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천영화제 사무국은 제6회 영화제기간 가족영화 3편을 무료로 상영한다.
부천시청 앞 광장에서는 오는 13일 '소나기', 14일 '집으로', 19일 '화산고' 등이 오후 8시 30분 각각 상영된다.
사무국은 광장에 가로 24m, 세로 11m의 대형 에어돔 스크린을 설치, 이들 작품을 상영한다.
(부천/연합뉴스)
부천영화제 사무국, 영화3편 무료 상영
-
한국영화의 성장세는 올 상반기에도 멈추지 않았다. 영화진흥위원회가 배급사와 전산망업체의 도움으로 잠정 집계해 발표한 자료를 보면, 6월 말까지 한국영화의 시장 점유율(서울 관객 기준)은 46.1%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같은 기간 한국영화의 점유율은 38.3%였다.6월 한달 동안 월드컵이라는 ‘재난’에 가까운 극장가 최대의 악재가 끼어 있었음에도 관객수는 줄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에 서울 관객 수는 1754만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494만명)에 비해 17.4% 늘어났다. 지난해 관객 수가 36% 증가한 것에 비하면 증가세는 반감했지만 여전히 적지 않은 증가세를 보였다.상반기 관객수 중 한국영화 관객수만 살펴보면 808만명에 이른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의 571만명에 비하면 41.5% 증가한 수치다. 상반기 가장 많은 관객을 끈 영화는 〈집으로〉(144만명), 〈반지의 제왕〉(136만명), 〈공공의 적〉(116만명), 〈스파이더맨〉(110만명)의 차례로 나타
한국영화 약진 지속
-
KBS 1TV 미니다큐 5부작 <인간극장>월~목, 오후 7시)이 월드컵 축구 대표팀 `이영표 선수'편을 불방해 네티즌들의 항의가 잇따르고 있다.
<인간극장>은 지난 1~5일 월드컵특집 `대~한민국 나의 아들'편에서 박지성.설기현.이천수.김남일.이영표 선수 등 축구스타 5인방의 가족 이야기를 차례로 방영하기로 하고 예고편까지 내보냈으나 5일 `이영표 선수'편만을 사전예고 없이 방영하지 않은 것. 대신 설기현 선수의 이야기를 4.5부로 나누어 이틀에 걸쳐 편성했다.
이에 따라 시청자들로부터 `불방 이유'를 묻는 문의와 항의가 잇따랐다.
제작진은 10일 "제작당시 이영표 선수 가족들의 동의를 얻어 촬영했으나 이영표 선수가 뒤늦게 이 사실을 안 뒤 `선수는 그라운드에서 몸으로 말하는 것'이라며 본인 및 가족들의 사생활을 공개하고 싶지않다고 전해와 부득이하게 내보내지 못하게 됐다"면서 "시청자들에게 미리 공지하지 못한 점을 사과드린다"고 KBS 인터넷홈페이지에 해명
<인간극장> 이영표편 불방, 네티즌 항의 잇따라
-
국내 텔레비전에 본격적인 심야 성인 토크쇼를 선보였던 쟈니윤이 10여년 만에 다시 텔레비전 무대에 선다. 그동안 미국과 한국을 오가며 연예활동을 계속해온 그는 오는 14일부터 방송되는 경인방송(iTV)의 <왓스 업>(일요일 밤 10시30분)에 출연해 새로운 토크쇼의 매력을 선사한다.토크쇼와 시트콤의 장점을 결합한 <왓스 업>은 30~40대 시청자를 겨냥한다. 쟈니윤은 이 프로그램의 주인공(시트콤)이자 유명한 토크쇼 진행자(토크쇼)로 나선다. 그때그때 화제의 인물을 초청해 진행하는 토크쇼가 40%, 토크쇼 제작을 둘러싼 얘기가 30%, 한 집안의 가장으로서 미국에서 겪는 일상생활이 30%를 차지한다.쟈니윤은 1992년 에스비에스 <쟈니윤 쇼>를 진행하며 국내에 성인 심야 토크쇼의 씨앗을 뿌렸다. 약간 혀꼬부라진 소리로 성의 경계를 넘나드는 그의 농담은 종종 세간에 화제를 뿌리기도 했다. 쟈니윤은 한 나라의 부와 자유를 재는 척도가 토크쇼라고 강조한다.
