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2]
독립영화의 새로운 얼굴을 찾아서, ‘배우프로젝트–60초 독백 페스티벌’ 현장을 가다
제50회 서울독립영화제의 열기가 한창이었던 지난 12월2일, 올해로 7회를 맞은 ‘배우프로젝트-60초 독백 페스티벌’(이하 배우프로젝트)의 본선이 CGV청담씨네시티 MCUBE관에서 열렸다. 2018년 권해효, 조윤희 배우의 제안으로 시작된 배우프로젝트는 창작자와 배우간의 활발한 교류의 장을 마련하고, 독립영화의 새로운 얼굴을 발견하는 데 앞장섰다. 홍경,
글: 최현수 │
사진: 최성열 │
2024-12-13
-
[스페셜2]
‘독립영화’가 뭔가요? - 김진유 감독, 장우진 감독, 백재호 한국독립영화협회 이사장, 정지혜 평론가 4인 대담 ❷
‘독립영화’가 뭔가요?
- 씨네21 - 과거에 독립영화는 하나의 운동이었고 진영이었다. 지금은 각자의 산재되고 와해된 창작이 중심이다. ‘독립’영화라는 개념이 현재 어떤 형태로 유효하다고 보나. 독립영화를 한다거나 독립영화인이라는 자의식을 오늘 참석한 분들은 스스로 가지고 계신지도 궁금하다.
장우진 내게 그런 자의식은 없다. 장르영화를 하냐 아니냐의
글: 김소미 │
사진: 최성열 │
2024-12-13
-
[스페셜2]
오늘의 ‘독립영화’를 고민하다 - 김진유 감독, 장우진 감독, 백재호 한국독립영화협회 이사장, 정지혜 평론가 4인 대담 ❶
서울독립영화제(이하 서독제) 50주년을 기념하며 각자의 전선에서 영화를 만들고 주시해온 4인의 창작자, 비평가를 초대해 오늘의 ‘독립영화’에 대해 물었다. 영화제 예산 삭감을 위시한 지원제도의 축소와 공백, 시장의 한파에 위축된 창작 진영의 분위기에 공감하고 자성적 고민을 더하는 한편, 이들은 공동의 신기함을 나눴다. ‘이런 상황에서도 어떻게 새로운 영화가
글: 김소미 │
사진: 최성열 │
2024-12-13
-
[스페셜2]
[인터뷰] 러브 레터 같은 굿바이 레터, <메릴 스트립 프로젝트> 박효선 감독
“지난 한주는 내내 잠만 잤다. 오늘이 되어서야 내 안에 오래도록 머물던 마음의 돌이 한겹 덜어진 기분이다.” 역사상 가장 위대한 배우인 메릴 스트리프를 혈혈단신으로 만나겠다는 내용의 영화 <메릴 스트립 프로젝트>를 완성한 뒤 박효선 감독이 시원섭섭함을 느끼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 2016년 트위터에서 ‘메릴 스트립 정보봇 한국
글: 최현수 │
사진: 최성열 │
2024-12-13
-
[스페셜2]
[인터뷰] 난초의 목소리를 듣기 위하여, <(환영합니다) 난초의 행성입니다> 박지윤 감독
홍콩에서의 박사과정 졸업 시험을 앞두고 박지윤 감독은 오랜만에 한국으로 돌아왔다. 박사과정 연구의 일환으로 완성한 <(환영합니다) 난초의 행성입니다>는 홍콩, 런던에서 소개된 적은 있지만 영화관에서 상영하는 건 이번 서울독립영화제가 처음이다. 영화는 식물 중심의 관점에서 난초의 삶, 난초와 다른 종간의 관계를 그린다. “본래 식물을 좋아하는 편
글: 조현나 │
사진: 최성열 │
2024-12-13
-
[스페셜2]
[인터뷰] 순간을 정성스럽게 담고 싶어서, <고백하지마> 배우 겸 감독 류현경
신작 <고백하지마>의 공개를 앞두고 감독 겸 배우 류현경은 쉽게 잠자리에 들지 못했다. “지인에게 영화를 보여줬을 때 악평에 가까운 피드백을 받았다. 독립영화라고 하니 심오하고 깊은 작품일 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가볍고 웃겨서 좋은 인상을 받지 못한 것이다. 위축된 마음으로 관객 반응도 별로일까 걱정하다가, ‘내가 재밌으면 됐다’고 여기며 겨우
글: 조현나 │
사진: 백종헌 │
2024-12-13
-
[스페셜2]
미래를 향하여 나아가다, 제50회 서울독립영화제 개막식 현장
지난 11월28일 치러진 제50회 서울독립영화제(이하 서독제)의 개막식은 예년과 다른 풍경이었다. 50주년을 기념해 CGV압구정이 아닌 CGV영등포로 위치를 옮겼고 리셉션과 포토존을 설치해 개막식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전부터 왁자지껄한 축제 분위기가 연출됐다. 이날 행사는 배우, 감독, 영화계 관계자들로 좌석이 가득 찬 성대한 축제 첫날이었다. 개막식에는
글: 조현나 │
사진: 최성열 │
2024-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