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News & Report > Report > 영화제
‘10대 셀프 카메라’ 떴다

제3회 대단한 단편영화제, 9월3일부터 9일까지 시네마 상상마당에서

9월3일부터 9일까지 시네마 상상마당에서 ‘제3회 대단한 단편영화제’가 열린다. 올해 영화제의 관심은 ‘새로운 세대의 출현’이다. 88만원 세대, 디지털 세대 등으로 불리는 오늘날의 10대, 20대 감독들이 이 영화제의 주인공들이다. 이들의 카메라가 지금, 이 세상에서 무엇을 근심하는지, ‘~세대’라는 호명을 무심히 수용하기보다 이들이 자신의 삶을 어떻게 서사화하는지 목격할 기회다.

무엇보다 눈에 띄는 섹션은 ‘10대들의 셀프 카메라’다. 누군가에 의해 찍히는 대상이거나 시간이 흐른 뒤에야 향수어린 기억으로 되살려지곤 하던 영화 속 10대들은 지난 몇년간 카메라를 든 주체로 진화를 거듭해왔다. 그 결과물들을 확인하는 자리인데, 완성도 면에서는 아직 거친 부분이 다분하지만, 이상하게도 그 거친 부분들이 이들만의 언어처럼 느껴지는 순간들이 있다. 나날이 발전해가는 영상매체의 수혜자들답게 카메라에 대한 두려움이나 엄숙함은 거의 찾아볼 수 없고 영상을 자연스럽게 일상화한다는 인상을 준다. 그렇다고 해서 이들의 문제의식이나 고민까지 가벼운 건 아니다. 이를테면, 구양욱의 <지민이를 위하여>나 이보라의 <로드 스쿨러> 같은 영화들은 십대 개인의 일상이 필연적으로 사회적 맥락 안에서 존재할 수밖에 없음을 자연스럽게 드러낸다.

<지민이를 위하여>

<모던 파트 타임즈>

또 다른 섹션인 ‘세대 이야기’에는 궁핍한 20대의 초상을 다룬 영화들이 많다. 비록 가난하지만 꿈을 포기하지 않는 자들이 아니라 가난해서 꿈조차 꿀 수 없는 자들의 이야기. 최근 20대 감독들이 만든 단편 중 상당수의 주인공들이 비정규직 노동자이거나 백수라는 사실은 지금, 이 땅의 수많은 청춘들이 당면한 가장 큰 고통이 무엇인지를 알려준다. 제목부터 그런 사실을 강력하게 발언하는 영화들, 예컨대, 김자경의 <모던 파트 타임즈>나 신승철의 <무직의 무지개> 등은 이데올로기도, 꿈도 아닌 생존 그 자체와 비루한 싸움을 벌여야 하는 88만원 세대의 그림자를 보여준다. 물론 사회가 이들을 경제적인 벼랑 끝으로 몰고 간다고 해서 이들의 마음까지 메마르게 할 수는 없다. 임오정의 <거짓말>에서처럼 타인과의 관계는 여전히 사랑이나 우정, 이별 같은 이름으로 청춘의 마음을 흔들고, 정미나의 <불안의 최전방>에서처럼 막연한 불안감과 쓸쓸한 공기는 그 시절에 짙게 스며 있다.

한편 ‘In Out of 10s’는 지나간 10대 시절을 떠올리는, 단 낭만화하지 않고 기억해내는 영화들로 구성된다. 여기에는 한때 절실하게 꿈을 소망하던 아이들이 있거나(배지영의 <땐싱보이>, 김종관의 <엄마 찾아 삼만리>), 친구와의 갑작스런 이별이 있거나(남궁선의 <최악의 친구들>, 장건재의 <꿈속에서>), 사랑의 열병으로 가득하고(김민숙의 <기린과 아프리카>, 전고운의 <내게 사랑은 너무 써>), 억압과 추억이 공존하는 학교라는 작은 사회가 있으며(박상준의 <우리학교 대표>, 윤성현의 <아이들>), 그 누구도 이해할 수 없을 비밀스러운 자기만의 슬픔이 배어 있다(정지연의 <봄에 피어나다>, 안세훈의 <사과>).

이 밖에도 <시선 1318>을 미처 극장에서 보지 못한 관객을 위한 상영이 예정되어 있으며, 배우에서 감독으로 활동영역을 넓혀 <똥파리>로 화려한 성공을 거둔 양익준의 단편들, 기발한 상상력을 귀엽게 풀어내는 재주를 가진 장형윤의 단편애니메이션들을 한꺼번에 볼 수 있다. 배우 특별전도 마련되어 있는데, 박찬욱의 장편영화들뿐만 아니라 다수의 독립영화들을 통해 낯익은 정희진 특별전, 그리고 <똥파리>의 히로인 김꽃비 특별전도 주목할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