자니 윤 10년만에 토크쇼 컴백
-
-
제스와 줄스는 축구스타 데이비드 베컴의 브로마이드에 입을 맞추는 대신, 데이비드 베컴 같은 근사한 킥을 차기 위해 달리고 뒹구는 열여덟살의 영국 소녀들이다. 하지만 세상 어떤 남자도 자기보다 근육이 실한 여자와 데이트하지 않을 거라고 굳게 믿는 엄마들의 태클도 집요하다. “‘스파이스 걸’ 중에 스포티한테만 남자가 없는 건 다 그럴 만한 이유가 있는 거야!” “넌 어떻게 된 애가 언니가 결혼식 날짜를 받은 판에, 여기 앉아서 빡빡머리 사내녀석들 사진이나 쳐다보고 있니?” 힌두 전통이 강고한 인도계 가정의 둘째딸로 외롭고 힘겹게 축구를 향한 짝사랑을 지켜가던 제스는, 공원에서 공을 차던 중 여자축구팀 멤버인 줄스의 눈에 띄어 친구와 팀을 한꺼번에 얻게 된다.<해변의 바지> <왓츠 쿠킹?>에서 영국사회 소수민족과 여성의 하위문화를 장르영화의 흥겨운 리듬에 맵시있게 실어내 주목받은 거린다 차다 감독은 <슈팅 라이크 베컴>에서 그야말로 완벽한 세트 플레이를 노
해외신작 <슈팅 라이크 베컴>
-
버스에서 배로, 배에서 작은 배로, 그리고 더더욱 작은 배로 옮겨 타며 도착한 곳은 인천의 덕적도와 인접한 조그마한 섬인 소야도. 섬 마을주민의 4분의 1이 조금 넘는 영화스탭들이 따가운 햇빛 아래서 분주히 백사장을 오가며 조개를 모아 이름을 만든다. ‘지환, 경희, 수인 여행기념.’ 조개껍데기로 이름이 완성되고 세명의 배우들이 자리하고 눕는다. 모든 준비가 되었는데도 카메라는 돌아갈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 파도에 밀려오는 바닷물이 무릎까지 와야 하기 때문이다.순수하고 남을 배려할 줄 아는 지환(차태현), 절친한 친구 사이로 솔직하고 쾌활해 보이는 경희(이은주)와 맑고 순수한 수인(손예진). 우연히 만난 이 세 남녀의 풋풋한 사랑 이야기를 담게 될 영화 <연애소설>. 이 작은 섬에서 그들만의 여행을 떠나 바닷가에서 즐거운 한때를 보내는 장면들을 촬영하고 있다. 이 영화로 데뷔하는 이한 감독은 “누군가를 진심으로 사랑했던 때가 가장 행복했던 순간이라고 생각한다. 관객 또한
<연애소설> 촬영현장
-
7일 막을 내린 제1회 미쟝센 단편영화제에서 신재인 감독의 <재능있는 소년 이준섭>이 대상 수상작으로 선정, 1천만원의 상금을 차지했다.
'쟝르의 상상력展'이란 주제로 열린 제1회 미쟝센 단편영화제는 비정성시(사회드라마), 절대악몽(공포 판타지), 사랑에 관한 짧은 필름(멜로), 희극지왕(코미디),4만번의 구타(액션스릴러) 등 다섯개의 장르별 섹션으로 분야별 작품상을, 장르를망라한 한 작품에 대상을 수여했다.
