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영화읽기 > 걸작 오디세이
[걸작 오디세이] 험프리 보가트, 누아르의 전설이 되다

험프리 보가트(1899~1957)는 존 휴스턴의 술친구다. 1930년대에 보가트는 갱스터영화의 조연으로 나오는 흔한 배우 중 한명이었다. 반면 휴스턴은 미래가 약속된 시나리오작가였다. 별 볼일 없는 갱스터의 조연이나 하다 연기인생을 끝낼 보가트가 삶의 전환점을 맞이하는 게 바로 젊은 휴스턴과의 만남이다. 보가트는 휴스턴의 감독 데뷔작 <말타의 매>(1941)에서 주연으로 등장하며 바야흐로 누아르영화의 상징이 된다. 그의 나이 42살 때다. 별 볼일 없을 것 같은 배우가 마흔을 넘겨 전설이 되는 흔치 않은 사례를 남긴 것이다. 누아르영화를 잉태하고 발전시킨 전쟁이라는 비이성의 폭력 속에선 반듯한 미남보다는 보가트 같은 ‘못생긴’ 아웃사이더가 더욱 매력적이었는지도 모를 일이다.

20여분 지속되는 1인칭 시점 카메라

델머 데이브스의 <다크 패시지>(Dark Passage, 1947)는 보가트의 인기가 절정에 있을 때 발표된 누아르다. 1945년 보가트가 자기보다 무려 25살이나 어린 로렌 바콜과 결혼하여 세상을 놀라게 한 뒤, 부부가 함께 출연하며 히트작을 연속해서 내놓을 때다. <소유와 무소유>(하워드 혹스, 1944)에서 처음 만난 두 배우는 <빅 슬립>(하워드 혹스, 1946), 그리고 <키 라르고>(존 휴스턴, 1948) 등으로 인기의 절정을 누렸다.

<다크 패시지>도 부부의 매력을 십분 이용한다. 보가트는 늘 그렇듯 씹는 듯한 말투의 비정한 남자로 나온다. 비밀과 어둠이 가득한 눈동자로 초조하게 담배를 빨아대는 것도 여전하다. 누군가의 보살핌이 필요한 절대고독의 남자다. 이때쯤이면 로렌 바콜이 수호천사로 등장하는 수법도 비슷하다. 바로 이런 상투성이 이들 부부가 함께 출연한 영화의 매력이다. 관객은 뻔히 알지만, 상처받은 보가트가 속 깊은 바콜의 품으로 안착하는, 반복되는 과정을 또 보기 위해 극장을 찾는 것이다.

그런데 <다크 패시지>는 두 사람 중 보가트의 스타성을 노골적으로 우려먹는 영화다. 하지만 그 방법은 위험할 정도로 역설적이다. 1시간46분짜리 영화에서 보가트의 얼굴이 온전히 나오는 것은 영화가 시작된 지 무려 한 시간이 지나고 난 뒤다. 누아르의 전설을 보러 갔는데, 그 스타는 겨우 40여분만 얼굴을 비치는 것이다. 억울하게 누명을 쓰고 감옥에 갇힌 빈센트(험프리 보가트)가 극적으로 탈출에 성공하여 진짜 범인을 찾아가는 게 <다크 패시지>의 중심 이야기다. 그런데 영화는 도입부에서 그의 얼굴을 보여주지 않는다. 카메라는 철저하게 1인칭 시점, 곧 빈센트의 시점과 동일하게 진행된다. 그러니 우리는 그가 보는 것만 볼 수 있다. 빈센트가 느끼는 탈옥한 남자의 불안, 새로 사람을 만났을 때의 긴장 등이 고스란히 우리의 감정이 된다. 이른바 ‘주관적 카메라’로 영화는 시작하는데, 이런 고정된 시점이 무려 20여분이나 지속된다. 당연히 관객과 빈센트의 동일시가 강력하게 일어나는 것이다.

<다크 패시지>는 도입부의 20여분에 걸친 ‘1인칭 시점’ 하나로도 영화의 역사에 이름을 올리게 됐다. 동일시를 위해서 시점이 얼마나 중요한지 <다크 패시지>는 잘 보여주고 있다. 스타 자체가 동일시를 유도하는 강력한 요소인데, 여기서는 이에 덧붙여 그의 시점까지 강요하고 있다. 이제 관객은 꼼짝없이 보가트가 되고 만다.

누아르가 해피엔드로 끝나다

빈센트는 얼굴이 너무 알려져 성형수술을 받기로 결심한다. 불법 외과의사 앞에 앉을 때가 그의 전면이 처음 보일 때다. 그러나 얼굴은 보이지 않고, 목소리만 들린다. 그러고는 곧바로 온 얼굴에 붕대를 칭칭 감고 있는 모습으로 나온다. 영화가 시작된 지 40여분이 흘렀지만 그는 제임스 웨일의 <투명인간>(1933)에 나오는 남자처럼 붕대로 얼굴을 가리고 있다. 누아르영화답게 컴컴한 밤을 배경으로 고립된 남자가 붕대를 감고, 타인의 시선을 피해 뛰어다니는 밤장면은 델머 데이브스가 풍경의 심리를 얼마나 잘 이용하는지를 압도적으로 보여주는 순간이다. 최근에 제임스 맨골드가 리메이크한 <3:10 투 유마>의 원작(1957) 감독이 델머 데이브스인데, 그는 1950년대 앤서니 만과 더불어 심리 웨스턴의 장인으로 이름을 날렸다. 게리 쿠퍼가 주연한 <교수목>(1959) 등이 대표작이다.

보가트는 영화가 시작된 지 1시간이 지나서야 붕대를 푼다. 드디어 관객은 스타를 볼 수 있는 것이다. 데이비스는 이런 아이디어를 로버트 몽고메리가 주연하고 감독한 <호반의 여인>(1947)에서 빌렸다. 여기에 1인칭 시점이 일부 나온다. 그런데 데이브스는 1인칭 시점을 더욱 과도하게 밀고 나갔고, 이를 스타에게 적용했던 것이다.

한편 <다크 패시지>는 누아르영화로는 극히 드물게 해피엔드로 끝난다. 진짜 범인을 찾았지만, 누명을 벗지 못한 빈센트는 미국에서 살 수 없어 페루로 떠난다. 그곳에 그의 여인 로렌 바콜이 뒤에 합류하는 것은 물론이다. 법적으로 결백을 밝히는 과정을 생략하고 외국으로 도피하는 해피엔드는 프랭크 다라본트가 <쇼생크 탈출>(1994)에서 다시 써먹기도 한다.

다음번에는 앤서니 만의 <윈체스터 73>( Winchester ’73, 1950)을 통해 ‘심리 웨스턴’의 특징적인 풍경화를 보겠다.

관련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