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BIFF Daily > 18회(2013) > 영화제 소식
[INTERVIEW] 지금 중국에는 자신들도 모르는 폭력이 발생한다

<천주정> 감독 지아장커

지아장커는 여전히 중국을 근심한다. 동시에 그는 여전히 자기 영화의 형식적 독창성을 추구한다. 그 두 가지가 낳은 작품이 <천주정>인 것 같다. 중국의 갑작스런 경제발전과 더불어 전역에서 벌어지고 있는 슬프고 또 끔찍한 사건들을 지아장커는 주시했다. 나의 영화가 이 현실을 어떻게 끌어안을 수 있을까, 그는 또 생각했다. 평범한 광산 노동자가 살인자가 되고, 청부살인업자가 세상을 떠돌고, 마사지숍의 접수원이 사람을 죽이고, 무력함에 빠진 한 젊은이가 자결하고 마는 네 가지 이야기가 그렇게 하여 탄생했다. 지아장커가 중국을 표현하는 또 다른 도전이자 변화가 시작된 것이다.

-중국판 트위터 웨이보를 통해 접하게 된 사건들을 소재로 하여 네 가지 이야기를 만들었다. =첫 번째 사건은 산시에서 일어났다. 갈수록 빈부격차가 심해지고 부패한 관료들이 생겨나고 법은 종종 공정성을 잃는다. 그래서 일어난 일이다. 두번째 사건은 충칭에서 일어났다. 어떤 정신적인 압력과 억압 때문에 이 사람이 살인을 하게 되었는가 궁금했다. 세 번째 사건은 후베이에서 일어났다. 마사지숍의 여직원이 자기 자존심을 짓밟은 사람들 때문에 살인을 저지르게 된 것이다. 네 번째는 광둥에서 일어났다. 답답한 도시 생활 속에서 그 도시의 삶에 적응하지 못하고 노동력만 착취당하던 한 젊은이에게 일어난 일이다. 이 4개의 이야기는 말한 대로 4개의 지역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가장 북부인 산시성에서 시작하여 가장 남쪽인 광둥성 광저우까지 내려가며 중국 전체를 관통하고 싶었다.

-무협영화적인 방식으로 이 영화를 만들었다고 당신은 말했다. =무협영화는 원래부터 좋아했다. 그리고 무협영화는 대개 정치적, 사회적 문제들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이 네 가지 사건을 나의 상상을 거쳐 무협영화적인 것으로 만들고자 했다. 중국 고대의 이야기가 아니라 현대사회 문제들을 끌어안고 있는 현대 무협영화 말이다. 물론 그 중에서도 무협영화적으로 가장 강조된 건 자오타오가 마사지 숍의 접수원을 연기하는 세 번째 부분이다.

-그 여인이 거대한 협곡 사이를 걸어가는 장면이 참으로 인상적이었다. =내가 생각하기에 협곡이라는 자연 경관은 무협영화에서 빠질 수 없는 장소다. 가장 아름다운 무협영화의 한 장면 또한 그런 거대한 협곡 사이에서 남녀가 만나는 장면이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당신은 이 영화의 테마를 또한 폭력으로 설명하고 있기도 하다. =알다시피 중국의 발전 속도는 비정상적일 정도로 너무 가파르다. 그런 과정 속에서 사람과 사람 사이에 사람과 자연 사이에 사람과 동물 사이에 자기들도 모르는 폭력이 발생하곤 하는것이다. 그게 이 영화의 네 가지 이야기와 관련이 있는 것이다.

-그러고 보니 영화 속에는 무참하게 소를 때리는 사내와 돈다발로 여자의 얼굴을 때리는 사내가 등장한다. =남자가 여자를 때리거나 사람이 소를 때리는 것이 잔인한 행위라는건 누구나 다 알고 있다. 그런데 누군가 사회적으로 너무 많은 폭력에 노출되면 그는 자기도 모르게 그 잔인한 행위를 하게 된다는 걸 보여주고 싶었다. 특히 돈으로 여자를 때리는 사내에 관한 이야기는 신문에서 본 것이다. 많은 중국인들이 그 물질만능주의의 무의식이 빚어낸 악행에 분노했다. 하지만 돈으로 여인을 때리는 그 사내조차 자기도 모르게 사회의 악에 노출되어 있는 것이다.

-영문제목은 <A Touch of Sin>이다. 호금전의 <협녀> 영문제목(<A Touch of Zen>)에서 가져온 것이다. 그런데 왜 ‘죄(sin)’인가. =앞서 말한 사회적 폭력에 노출되어 있는 사람들, 그 모든 사람들이 가진 공통의 약점, 그걸 ‘죄’라는 말로 대신하고 싶었다.

-사건이 일어난 곳들을 직접 다 가보았다고 했는데 어떤 느낌이 들던가. =가장 놀랐던 곳은 광둥 지역이었다. 그곳 젊은이들의 생활방식을 보고 놀랐다. 그들은 일정한 직업도 없을 뿐더러 3개월 이상은 같은 곳에서 일을 안 한다.

-중국 전통 문학과 경극에서도 영감을 얻었다고 했는데. =중국 전통 문학의 특징 중 하나는 마치 <삼국지>처럼 실제 했던 이야기를 배경으로 하되 그 안에 상상적인 것을 다수 넣는 것이다. 또 한 가지 가져온 건 기승전결의 방식이다. 그와 같은 방식을 통해 이 영화를 만들려고 했다.

-영화의 마지막에는 경극을 보며 눈물을 흘리는 여주인공의 장면이 나온다. =그 경극은 실제로 중국에 존재하는 것인데, 억울한 사람을 법이 보호해주지 못한다는 내용이다. 지금 중국의 상황과 너무나 밀접하지 않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