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OX OFFICE (서울) 12월 22일 - 23일순위TITLE개봉일스크린좌석수서울주말서울누계(전야제)전국누계1해리포터와 마법사의돌2001.12.146318,774154,300673,2001,680,0002두사부일체2001.12.08329,73792,300452,4001,228,6003몬스터 주식회사2001.12.21338,28961,63877,532135,9824바닐라 스카이2001.12.21265,34645,00064,000164,0005화산고2001.12.08427,89336,070504,4081,405,9706이것이 법이다2001.12.21214,12427,68835,348117,0007달마야 놀자2001.11.0722372,2991,291,2093,692,5008와이키키 브라더스2001.10.1727201,40079,300113,0009원더풀 라이프2001.12.1512901,3179,8329,832# 참고사항1) 배급위원회 회원사 및 자사 관객수 공개를 천명한 영화배급사
BOX OFFICE (서울) 12월 22일 - 23일
-
내년 1월 23일부터 2월 3일까지 네덜란드에서 열릴 제31회 로테르담 국제영화제에 한국영화가 대거 진출한다.
<봄날은 간다>(감독 허진호)와 <고양이를 부탁해>(정재은)는 장편 경쟁부문 진출작으로 확정됐으며 박기용 감독의 <낙타(들)>는 포럼부문의 초청제의를 받아놓은 상태이다.
지난해 베니스영화제에 초청됐던 송일곤 감독의 <꽃섬>도 일찌감치 초청이 확정됐으나 아직 상영부문은 정해지지 않았다.
또 민병훈 감독의 <괜찮아, 울지마>도 거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밖에 단편영화 <대학로에서 매춘하다가 토막살해당한 여고생 아직 대학로에 있다>(남기웅), <노을소리>(홍두현), <선영의 편지>(문홍식), <스토리 블라인드>(변승현), <염소가족>(신한솔), (이진우), <오르골>(김은경)도 로테르담 상영작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
(서울/연합뉴스)
한국 장-단편 로테르담영화제에 대거 진출
-
북한군을 내세운 007 시리즈 제20탄의 캐스팅이 국제적으로 화제를 모으고 있다.스위스의 불어일간지 `르탕`이 지난 14일 한국 주연급 배우들의 출연 기피로 캐스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소식을 전한 데 이어 18일 미국의 할리우드 리포트는 재미교포 영화배우 릭윤이 제임스 본드(피어스 브로스넌)와 맞대결을 펼치는 북한군자오 장군 역에 발탁됐다고 보도했다.할리우드 리포트는 007 시리즈 20탄이 내년 1월 말부터 핀란드와 아이슬란드에서 촬영에 들어가며 영국에서 대부분의 장면을 찍을 계획이라고 전했다.리 타마호리가 메가폰을 잡을 이 영화는 북한군의 강경파 특수요원이 평화적인 남북통일을 지향하는 북한의 온건파 장군을 제거하려 하자 제임스 본드가 이를 저지한다는 이야기를 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MGM 관계자에 따르면 릭윤은 강경파로 등장할 가능성이 높으며 현재 캐스팅 관계자가 온건파 장군 역을 맡을 배우를 물색하기 위해 한국 배우들을 계속 접촉중이다.(서울/연합뉴스)-----------
007영화 북한 장군 역에 `릭윤` 발탁
-
마틴 스콜세지 감독의 영화 <예수의 마지막 유혹>(1988)이 개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연말 대형 흥행물에 밀려 극장을 잡기 어려운 데다 기독교계의 항의가 예상돼 극장들이 기피하고 있다는 게 수입사 코리아준(대표 정준교) 쪽의 설명이다. 지난 98년 이 영화를 수입해 개봉하려다 미뤄온 정 대표는 “이제 우리 사회도 이 정도의 작품을 소화할 수 있다고 본다”며 “다음달 12일에는 반드시 개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이 작품과 관련해 지난 3일 한국기독교총연합회가 “상영저지운동을 펴겠다”는 성명을 낸 데 이어, 영상물등급위원회(영등위)의 인터넷 홈페이지 자유게시판에는 기독교인들의 항의 메일이 1000건 이상 날아들었다. 인터넷 포털 `다음`에도 이 영화에 반대하는 기독교인들의 카페가 열려 있다.기독교인들이 이 영화에 대해 분노하는 건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자신의 종교적 신념이 다른 사람에 의해 비틀린 모습으로 그려졌다면, 그에 대해 분노하고 항의하는 건 정당하다. 그러나
번지수 틀린 항의 분별없는 분노
-
-
조재현(36)씨는 요즘 경사가 겹쳤다. 텔레비전 드라마 <피아노>로 주가가 올라 남자 연예인 인기 1위로 꼽히고 있는 데 더해 지난 18일 베를린국제영화제쪽으로부터 그의 최근 출연작 <나쁜 남자>가 이 영화제 본선에 올랐다는 전갈이 왔다. 30대 중반에 이르러 조씨는 이제 정상급 스타로 확실히 자리매김을 한 셈이다. 89년 곽지균 감독의 <젊은 날의 초상>에 운동권 학생으로 나오면서 데뷔한 지 10여년만이다.
