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피플 > STAFF 37.5
[STAFF 37.5] 두려움에도 소리가 있다
정지혜 사진 백종헌 2015-09-18

<오피스> 김창섭 사운드 슈퍼바이저

영화 <오피스>(2014) <베테랑>(2014) <살인의뢰>(2014) <군도: 민란의 시대>(2014) <무뢰한>(2014) <역린>(2014) <오늘의 연애>(2014) <신촌좀비만화>(2014) <또 하나의 약속>(2013) <우아한 거짓말>(2013) <남자가 사랑할 때>(2013) 외 다수

째깍대는 시계 초침, 종이를 찍어내는 스테이플러, 쉼 없이 돌아가는 인쇄기. 회사 사무실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물건들이 내는 소리가 불현듯 공포스럽게 느껴진다면 그것만큼 두려운 게 없을 것이다. 영화 <오피스> 속 사운드가 그렇다. 영화는 사무실을 배경으로 직원들 사이에서 감지되는 정체 모를 두려움이 무엇인지 파헤쳐간다. 그러다보니 김창섭 사운드 슈퍼바이저는 “전혀 존재하지 않던 소리를 만들어내기보다는 사무실에서 충분히 들릴 법한 소리를 극대화”하는 데 주력했다. 시침 소리 위에 망치로 내리치는 소리를 덧입히고, 종이를 스테이플러로 찍어누를 때의 책상 진동을 포착해 넣었다.

특히 그가 공을 들인 건 앰비언스(인물이 있는 공간에서 나는 소음)다. “영업부서의 왁자한 분위기를 소리로 살려야 했다. 제작 여건상 엑스트라를 많이 쓸 수 없어서 성남시청에 가서 소리를 채집해왔다. 또 김상규 부장(김의성)이 혼자 계단에서 라이터를 켤 때 나는 소리, 그때 멀리서 들리는 누군가의 발걸음이 내는 울림을 놓치지 않고 소리로 만들었다.” 그가 인물들간의 대화, 인물의 움직임이 만들어내는 소리인 폴리, 특수효과가 요구되는 하드이펙트보다 앰비언스를 중시하는 데는 이유가 있다. 사운드 작업을 처음 시작한 1990년대 중•후반, ‘블루캡’에 몸담고 있던 때 <레옹>(1994) 사운드 슈퍼바이저로 유명한 존 모리스를 만날 기회가 있었다. “당시엔 빗소리가 필요하다고 하면 그냥 아무 빗소리나 가져다 넣는 식이었다. 그런데 빗소리도 흙바닥에 떨어지느냐, 차창을 때리느냐에 따라 다 다르다. 존 모리스는 그 점을 짚으며 영화 전체의 사운드를 관장하는 건 결국 이런 앰비언스의 차이에서 온다고 하더라. 소음 그 자체가 스토리텔링이 될 수 있고, 인물의 감정을 만들 수 있다는 걸 그때 알았다.” 이후 블루캡에서 <접속> <텔미썸딩> 등의 사운드 작업에 참여하며 앰비언스에 대한 시도들을 계속해왔다(현재는 ‘모노콘’이라는 회사를 직접 운영 중이며, <베를린>이 창립작이다). 그런 그가 사운드 작업을 할 때 항상 염두에 두는 게 있다. “‘소리가 영화를 압도하지 않도록 하자’라는 생각이다. <베테랑> 때도 류승완 감독님과 ‘소리가 장면을 앞서 나가지는 말자’라고 의견 일치를 봤다. 관객이 영화에 나오는 소리에 신경쓰지 않고 자연스레 영화를 보고 느끼면 그뿐이다.” 사운드 작업자로서 바라는 점도 잊지 않았다. “제작비 절감을 얘기할 때, 사운드 예산이 가장 먼저 줄어든다. 오직 해당 영화만을 위한 사운드를 만들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될 때 일할 맛이 난다. 좋은 사운드를 위해선 투자도 필요한 법이다.”

수첩

<군도: 민란의 시대>를 한번 들어보자. 말발굽 소리도 다 같은 말발굽 소리가 아니다. 말이 달리는 곳이 젖은 흙길이냐 눈길이냐에 따라 소리가 다르다. 미세하지만 분명한 차이. 이를 위해 김창섭 사운드 슈퍼바이저는 신마다 필요한 사운드를 꼼꼼하게 분석해 수첩에 기록해둔다. 사운드를 제대로 빚어내기 위한 그의 노하우가 고스란히 담겨 있다.

관련영화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