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칼럼 > 편집장이독자에게
[에디토리얼_주성철 편집장] 스즈키 세이준의 명복을 빕니다
주성철 2017-02-24

“남자 캐릭터로는 더 할 얘기가 없어 여성주인공을 내세웠다”, “영화를 보는 동안 지루할까봐 그런 음악을 쓰는 것일 뿐”, “영화감독에게는 무엇보다 체력이 가장 중요하다” 등 B무비의 거장 스즈키 세이준은 남다른 상상력과 특유의 ‘쿨’한 태도로 영화계의 기인(奇人)으로 통했다. 자신의 영화 <살인의 낙인>(1967)을 리메이크한 <피스톨 오페라>(2001)로 베니스국제영화제에 초청됐을 당시 원작과 달리 여성주인공을 내세운 이유, 록음악과 일본 전통음악을 흥미롭게 뒤섞은 사운드트랙, 오랜 영화계 생활을 해오면서 영화감독이 지녀야 할 덕목에 대한 질문에 위와 같이 답했다. 뿐만 아니라 알베르토 바르베라 집행위원장으로부터 <피스톨 오페라> 상영 전 감사패를 받고는 ‘손이 풀려’ 감사패를 떨어트리는 해프닝을 연출했는데, 심지어 영화 상영 도중 그 트로피를 가슴에 꼭 안은 채 숙면을 취하기도 했다. 귀엽게도(?) 세계적인 거장이 자기 영화 상영 때 졸았으니 이 얼마나 기괴한 풍경인가.

김지영 배우의 추모기사를 쓰는 동안 스즈키 세이준이 향년 93살로 별세했다는 소식을 접했다. 보다 심도 깊은 기획기사는 다음주에 실릴 예정이다. 20년 가까이 영화기자 생활을 하면서 스즈키 세이준을 직접 만난 것은 개인적으로 설레고 뿌듯했던 기억 중 하나다. 당시 문화학교 서울 주최로 열린 ‘폭력의 엘레지, 스즈키 세이준 회고전’으로 방한했고, 영화지 <키노>의 주선으로 박찬욱, 김지운, 류승완 감독과 대담을 가졌다. 세 한국 감독은 스즈키 세이준에 대한 글을 직접 기고해줬을 정도로 장르영화의 만신전에 오른 그를 만나기 위해 한달음에 달려왔다. 차례대로 각각 <복수는 나의 것>, 옴니버스영화 <쓰리> 중 <컷>, <피도 눈물도 없이> 후반작업과 개봉 준비로 바쁠 때였고, 스즈키 세이준은 “힘들 때는 한번쯤 영화사로부터 해고당하는 것도 괜찮은 경험”이라며 한참 어린 한국 감독들을 격려(?)해주기도 했다.

실제로 스즈키 세이준은 <살인의 낙인>을 만들면서 닛카쓰 영화사로부터 쫓겨났다. 괴이한 인물들이 등장하고, 정신없는 장르의 잡종교배인 이 작품을 본 닛카쓰의 사장 호리 규사쿠가 기겁했던 것. 이 사건을 계기로 영화인들을 중심으로 한 ‘스즈키 세이준 사건 공동투쟁위원회’가 결성되어 긴 법정 소송 끝에 승소하게 된다. 프랑스 평론가 막스 테시에는 이를 ‘일본판 앙리 랑글루아 사건’이라 표현했다. 1968년에 벌어진 이 문제적 사건은 앞서 벌어진, <일본해방전선: 산리즈카의 여름>을 촬영 중이던 오가와 신스케 프로덕션 스탭들이 체포되는 사건과 함께, 당시 일본 사회의 우경화 경향을 상징적으로 보여준 일이었다. 어떻게 보면 이용관 부산국제영화제 전 집행위원장에 대한 납득하기 힘든 유죄 선고와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사건을 떠올리게 만드는, 바로 지금 이곳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들과 심히 유사하기도 하다.

당시 인터뷰에서 그는 어디서 들은 얘기라며 ‘영혼의 다섯 단계’를 말했다. “첫 번째 단계는 은색, 마지막 단계는 빨간색이다. 은색 영혼은 전생에 착한 일을 많이 했기 때문에 편안히 쉬기만 하면 되는데, 붉은 영혼은 계속 일을 해야 한다고 하더라. 빨간색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은 고통받는 사람이 되는데, 내가 그걸 미리 알았더라면 영화에서 분명 은색을 많이 썼을 것이다. (웃음)” 그는 영화에서 인상적으로 빨간색을 많이 쓰는 감독 중 하나였는데, 역시나 빨간색을 많이 썼던 장쯔이, 오다기리 조 주연의 <오페레타 너구리 저택>(2005)을 끝으로 왕성하게 일만 하다 세상을 뜬 것이다. 안타깝다. 하지만 그가 남긴 영화적 유산은 그를 고통받게 놔두지 않을 것 같다. 그렇게 자기만의 ‘우주’를 보여주었던 또 한명의 거장이 우리 곁을 떠났다.

관련영화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