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News & Report > News > 해외뉴스
[외신기자클럽] 영화광의 숙취

작가주의 영화엔 초라한 해’로 남은 2006년 프랑스 영화계

프랑스는 포도주와 영화를 똑같이 신성하게 여긴다. 여러 면에서 2006년은 예외적인 해였다. 프랑스영화는 8천만명의 관객을 끌어들였다. 그리고 좀더 기쁜 것은 할리우드에 맞서 자국 영화시장의 43%를 차지했다. 프랑스는 아직까지 인도, 한국과 함께 사람들이 자국영화를 즐기는 든든한 버팀목 같은 나라 중 하나다. 단지 그 작품들이 유독 <당신은 참 잘생겼어> <결혼해줘> <캠핑>과 같은 예술적 야망이 없는 로맨틱코미디거나 성애물이라는 점만 뺀다면 말이다. 2006년은 1월7일자 <르몽드> 기사 제목처럼 ‘작가주의 영화엔 초라한 해’로 남을 것이다.

평론가들이 매긴 순위를 일별해보면 문제점을 헤아려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이에 뒤 시네마>는 진정 성공한 작품을 <디파티드> 하나만 뽑았고, 나머지는 인상적으로 많은 편수의 상업적인 실패를 맛본 작품들이었다. 그중 상위 세 작품은 알랭 레네 감독의 <마음>, 알렉산더 소쿠로프 감독의 <더 선> 그리고 봉준호 감독의 <괴물>이다. 이 분류는 일상의 진실을 반영한다. 즉 신문의 1면을 장식한 작품들이 거의 예외없이 박스오피스를 차지했다.

1995년과 2006년 사이 유통되는 프린트 수가 105%나 증가했음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상영관의 총 수 거기에 따라가지 못했고, 한 작품의 상영 기간은 점점 더 짧아졌다. 비평, 입소문, 영화제 수상 같은 프랑스영화 애호가들의 특이한 구조를 이루는 이 모든 것은 이젠 더이상 아무런 힘을 쓰지 못하는 듯 보인다. 그 결과 작가주의 영화의 주역인 아르테 시네마의 올해 수입은 200만유로에서 50만유로로 떨어졌다. 가까스로 숨을 쉬고 있는 독립 배급업자들은 말할 것도 없다. 물론 프랑스영화는 2006년 6천만명에 가까운 외국 관객을 끌어모으기도 했다. 하지만 이 분류는 <밴디다스>나 <트랜스포터 엑스트림>과 같은 비불어권 작품을 필두로 한 그 지역의 인기작보다 많이 화려한 것은 아니다. 프랑스영화의 경제적 성공은 국제적 인정과는 별 연관이 없어 보인다. 마찬가지로 <포지티브>가 1월호 편집자 논설에서 지적한 대로 유럽영화협회는 지난 19년 동안- 2001년 <아멜리에>와 2005년 오스트리아 출신 미하엘 하네케 감독의 <히든>- 단 두편의 프랑스 작품에만 상을 수여했다. 이탈리아는 네번, 영국은 세번 수상했는데, 이들 나라는 프랑스보다 영화 상황이 더 좋지 않은 나라들이다. 프랑스 언론은 유럽의 상들을 무시하고, 그 결과 사람들은 이런 수상작들이 터무니없는 작품이라고 판단할 수도 있다. “정말로 어떻게 플로리안 헨켈 폰 도너스마르크 감독의 <타인의 삶>이 <보리밭을 흔드는 바람>나 <귀향> 같은 작품을 제치고 올해 수상을 한 것인가?”라든가. 지난 10년 동안 2001년 베를린영화제에서 금곰상을 수상한 파트리스 셰로 감독의 <정사>가 칸, 베니스, 베를린 같은 중요한 세개의 국제영화제 중 하나에서 유일하게 최고의 상을 거머쥐기는 했었다. 한해 200편 이상을 제작하는 나라이기에 그 이유에 대한 질문을 던져봐야 할 필요가 있다.

2006년은 영화가 정말 포도주와 같다는 것, 즉, 양은 질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는 것을 입증해준 해일 것이다. 다시 말해, 슈퍼마켓의 싸구려 포도주 때문에 숙취에 시달릴 때 영화애호가들도 메스꺼운 속을 보듬고 눈을 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