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케이트가 레오폴드를 만나 사랑에 빠진다. 기이한 것은 이들이 서로 다른 시간대를 살아왔다는 사실. 케이트는 21세기 뉴욕의 커리어우먼이고, 레오폴드는 19세기 알바니 공작 3세다. 레오폴드는 케이트의 전 남자친구가 발견한 시간의 틈에서 빠져나왔지만, 사람들은 그가 시대극에 출연중인 배우쯤으로 생각한다. 레오폴드는 출세지향적인 케이트에게 삶의 작은 기쁨들을 돌아보게 하고, 케이트는 레오폴드에게 문명의 이기들을 예시해 보이며, 서로가 자기의 반쪽임을 깨닫는 기쁨에 들뜬다. 이 사랑을 완성하기 위해서 100년이 넘는 세월의 강을 뛰어넘어야만 한다. 하지만 어떻게?<케이트 & 레오폴드>는 심상치 않은 로맨틱코미디다. 음악 영화 <헤비>, 범죄 스릴러 <캅 랜드>, 소녀들의 성장영화 <처음 만나는 자유>의 제임스 맨골드 감독이 “1940년대와 50년대 로맨틱코미디의 광팬”이었던 자신의 전력을 살려 도전한 작품. 로맨틱코미디의 요정으로 불리기에
해외신작 <케이트 & 레오폴드>
-
“얘, 너 오늘은 오버하지 마라. 누가 얘 좀 말려줘요.” 김민에게 눈까지 흘기며 말하던 김원희는 물론이고 이미숙 김현수까지 다섯대의 카메라가 돌아가자 화려한 오버 춤연기로 나이트클럽 세트장을 흥분의 도가니로 만든다. 3대째 라이벌 관계인 네모클럽의 인수 위협에 맞서 라라클럽을 지키기 위해 결성된 기상천외한 댄스그룹 ‘울라라 씨스터즈’의 데뷔 무대인 오늘 촬영분은 의상과 무대배경과 음악을 바꿔가며 디스코, 로큰롤, 재즈댄스, 막춤까지 일사천리로 진행된다.배우들이 4개월간 연습했다는 춤실력이 만족스러운 듯 박제현 감독의 오케이 사인이 쉽게쉽게 떨어진다. <울랄라 씨스터즈> 촬영장은 아침 9시부터 체조와 함께 시작해서 저녁 7시 정도면 어김없이 끝난다. 이는 치밀한 사전준비를 통한 합리적 제작시스템 도입 덕분으로 배우와 스텝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고.‘유쾌 상쾌 통쾌한 논스톱 슈퍼 코미디’를 표방한 <울랄라 씨스터즈>는 슬랩스틱보다는 등장인물 각각의 독특한 캐릭터
<울랄라 씨스터즈> 촬영현장
-
조기유학 때 사고치고 돌아온 뒤 한국생활에 몸이 근질근질했던 21살의 고등학생 성환(송승헌), 가정방문 호스트 아르바이트에도 불구하고 성적이 좋은 우섭(권상우), 인터넷 방송사를 운영하며 방송사 PD를 꿈꾸는 엉뚱한 행동의 진원(김영준). 그들은 시끌벅적한 고3의 하루를 마치고, 성환이 ‘그 자식’이라 부르는 졸부 아버지의 생일에 다녀오던 길에 갑자기 ‘쿵’ 하는 소리와 함께 차 지붕 위로 떨어진 피투성이 시체와 수십억대의 달러를 만난다. 순식간에 선택의 기로에 놓인 것. “이걸 갖고 튀어? 말어?”강남 아셈센터와 압구정, 둔촌동 창덕여고 등에서 촬영중인 <일단 뛰어!>는 세명의 청춘스타가 등장하는 바람에 항상 많은 여성팬들이 모여들었다. 특히 외진 지역에 위치한 창덕여고에서의 촬영은 어떻게 알고 왔는지 많은 팬들이 모여 스탭들이 통제하기 힘들 정도였다.난데없이 떨어진 수억대의 돈을 둘러싸고 압구정동 한복판에서 악동들과 신참 형사가 벌이는 좌충우돌 추격전을 그리는 청춘명랑