지난 19일밤 늦게까지 <피아노> 촬영을 하고서 20일 아침에 부랴부랴 인터뷰에 응한 조씨에게 먼저 <피아노>의 성공에 대한 소감 한마디를 청했다. “방송이나 영화계에서 배우가 없다는 말을 많이 한다. 그러나 그게 아니다. 기존의 배우들에게서 이미 알려진 이미지를 다시 우려내려고만 했지, 그들을 개발하지 않고 있는 것이다. 그점에서 나같은 `중닭` 연기자도 기회가 주어지면 활기를 띨 수 있다는 걸 보여준 것 같아 기분이 좋
활개 편 중닭 바쁜 남자 ‘조재현’
-
<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에 이어 조만간 <반지의 제왕:반지원정대>가 상륙하면서 겨울 극장가를 팬터지 영화가 점령할 태세다.왜 사람들은 팬터지를 보는 것일까. `팬터지 - 공상, 환상, 백일몽` 이라는 직역처럼 팬터지는 우리가 꿈꾸는 그 무엇이다. 그리고 우리가 팬터지에서 보고 싶은 것은, 우리의 마음 속에 내재된 그 무엇이다.팬터지 장르의 효시는 54년 출간된 <반지의 제왕>. J.R.R. 톨킨이 쓴 <반지의 제왕>은 인간과 엘프, 드워프, 오르크, 호비트 등 다양한 종족이 함께 살아가는 `중간계`(Middle Earth)라는 가상의 세계에서 벌어지는 선과 악의 싸움을 그리고 있다. 톨킨은 켈트와 북구 유럽의 신화, 중세 기사 전설 등에서 전해지던 요소들을 창조적으로 변용하여 팬터지라는 독특한 장르를 만들어냈다.전통적인 팬터지는 마법사, 기사, 도둑 등 개성적인 능력을 가진 인물들이 팀을 이루어 모험을 떠나는 형식이다. 그 과정에서 각자
`팬터지 마법의 강` 에 빠져볼까요?
-
<반지의 제왕>은 <해리포터와 마법사의 돌>의 열풍을 제압할 수 있을까. 소설 <해리포터와 마법사의 돌>는 1996년 출간된 이래 지금까지 1억1천만부가 팔렸다. 54년에 나온 소설 <반지의 제왕>의 독자는 10억명이 넘는 것으로 추산된다. 4부작으로 예정된 영화의 첫편인 <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의 예산은 1억3천만달러이고 3부작의 첫편인 <반지의 제왕:반지원정대>는 1억900만달러이다. <해리포터와 마법사의 돌>의 상영시간은 152분이며 <해리포터와 마법사의 돌>는 178분이다.<해리포터와 마법사의 돌>는 지난달 16일 미국에서 개봉해 지난 9일까지 미국에서만 제작비의 두배 가까운 2억4천만달러를 벌어들였다. 한국에서는 지난 14일 개봉한 뒤 18일까지 5일만에 무려 90만명의 관객을 끌어모았다. <반지의 제왕>은 현지시각으로 19일 미국과 유럽에서 동시에 개봉한다. 지난
<해리포터와 마법사의 돌> VS <반지의 제왕>
-
한국영화의 흥행사를 새로 쓴 <친구>(제작 시네라인2)가 20일 오후 5시 30분 서울 종로구 명륜동 성균관대 600주년기념관에서 열린 제9회 춘사나운규영화예술제 시상식에서 작품상을 비롯해 감독상(곽경택)과 남자연기상(유오성) 등 주요 3개 부문상을 거머쥐었다.이로써 <친구> 지난 4월 대종상 7개부문 후보에 올랐다가 무관으로 끝난 설움을 다소나마 달래게 됐다.<친구>는 12일 청룡영화상 시상식과 지난달 영평상시상식에서도 흥행 공로를 인정받아 각각 최고흥행상과 특별상을 받는 데 그쳤다.열성 관객으로부터 재개봉 운동까지 이끌어냈던 <고양이를 부탁해>는 기획상(오기민), 여자연기상(배두나ㆍ이요원ㆍ옥지영), 심사위원특별상(정재은 감독)을 차지했다.각본상과 촬영상은 각각 <와이키키 브라더스>의 임순례 감독과 <리베라메>의 서정민 촬영감독에게 돌아갔고 조명상에는 <흑수선>의 이승구 조명감독이 뽑혔다.기술상은 <무