다음은 장르별 작품상 수상작
△희극지왕- <재능있는 소년 이준섭>(신재인)
△비정성시- <돌고돌고>(노진성)
△사랑에관한 짧은 필름- (박재웅)
△절대악몽-<사춘기>(제창규)
△4만번의 구타-(박교선)
미쟝센 단편영화제 대상 <재능있는 소년 이준섭>
-
2000년 <불후의 명작>으로 영화에 데뷔했던 브라운관 스타 송윤아가 2년 만에 다시 스크린 나들이에 나선다. 최근 MBC 드라마 「선물」에서 식지 않는 인기를 과시한 송윤아는 차승원ㆍ설경구 주연의 <광복절 특사>(제작 감독의 집)에 출연한다.
지난 6월 19일 크랭크인한 <광복절특사>는 두 명의 탈옥수가 광복절 특사 명단에 자신이 포함돼 있음을 확인하고 다시 교도소로 잠입하기 위해 애쓴다는 줄거리의 코미디. 송윤아는 다른 남자와 눈이 맞아 애인 재필(설경구)의 탈옥 결심을 부추긴 여주인공 경순으로 등장한다.
<주유소 습격사건>과 <신라의 달밤>의 명콤비 김상진 감독과 박정우 작가가호흡을 맞춘 <광복절특사>는 8월 말까지 촬영을 마치고 올 가을에 개봉할 예정이다.
(서울/연합뉴스)
김상진 감독의 <광복절특사> 헤로인에 송윤아 낙점
-
1936년 조르주 프랑쥐 (Georges Franju)와 앙리 랑글르와 (Henri Langlois)에 의해 설립된 프랑스 시네마테크는 대부분의 예산을 국가로부터 지원받아 운영되는 사기관이다. 프랑스 시네마테크가 현재 소장하고 있는 영화는 장, 단편을 아울러 3만5000 편에 이르며(매년 새로 기탁되는 영화가 1500편 정도), 해마다 복원하는 영화도 200편 가량 된다. 또 서로 떨어져 있는 2개관에서 매년 1300편 정도의 영화를 상영하고 있다.이처럼 영화에 관한 국가 유산을 보존, 관리하는 프랑스 시네마테크가 최근 재정난으로 인해 위기에 빠졌다. 연간 7억 유로(약 7천7백억원)에 가까운 예산에도 불구하고(이 가운데 4억5천만 유로는 프랑스의 '영화 진흥 위원회'격인 시엔시가 지원하는 공적 자금이다), 지난해 약 40만 유로의 적자를 낸 프랑스 시네마테크는 금년 5월까지 직원들의 월급조차 지급하지 못했다. 이러한 결과를 빚어낸 배경으로 흔히들 잠재적인 '시네필(영화 애호가)'의
흥청망청 예산집행에 프랑스 시네마테크 기우뚱
-
월드컵의 응원 열기에도 불구하고 올 상반기 영화관을 찾은 관객은 지난해에 비해 17.4%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영화진흥위원회가 배급사와 전산망업체 등의 협조를 받아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서울 관객을 잠정 집계한 결과 지난해 같은 기간의 1천494만4천834명에서 260만여명 늘어난 1천754만8천951명에 이르렀다. 관객 숫자를 국적별로 살펴보면 한국영화가 808만8천541명, 미국 직배영화 490만7천40명, 미국 수입영화 393만7천292명, 일본영화 17만8천369명, 기타 43만7천709명으로 나타났다. 한국영화의 신장세는 전체 증가율의 갑절을 훨씬 넘는 41.5%를 보였다. 이에 따라 한국영화의 관객 점유율도 지난해 같은 기간의 38.3%에서 7.8% 포인트 증가한 46.1%를 기록했다.올 상반기 개봉 편수(지난해 이월작 제외)를 보면 한국영화의 신장세는 더욱 두드러진다. 지난해는 한국영화가 24편으로 전체의 16.9%에 지나지 않았으나 올해는 44편(29.3%)으로
올 상반기 한국영화 지표, 아직은 파란불
-
민병훈 감독의 <괜찮아, 울지마>가 13일까지 열리는 체코 카롤로비 바리 국제영화제 공식 경쟁부문에 초청됐다. 올해로 37회를 맞은 이 영화제에는 김성수 감독의 <무사>가 ‘또 다른 시선’ 부문에, 임권택 감독의 <취화선>이 ‘호리존스’부문(다른 영화제 수상작 초청 상영)에 초청됐고, 김기덕 감독의 전작 7편을 상영하는 ‘김기덕 감독 회고전’도 열린다.
