 <퇴마록>은 잊지 못할 작품이다.

“사운드는 보이는 것을 믿게 만들고, 보이지 않는 것을 느끼게 하는 역할을 가졌다고 생각한다. 어떤 공간의 공기, 환경, 분위기를 구체화하는 것이 사운드다.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 영화 사운드 작업의 매력이다.”

주요작/ <맨?> <진짜 사나이> <선물> <고양이를 부탁해> <2009 로스트 메모리즈> <질투는 나의 힘>

“사운드란 하나의 이야기다”

황진수/ 아톰사운드 실장

1996년 영화진흥공사 입사. 아르바이트로 시작한 일에 관심이 쏠리면서 영진공 내 소모임 솔뫼회에서 스터디를 통해 독학했다. 이승철, 이성진, 박준오, 양대호 등이 함께 공부하고 일했던 동료들. 2003년 아톰사운드라는 개인 녹음실을 차려 독립했고, 첫 작품을 기억해내는 대신 “500여편을 작업했지만 모두 아쉬움이 남는다”고 답했다. 이펙트 분야의 실력을 높게 평가받고 있다.

“나는 사운드가 그 자체로 독립성을 가졌다고 생각한다. 소리를 갖고 이야기를 만들었을 때 그것이 영화의 그림과 절묘하게 맞아떨어지는 것이 좋은 사운드가 아닐까. 기술적으로 디자인하고 효과를 내는 것은 누구라도 몇년이면 배운다. 앰비언스의 클랙슨 소리 하나로도 사람의 감정을 움직이는 사운드를 만드는 것은 그렇지 않다.”

주요작/ <나비> <내츄럴시티>(이상 이펙트 슈퍼바이징) <색즉시공> <청풍명월> <어린 신부> <간큰가족>

“작가의 상상력을 객관적으로 보여주는 일”

최태영/ 라이브톤 실장

음반 스튜디오 엔지니어 출신. 당시 일과 관련된 공부를 위해 미국 유학을 갔다가 사운드 포스트 프로덕션 분야의 장래성을 감지하고 돌아와 영화 사운드를 시작했다. 라이브톤의 창립 멤버이며 첫 작품은 1997년 <비트>. 처음 3년은 사운드 후반 작업의 전 파트를 혼자 책임지다 녹음실 인력을 세분화하면서 믹싱에 주력하고 있다. 싸이더스의 주요 작품을 작업해왔다.

“사람들은 우리에게 총소리, 태풍 소리 만드는 거 힘드셨죠? 라고 묻는다. 그런 건 시간이 많이 할애되는 게 부담스러울 뿐이지 일 자체는 별로 어렵지 않다. 영화 사운드가 어려운 건 영화가 주관적이기 때문이다. 새 소리가 언제, 몇번 들리기를 바라는 감독의 계산 같은 것들. 그런 작가의 주관적 상상력이 객관적으로 받아들여지도록 변환시켜주는 것이 내가 하는 일이다.”

주요작/ <화산고> <오아시스> <지구를 지켜라!> <살인의 추억> <장화, 홍련> <달콤한 인생> <남극일기>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