<친구> 춘사영화제 3개부문 석권
-
국회 법사위 법안심사소위는 20일 성인영화만을 상영하는 제한상영관 설치를 허용하는 내용의 영화진흥법 개정안을 처리했다.개정안은 모든 영화에 대해 심의를 받게 하되 등급 분류에 ‘제한상영가’ 등급을 신 설하고 이 등급에 해당하는 영화만 상영하는 제한상영관을 설치할 수 있도록 했다. 제한상영가 등급 영화는 만 18세 이상만 관람할 수 있으며, 18세 이상이라도 고교생의 경우에는 관람할 수 없다.다만 소위는 제한상영관에서 상영하는 영상물에 위헌소지가 있다고 판단될 경우 영상물등급위원회가 관계기관에 통지해야 한다는 조항을 포함시켜 수정 의결했다.소위는 또 현행 무사증입국 허용 국가외에 베트남, 몽골, 필리핀, 네팔, 인도등 17개국 국민에 대해서도 무사증 입국을 허용하는 것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제주도 개발특별법 개정안도 처리했다.개정안은 제주투자진흥지구 제도를 도입해 총사업비 1천만-3천만달러 이상 내. 외국인 투자에 대해 법인세.소득세.지방세를 3년간 100%, 이후 2년간 50%
성인영화 상영관 설치 허용
-
한국 영화 <쉬리>가 프랑스 전국 극장 30개소에서 19일 일제히 개봉됐다.쉬리가 상영되는 영화관은 고몽극장 등 파리시내 5개소, 지방 25개소이다.프랑스 극장들은 통상 개봉후 1주일 동안 관객 반응을 본 뒤 계속 상영 여부를 결정한다.주불 한국문화원은 "워낙 상영극장이 많아 프랑스 내에서 이 영화가 상영되는 기간이 상당히 길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프랑스에서 한국 영화가 30개 극장에서 동시에 개봉되는 것은 이례적인 일로 최근 높아지고 있는 한국 영화에 대한 프랑스인들의 관심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문화관 관계자는 `홍콩, 대만, 일본 영화는 상영 횟수가 많고 현지의 관심이 높은 편이나 한국 영화는 프랑스에 거의 알려지지 않은 것이 사실`이라며 `그러나 최근 몇년 새 한국 영화에 대한 관심이 급속도로 높아지고 있어 일본 영화 등에 대한 관심이 한국 영화쪽으로 옮아가고 있는 느낌`이라고 말했다.프랑스에서는 지난해 칸 영화제에서 임권택 감독의 <춘향전>이
프랑스 극장 30개소서 <쉬리> 상영
-
영화 <물랑루즈>와 <디 아더스>에서 활약한 미국 여배우 니콜 키드먼이 올해 최고의 엔터테이너로 뽑혔다.미국의 연예주간지 「엔터테인먼트 위클리(Entertainment Weekly)」 최근호는 `올해의 엔터테이너 12`를 발표하면서 니콜 키드먼을 1위에 올려놓았다.「엔터테인먼트 위클리」는 `새로운 역할이 주어질 때마다 사람들을 매혹시키고 놀라게 하는 열정과 재능이 있으며 항상 사람들의 기대치를 뛰어넘고자 노력하는 배우`라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지난 10월 26일 국내에서 선보인 <물랑루즈>는 지금까지 장기흥행하며 전국에서 100만명의 관객을 불러모으고 있으며 <디 아더스>는 내년 1월 11일 개봉을 앞두고 있다. 이밖에 `올해의 엔터테이터`에는 영화 「메멘토」의 감독 크리스토퍼 놀란(5위),<반지의 제왕>의 배우 비고 모텐슨(6위), <아멜리에>의 타이틀롤 오드리 토투(11위), 애니메이션 <슈렉>의 슈렉과