이상수 기자leess@hani.co.kr
민병훈 감독 체코 국제영화제 초청
-
BOX OFFICE (서울) 7월6일 - 7월7일순위TITLE개봉일스크린좌석수서울주말서울누계(전야제)전국누계1스타워즈에피소드22002.07.0456168071270002070004860002센과 치히로의행방불명2002.06.28328766756902815575594553챔피언2002.06.2848130447317339770312070634스피릿2002.07.0530787735800404001002005서프라이즈2002.07.0526574827309352901041886패닉룸2002.06.21233804235183062986629397배드컴패니2002.07.051533741875024604612208레지던트 이블2002.06.13462739352623466659169해적,디스코왕되다2002.06.0622172460421200127303510워크투리멤버2002.06.212166220068100119000# 참고사항1) 배급위원회 회원사 및 자사 관객수 공개를 천명한 영화배급사외 공개를
BOX OFFICE (서울) 7월6일 - 7월7일
-
한국대중문화전 등 한국 영상문화 소개하는 행사 활발하게 열려2002년 6월. 이번만큼 많은 일본인들이 한국을 생각하고 이야기한 적은 일찍이 없었다. 지금까지 ‘간코쿠’라고 불린 나라의 호칭이 ‘대한민국’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 일본인의 수도 한달 사이에 헤아릴 수 없이 많이 늘었다. 월드컵 공동 주최와 동시에 일·한-한·일 국민교류의 해로 정해진 올해, 일본에서는 한국에 관한 다양한 이벤트가 기획되고 또 열리고 있다. 그중에서 6월에는 한국영화에 관한 인상적인 두개의 이벤트가 있었다.5월25일부터 7월14일까지 세타가야미술관에서 열리는 ‘한국대중문화전’은 한국의 거리에 넘치는 다양한 미디어들을 미술관에 옮겨다놓은 유니크한 전람회다. TV, 영화 등의 영상미디어, 신문, 잡지 등의 인쇄미디어뿐만 아니라, 간판이나 표지판, 패션과 의식 등 광범위한 의미의 미디어들도, 그 사진과 실물이 관내에 전시됐다. 영화에 관한 것으로는 포스터, 극장 간판 등이 전시됐고, 영화 예고편도 상영됐다.
[도쿄리포트]월드컵이 끝나도, 대한민국
-
마르코 푸치니 감독 <네가 찾는 것>, 모레티의 후원받아 6월 말 개봉해 흥행선전중지난 6월 말 이탈리아 국민감독 난니 모레티의 열렬한 지지를 등에 업고 개봉한 영화 <네가 찾는 것>(Quello che cerchi)이 현지에서 화제가 되고 있다. 신예 마르코 푸치니가 연출한 <네가 찾는 것>은 지난해 제노바 G8회의에 대항해 열린 세계화 반대시위에서 사고사를 당한 다비드라는 청년의 실화를 다루고 있다. 마르코 푸치니 감독은 “세상 어느 한구석에서 일어나는 일을 증언하고 탐구해야 하는 필요성을 다큐가 아닌 극영화로 풀어보았다. 이 영화는 누아르고, 멜로경찰드라마인 동시에 허무주의적인 로드무비다”라고 소개한다. 주인공 다비드는 동물보호주의자이자 환경보호주의자다. 또래들이 쉽게 탐닉하는 술이나 마약에도 손대지 않을뿐더러, 동물원에 갇혀 있는 동물들이 하루빨리 해방되기를 꿈꾸는 순진한 청년이다. 그의 어머니는 어릴 적에 가출했고, 아버지는 뒤늦게 성전환 수
[로마리포트]난니 모레티, ‘그가 찾은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