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2]
[인터뷰] 과감한 승부수, <중증외상센터> 이도윤 감독
이도윤 감독은 <좋은 친구들>(2014)로 데뷔한 이후 몇몇 차기작이 무산되자 감독이 아닌 작가로 살기로 결심했다. 해외에서 새 삶을 채비하던 중 ‘좋은 친구’인 배우 주지훈으로부터 “이 웹툰 한번 읽어보라”는 연락을 받았고, 자신과 결이 다른 작품을 보며 의아해하던 중 하나의 키워드를 발견했다. “주인공 백강혁만큼은 누가 봐도 ‘주지훈’이더라
글: 정재현 │
사진: 최성열 │
2025-01-17
-
[스페셜2]
[인터뷰] 자유를 꿈꾸는 이들에게, <춘화연애담> 이광영 감독
드라마 <며느라기> 시리즈, <사랑이라 말해요>를 연출했던 이광영 감독에게 <춘화연애담>은 가히 파격적인 도전이었다. <춘화연애담>에는 화리 공주(고아라)가 부마를 직접 택하기 위해 자유롭게 연애를 하며 벌어지는 이야기가 담겼는데, 화리를 비롯한 인물들의 사랑과 진취적인 삶의 가치관이 솔직하게 묘사됐기 때문이다.
글: 조현나 │
사진: 최성열 │
2025-01-17
-
[스페셜2]
[인터뷰] 응축된 사랑의 감정, <마녀> 김태균 감독
영화 <암수살인>에 이어 김태균 감독의 발길이 닿은 곳은 강풀 작가의 동명 웹툰을 드라마화한 <마녀>다. 어렸을 때부터 미정(노정의)에게 호감을 표한 남자들에겐 사고가 끊이질 않았다. 사람들의 시선을 견디지 못한 미정은 결국 세상과 단절된 채 스스로를 고립시킨다. 동창생으로서 그런 미정을 오랫동안 바라봐온 동진(박진영)은 ‘마녀’라는
글: 조현나 │
사진: 오계옥 │
2025-01-17
-
[스페셜2]
[인터뷰] 성장하지 않아도 절망하지 않는 주인공, <스터디그룹> 이장훈 감독
연초에 벌써 올해의 짠한 캐릭터가 탄생했다. 고등학생 윤가민(황민현)은 진실로 공부를 잘하고 싶어 하는 친구다. 선생님 말씀을 토씨 하나 빼먹지 않고 필기하고 공부할 체력을 기르다 보니 무림 고수까지 됐으나 그의 등수는 애석하게도 280등 중 279등이다. 공부에 관심 없는 학생들이 모인 유성공업고등학교에 진학해 등수 향상을 기대하지만 여기서도 꼴등 언저리
글: 이유채 │
사진: 최성열 │
2025-01-17
-
[스페셜2]
[인터뷰] 순정 만화의 설렘과 즐거움, <바니와 오빠들> 김지훈 감독
MBC 드라마는 청춘물의 요람이었다. <논스톱> 연작과 <하이킥!> 시리즈 등 시트콤을 통해 수많은 청춘스타를 배출했고 <역도요정 김복주> <어쩌다 발견한 하루> 등 로맨스물도 큰 호응을 얻었다. 한동안 장르물에 집중했던 MBC가 “새로운 얼굴이 설 자리가 점차 사라지는 지금, 공영방송이 다해야 할 의무”를 되새
글: 정재현 │
사진: 백종헌 │
2025-01-17
-
[스페셜2]
[인터뷰] ‘제대로 울릴 정통 멜로’, <우리 영화> 이정흠 감독
시한부 인생을 사는 여배우와 그를 주인공으로 한 작품을 찍는 남성 감독의 사랑 이야기. 2000년대에서 날아온 듯한 로그라인을 가진 SBS <우리 영화>는 2025년에 이르러 클래식과 재해석 중 어느 길을 갈까. JTBC <구경이> 이후 4년 만에 돌아오는 이정흠 감독에게 장르에 관해 묻자 명쾌한 답변이 돌아왔다. “대본에 슬픈 신이
글: 이유채 │
2025-01-17
-
[스페셜2]
[인터뷰] 정형화된 틀을 깨트리는 즐거움, <하이퍼나이프> 김정현 감독
한때 천재 의사라는 찬사 담긴 별명으로 불렸던 세옥(박은빈)은 과거 자신을 늪에 빠뜨린 스승 덕희(설경구)와 재회한다. 갑작스러운 조우 끝에 오랫동안 유예되었던 두 사제간의 갈등이 서서히 드러나기 시작하고, 그로부터 파생되는 새로운 대립과 갈등이 속도감 있게 펼쳐진다. 휴머니즘과 로맨스 혹은 경쟁사회. 크게 두 주축으로 전개됐던 메디컬 장르는 <하이퍼
글: 이자연 │
사진: 최성열 │
2025-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