올해 최고의 엔터테이너에 니콜 키드먼
-
청룡영화상 평론상 관련, 주최측 `후보들 반응 타진한 것일뿐` 변명처방이 내려졌다고 통증이 사그라드는 건 아닌가보다. 지난 12월12일 폐막한 제22회 청룡영화상을 둘러싼 사태가 그런 모양새다. 한 영화평론가의 수상 거부로 시작된 논란은 영화제가 끝난 지금까지 계속되고 있다. 도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여기서 일단 12월10일로 돌아가보자. 영화평론가 박평식씨는 이날 오전과 오후에 한번씩 영화제 사무국원으로부터 전화를 받는다. 전해들은 내용은 `정영일 평론상 수상자로 결정되었으니 이튿날인 11일 오후 2시 조선일보사 2층에서 열리는 시상식장에 참석해달라`는 것이다. 이로부터 3시간 뒤 박평식씨는 영화제 사무국에 `정영일 영화평론상을 거부하며`라는 글을 보낸다. 그는 후원사가 조선일보임을 문제삼았다. 여기서 그가 보낸 글의 일부를 들춰보자. `조선일보는 이미 이 땅에 하나의 거대한 권력으로 군림하며, 평등과 정의의 실현을 가로막고 있다. …(중략)… 얼마 전 벌어졌던 <애
박평식씨, 수상 거부 파동 전말
-
한 남성이 있다. 아내와는 이혼했고, 아내와 함께 살고 있는 하나뿐인 아들놈은 자신을 무시하기만 한다. 건축가인 그는 일로 삶과 승부를 걸려 하지만, 직장에서조차 해고를 당하는 신세가 된다. 이것도 모자라 그에겐 청천벽력이 떨어진다. 암에 걸려 4개월밖에 살 수 없다는 의사의 선고가 그것이다. 40 몇년의 짧다면 짧은 인생을 정리해야 하는 그는 마지막 여름 동안 자신의 집을 짓기로 결심한다. 하지만 마지막 순간을 아들과 함께하려는 계획은 순탄치 않다. 워낙 반항적인 성격에다 마약에 빠져 있는 아들은 아버지의 본심을 알고자 하지 않고, 사고만 치려 한다. <뉴욕, 뉴욕> <분노의 주먹> 등에서 마틴 스코시즈의 프로듀서였고, <밤 그리고 도시> <사랑이 머무는 풍경> 등의 작품을 연출했던 어윈 윙클러의 신작 <라이프 애즈 어 하우스>의 주인공 조지는 가정과 일이라는 개인에게 가장 중요한 두 가지 영역에서 소외당한 인물이다. 자신의 삶
해외신작 <라이프 애즈 어 하우스>
-
탤런트 이경영이 만드는 두 번째 영화 <몽중인>의 촬영이 12월11일 모두 끝났다. 12월 초, 일산의 어느 모델하우스와 카페에서 있었던 <몽중인>의 막바지 촬영장소에서 만난 이경영 감독은 약간 고조된 분위기 속에 조용히 작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이경영, 하희라 주연의 <몽중인>은 이루어지지 않은 사랑에 관한 이야기. 그러나 그 슬픔보다는 아쉬움 속에서도 끝까지 마음을 쓰는 사랑의 따뜻함에 초점을 맞춘다. 국악가 집안의 아들인 이윤호(이경영)는 일본인인 아내 하나꼬가 죽은 뒤 12살짜리 딸 유메(정인선), 노부(송재호)와 함께 사는 시나리오 작가. 하나꼬의 친구인, 꽃집을 경영하는 소라(하희라)는 오래 전부터 짝사랑해온 이윤호의 곁을 머물며 이 가족을 보살핀다. 죽은 아내에 대한 그리움을 딸 유메에 대한 사랑으로 달래는 이윤호에게, 그러나 소라는 이성적 사랑의 대상이 아니다. “다양한 이야기가 들어 있는 영화입니다. 짝사랑도 있고, 코미디도 있고, 슬
<몽중인> 촬영현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