<일단 뛰어!> 촬영현장
-
한달간 `뜀박질` 넉달간 `주먹질`어두컴컴한 복도를 지나 링으로 올라서는 샷을 찍는 2시간여 동안, 유오성(34)씨는 단 한차례도 자세가 흐트러지지 않았다. 김득구의 등장을 환호하는 관중들의 모습을 위에서부터 훑어 내려가며 찍는 샷으로 유씨의 얼굴은 카메라에 자세히 잡히지도 않았으나, 그는 촬영을 멈추는 잠깐 잠깐 조차도 자신이 김득구임을 잊지 않았다.“그가 참 외로웠을 거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 많은 사람들 속에서 자신의 곁에 있는 사람이라곤 관장과 코치, 딱 2명 뿐이었습니다. 그렇게 외로운 상황 속에서 14라운드까지 싸운 것만으로도 그가 존경받을 만하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유씨는 김득구역을 처음 제안받았을 때 많이 망설였다. “돌아가신 분이라 연기하는 것이 쉽지 않을 것 같았고, 행복한 삶을 산 분도 아니었죠. 그럼에도 이 역을 하기로 한 건, 그의 삶이 개인의 삶이라기 보다 인간의 보편적인 삶이고, 용기를 가진 삶이기 때문이었습니다. 돌아가신 분에게 누가 되지 않도록 최선
<챔피언> 김득구역의 유오성
-
-
1982년 11월 14일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열린 레이 맨시니와 김득구의 WBA(세계권투협회) 라이트급 세계타이틀 쟁탈전. 한국 최초로 라이트급 세계 챔피언에 도전한 김득구는 14회에 KO패한 뒤 병원에 실려갔다가 며칠 뒤 숨졌다. 20년 가까이 흐른 지난 1일, 로스앤젤레스 근교 세펠베다 댐 옆에 새로 만든 특설링 세트에서 이 비운의 복서의 마지막 경기를 재현하는 작업이 시작됐다.김득구의 일대기를 다룬 영화 <챔피언>의 곽경택 감독은 800여명의 미국인 엑스트라를 동원해 6일 동안으로 예정된 김득구와 맨시니 경기장면 촬영의 `레디 고'를 외쳤다. 곽 감독의 전작 <친구>에 나왔던 장동건씨가 제작진을 격려하기 위해 촬영장에 와 있었다. 이날 찍은 건, 김득구의 등장을 환호하는 관중들의 모습을 여러 각도에서 담은 샷으로 생생하고 자연스러운 관중들의 환호 모습을 뽑아내기 위해 곽 감독의 이런저런 주문 아래 10여 차례 이상 촬영이 반복됐다.“지금 눈에 보이는 건 허
`권투`가 아닌 `꿈`을 찍는다
-
리처드 아이어 감독의 <아이리스>는 영국 작가 아이리스 머독(1919∼1999)의 실제 삶에서 빌려온 이야기다. 감독은, 철학박사 학위를 받은 뒤 희곡과 소설을 통해 자기 세계관을 피력해온 이 위대한 작가의 ‘작품세계’ 대신 사랑이야기에 관심이 있다. 사랑이야기라면 우선 청춘남녀가 떠오를 테지만, 영화는 사랑이 젊은 날의 열정일 뿐 아니라 삶의 긴 여정과도 동행할 수 있는 것임을 보여준다.젊은 날의 아이리스(케이트 윈슬렛)는 수면 위를 막 차고 오른 물고기처럼 거침없고 솔직하다. 파티에서 처음 만나 그를 안경 너머로 몰래 지켜보던 존 베일리(휴 본빌)라는 풋내기 영문학 강사는 말도 더듬는 데다 소년처럼 수줍은 발그레한 볼을 지녔다. 독수리나 사슴으로 변해 달아나는 그리스 신화의 여신처럼 아이리스는 어디에도 걸리지 않는 분방한 삶을 살지만, 존은 그런 아이리스를 지켜볼 뿐이다.영화는 젊은 날의 이야기와 노년의 이야기를 엇갈려 보여준다. 작가로서 명성을 확고하게 쌓은 아이리스
