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모텔방에서 한 남자가 비디오카메라를 켠다. 그 순간 카메라는 영화가 가장 내적이고 은밀한 공간을 담아내는 방식을 그대로 답습하지만 한 가지가 다르다. 남자의 뒤편에 수줍게 앉아 있는 사람은 여자가 아니라 남자다. 이어지는 장면, 실오라기 하나 걸치지 않은 채로 두 남자는 욕실에 들어간다. 여전히 부끄러워하는 남자와 그 모습을 카메라에 담으려는 남자는 이윽고 수증기가 피어오르는 욕실에서 서로를 애무한다. 카메라가 물줄기에 젖어버린 그들의 성기까지 서슴없이 비출 때, 보는 이는 눈을 어디에 둬야 할지 난처해진다. <REC>의 오프닝신이다.
<REC>는 퀴어옴니버스영화 <동백꽃>의 <떠다니는, 섬> 에피소드, 퀴어단편영화 <올드 랭 사인>을 연출한 소준문 감독이 극장에서 선보이는 첫 중편영화다. 전작을 통해 동성 연인들의 관계를 멜로적인 감수성으로 조명해온 소준문 감독은 <REC>에서도 그 감성을 유지하되 ‘파격’이라는 형식을 덧입혔다. 5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모텔을 찾은 게이 커플, 영준(송삼동)과 준석(조혜훈)의 하룻밤을 그린 이 작품은 그동안 한국영화에서 한번도 본격적으로 드러나지 않았던 동성 연인들의 정사 장면을 사실적인 화면에 담았다. 카메라가 몸을 포갠 두 남자의 모습을 노골적으로 비출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단어는 이질감이다. 그것은 동성애에 대한 이질감이라기보다는 이제까지 한번도 공개되지 않았고 접할 수도 없었던 상황에 대한 낯섦에서 비롯된 이질감이다. 이러한 감정은 소준문 감독이 <REC>의 높은 노출 수위를 감행한 이유이기도 하다. “사람들은 직접적으로 보지 못한 것에 대해 더 많은 상상을 하게 된다. 동성애자에 대한 편견은 그런 상상에서 오는 것 같다.” 그의 말처럼 <REC>는 깊이 감춰져 있으며 그렇기 때문에 오해하기 쉬운 성소수자의 사적인 영역을 펼쳐 보임으로써 동성애자에 대한 잘못된 상상과 편견에 정면으로 문제를 제기하는 작품이다.
그러나 이 영화의 가장 인상적인 순간은 육체와 육체의 결합이 갑자기 다른 정서를 만들어낼 때 온다. 준석과 정사를 나누던 영준은 연인의 몸 위에서 갑자기 울음을 터뜨린다. 연인 사이의 다정한 분위기를 순식간에 전환하는 이 장면은 불균질하지만 많은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영준의 말처럼 그들에겐 보장된 미래가 없다. 사회의 차가운 시선, 여전히 결혼이라는 제도적인 틀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게이 커플은 <REC>의 대사처럼 “5년을 50년처럼” 여기며 사랑해야 한다. 따뜻한 연인의 몸 위에서 그를 짓누르는 외적인 문제들을 떠올리며 무너지는 영준의 모습은 한국사회에서 게이 커플이 처한 비극적인 상황을 떠오르게 한다. 영화의 후반부에 이어지는 커플간의 눈물 섞인 고백은 감성의 과잉으로 느껴지기도 하지만, 시각적인 ‘파격’에서 감정적인 ‘신파’에 이르기까지 이야기의 결을 촘촘히 쌓아나가는 <REC>의 화법만큼은 인상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