화려한 봄날은 가도 사랑은 남을까
-
살바토레 피시첼리 선두로 극단출신 나폴리 출신 영화인들 활약 두드러져이탈리아영화의 중심이라 한다면, “영화는 가장 강한 무기”라는 슬로건 아래 무솔리니에 의해 세워진, 말 그대로‘영화의 도시’라 할 수 있는 세트장 치네치타와 영화학교 중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국립영화센터(Scuola Nazinale di Cinema, 1905년 설립)가 위치한 로마다. 영화라는 강한 무기는, 이제는 TV의 침공을 받아 참패했고, 네오리얼리즘의 힘도 사라진 90년대 중반까지 이탈리아영화의 중심은 토스카나 지방의 감독들(로베르토 베니니, 레오나르도 피라초니, 다리오 아르젠토 등)로 옮겨갔다. 이들은 이탈리아영화의 중심부로 진출해 코미디, 멜로, 공포 등 여러 장르의 영화를 만들었는데, 새로운 밀레니엄을 맞이하며 이런 지역적 흐름이 남쪽의 항구도시인 나폴리까지 이어지고 있다. 최근 들어 나폴리 출신의 여러 감독, 제작자, 배우들은 자신들의 삶의 터전이었던 낙후된 땅 나폴리 이야기를 스크린으로 옮겨 이탈
[로마리포트] 이탈리아영화 나폴리로 중심이동
-
<물 위로 걷기>, 장편영화 대상과 관객이 뽑은 최고의 동성애 영화상 수상 지난 2월17일 이른 새벽녘, 포츠담 광장 베를리날레 팔라스트 극장에서 거행될 베를린영화제 시상식의 곰 트로피 수여자를 둘러싼 온갖 추측이 난무하던 그 순간, 전철 한 정거장 거리에 있는 재즈 극장 템포드롬에서는 또 하나의 시상식이 그 절정을 이루고 있었으니…. ‘베를린영화제- 동성애영화 시상식’, 일명 테디베어상 시상식이 그것이었다.올해로 16회를 맞는 이 행사는 독일 동성애자 연맹이 주최하며, 베를린영화제와는 공식적으로나 비공식적으로 아무런 관련이 없다. 그러나 행사 공식명칭에 ‘베를리날레’를 살짝 도용하고, 개최 시기 역시 영화제 마지막 일정에 맞물려 개최하는 심술을 부림으로써 몇시간 뒤 치뤄질 폐막식 행사의 김을 빼버리는 영화제의 악동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화려한 스포트라이트는 없지만, 시상식 후 곧바로 요란한 댄스파티로 이어지는 이벤트적 성격 덕분에 베를린영화제 참석 인사들의 관심도 공
[베를린통신] 동성애영화제 테디베어 시상식
-
죽은 자가 산자를 눌렀다. 지난해 비행기 사고로 사망한 R&B 가수 알리야의 유작 <뱀파이어 퀸>니 미 박스오피스 1위에 올랐다. <뱀파이어 퀸>은 현대의 록음악이 모든 뱀파이어들의 여왕 아카샤를 깊은 잠에서 깨우면서 시작되는 영화로 2월23일 개봉해 첫 사흘동안 1520만달러를 벌었다. 전 주 1위였던 <존 큐>는 2위로 물러났다.
알리야 유작 <뱀파이어 퀸>, 1위
-
스릴이 녹고, 웃음이 싹튼다오스카 캠페인이 마무리되는 3월부터 여름 대작들이 포문을 여는 5월까지는 블록버스터나 가족용 엔터테인먼트보다 아담하고 개성있는 장르 영화가 일년 중 가장 풍성한 시기다. 감독과 배우의 이름이 불러오는 기대치가 높은 봄 영화로는 데이빗 핀처 감독과 조디 포스터의 <패닉 룸>과 <노팅힐>의 로저 미첼 감독이 연출하고 벤 에플렉, 사무엘 L.잭슨, 토니 콜레트, 윌리엄 허트가 공연하는 <차선 바꾸기>(Changing Lanes), 스티븐 소더버그와 줄리아 로버츠의 <풀 프론탈>이 있다. <패닉 룸>은 한 이혼녀와 11살 난 그녀의 딸이 잔인한 3인조 강도와 맞선 기나긴 밤을 그린 스릴러. <파이트 클럽>에서 다양한 로케이션을 활용했던 데이빗 핀처 감독은 단일 세트에서 서스펜스를 극대화하겠다는 의욕을 피력한 바 있다. <차선 바꾸기>는 우연히 서류가방이 바뀐 성공한 남자와 낙오자가 서로의
할리우드 봄영화 라인업, <패닉 룸> <풀 프론탈> 등 개성있는 장르영화 많아
-
최고의 명예를 누린 복서들이 스크린의 챔피언을 만났다. 지난 2월25일 씨넥스에서 열린 <알리> 프리미어 시사회에는 전날 3차 방어에 성공한 현 WBC 라이트플라이급 챔피언 최요삼을 비롯해 역대 프로복싱 챔피언들과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들이 참석해 눈길을 끌었다. 사진 왼쪽부터 김광선, 최요삼, 유명우, 장정구, 박시헌. 사진 정진환
챔피언, 챔피언을 만나다
-
무단삭제 의혹으로 관객들의 항의소동을 빚고 있는 영화 <알리>(3일 연합뉴스 보도)가 28분 가량 잘려나간 채 상영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알리>의 수입배급사인 아름다운영화사 관계자는 4일 오전 연합뉴스로 전화를 걸어와 "등급심의를 통과한 151분의 러닝타임에서 27∼28분을 잘라내 123분으로 상영하고 있다"고 시인했다.이 관계자는 "하루 1차례 더 상영하려는 욕심이 깔려 있었던 것은 사실이나 그보다는 모니터링 시사회 때 우리 정서에 맞지 않아 지루한 대목이 있다는 의견이 제시돼 해당 부분을 집중적으로 삭제했다"고 덧붙였다.주로 잘려나간 부분은 말콤 엑스가 일리와 이데올로기적인 견해 차이로 갈등하는 대목과 말콤 엑스가 총격으로 피살된 뒤 알리가 한참 동안 우는 장면이다.아름다운영화사는 관계사와의 협의를 거쳐 빠른 시일 안에 복원상영 여부와 시기를 결정할 예정이다.(서울/연합뉴스)
영화 <알리>무단삭제 28분
-
BOX OFFICE (서울) 3월2일 - 3일순위TITLE개봉일스크린좌석수서울주말서울누계(전야제)전국누계1오션스 일레븐2002.03.014614,300118,000205,000435,0002뷰티풀 마인드2002.02.22389,10555,800317,400617,7003피도 눈물도 없이2002.03.014412,60048,40086,300220,9004공공의 적2002.01.25368,30028,5001,078,3002,787,3005내게 너무 가벼운 그녀2002.02.22244,42526,000174,000312,0006알리2002.03.01214,24818,90031,68087,92072009 로스트 메모리즈2002.02.01132,86116,500879,6002,238,3008반지의 제왕2001.12.3157705,0001,371,8003,853,4009악마같은 여자2002.03.0168522,2004,0507,12010디 아더스2002.01.11190810636,2001,17
BOX OFFICE (서울) 3월2일-3일
-
지난 1월11일 개봉한 <나쁜 남자>가 서울 30만, 전국 70만명의 관객을 기록하고 2월28일 종영했다. <나쁜 남자>는 3월13일에 열리는 백상예술대상영화제 작품상과 남우연기상 후보에 올라 있기도 하다.
<나쁜 남자>, 전국 70만으로 종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