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번째 엔딩은 어딨게?터미네이터2 U.E Terminator2: Judgment Day Ultimate Edition(1991)감독 제임스 카메론 | 출연 아놀드 슈워제네거, 린다 해밀튼, 에드워드 펄롱|상영시간 136분/156분 | 화면포맷 와이드스크린 아나모픽 2.35:1 | 오디오 영어 돌비 디지털 EX 5.1, DTS-ES 5.1. 돌비 디지털 2.0 | 자막 한국어, 영어|지역코드 3 | 출시사 비트윈어쩌면 DVD는 영화감독을 위한 매체일지도 모르겠다. 출시사 눈치보랴, 관객 신경쓰랴 상영시간이나 표현의 강도 등을 놓고 적당히 타협해야 하는 감독들에게 디렉터스 컷과 대용량의 마법을 부리는 DVD는 찰떡궁합이 따로 없다. 제임스 카메론은 특히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디렉터스 컷으로 새 단장한 <어비스 S.E>, 그리고 그 유명한 <터미네이터 2 U.E>가 그렇다. ‘Ultimate Edition’이라는 꼬리표 그대로 궁극의 경지를 선보이는 이 DVD에 수
설연휴 만끽할 DVD,만화,TV 가이드 [2]
-
붉은 방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트윈 픽스 시즌1 Twin Peaks: The 1st Season - Speacial Edition Box Set(1990)감독 데이비드 린치 | 출연 카일 맥라클란| 상영시간 428분 | 화면포맷 풀스크린 1.33:1 | 오디오 영어 돌비 디지털 5.1 | 자막 영어, 한국어, 중국어 | 지역코드 3 | 출시사 파라마운트한밤의 악몽, 데이비드 린치의 세계에 온 것을 환영합니다! 도저히 풀릴 것 같지 않은 미스터리, 마을 사람 전체가 살인사건의 용의자인 전대미문의 드라마. 1990년 데이비드 린치와 마크 프로스트에 의해 탄생한 <트윈 픽스>는 로맨스물 일색을 미니시리즈를 심야상영관의 단골 메뉴 같은 미스터리물로 대체시켰으며 같은 시리즈 탄생에 영향을 끼친 미니시리즈였다. 총29화 중 1화부터 7화까지 수록한 이 첫 번째 시리즈에서 특히 눈여겨볼 것은 1시간30분가량의 파일롯 프로그램이다. 국내 DVD에만 수록된 이 에피소드는 시리즈 시작 전
설연휴 만끽할 DVD,만화,TV 가이드 [3]
-
아빠, 엄마, 남자랑 여자는 어떻게 달라요?유명 만화가들의 알려지지 않은 명작만화 모음이명석/ 프로젝트 사탕발림 운영 중 www.sugarspray.com<수상한 아이들>(서울 미디어랜드 펴냄)윤태호 1969년생혼자 자는 남편(1996)연씨별곡(1997)야후(1999)수상한 아이들(1999)로망스(2002)이제 한국 남자 만화의 중심작가로 자리잡아가고 있는 윤태호는 데뷔 이래 토착적 서정에 기초한 개그와 묵시적 리얼리즘의 양대 세계에서 자기 입지를 분명히 해왔다. 지난 1999년에 연재를 시작한 <야후>는 한국사회를 휩쓸고 간 대재앙을 중심으로 주인공 청년의 내부에 억눌려 있던 가공할 힘이 터져나오는 과정을 밀도있게 그리고 있다. 자연히 만화가로서도 그 긴장감이 적지 않았을 터인데, 윤태호는 <로망스> <발칙한 인생> 등 일련의 유머러스한 작품들로 그 긴장들을 해소해왔던 것으로 보인다. 그중에서도 <수상한 아이들>은 내용뿐만 아니
설연휴 만끽할 DVD,만화,TV 가이드 [4]
-
<재팬>(대원씨아이 펴냄)미우라 겐타로(三浦建太郞)1966년생왕랑(1989)베르세르크(1989)왕랑전(1990)재팬(1992)최근 몇년간 논쟁의 중심이 되어온 문제작 <베르세르크>의 위용은 미우라 겐타로의 존재감을 한국 내에도 널리 알리기에 충분했다. 선악 불명의 광포한 세계 속에서 운명에 맞선 잘난 남자들의 싸움은 탐미적인 화풍, 기괴한 피조물, 파격적인 세계관을 펼치며 다양한 반응들을 이끌어왔다. 여성비하, 폭력적인 강간 등 만화 깊숙이 내재된 근원적인 남성 중심성은 여러 비판을 촉발시키기도 했는데, <베르세르크> 바깥의 작품을 읽어보면 미우라 겐타로 세계의 부정적 본질이 어디에 있는지 알게 된다.<재팬>이라는 작품은 1권이라는 비교적 짧은 분량으로 미우라 겐타로의 불순한 생각의 진면목을 파악하게 한다. 1991년 스페인의 바르셀로나에 있던 일군의 일본인들이 초자연적인 상황에 처하게 된다. 그들은 아름다운 여성 리포터와 그를 사모하여 쫓
설연휴 만끽할 DVD,만화,TV 가이드 [5]
-
-
<샌드 랜드>(대원씨아이 펴냄)도리야마 아키라(鳥山明) 닥터 슬럼프(1980)드래곤 볼(1984)코와!(1997)카지카(1998)샌드랜드(2000)<닥터 슬럼프>로 1980년대 초반을, <드래곤 볼>로 1980년대 후반과 1990년대 초반을 평정한 도리야마 아키라는 어린이를 중심으로 전 세대를 관통하는 작품들을 그려온 만화가이다. 1980년부터 84년까지 연재한 <닥터 슬럼프>가 18권, 바로 이어 시작해 1995년에 막을 내린 <드래곤 볼>이 42권으로, 한번 시작했다 하면 끝을 모르는 장기 연재의 스타일 때문에 그의 작품세계는 이 두 작품으로 굳어져 있는 듯하다. 그러나 가끔씩 <코와!> <카지카> 등의 1권짜리 단편들을 통해 색다른 상상력을 선보이기도 했는데, <샌드랜드>도 그와 같은 작품 중 하나다.괴상한 로봇, 말하는 몽구우스, 가고일과 같은 판타지의 피조물들이 모여 사는 가상의 사막에서
설연휴 만끽할 DVD,만화,TV 가이드 [6]
-
화려한 안방극장, 나 기꺼이 방콕파 되리!<와호장룡>부터 <시골의 어느 하루>까지, 연휴영화 가이드김의찬/ 영화평론가 garota@empal.com와호장룡臥虎藏龍 2000년, 감독 리안 출연 주윤발 MBC 2월1일(토) 밤 9시45분“내 영화는 음악에서 음표를 연주하듯 찍은 장면이 적지 않다.” 무협영화의 거장 호금전 감독은 이런 이야기를 남겼다. <협녀>(1971)는 호금전 감독의 대표작으로 꼽힌다. <협녀>의 클라이맥스를 장식하는 대나무숲에서 칼싸움을 벌이는 무사들의 모습은, 한폭의 그림을 떠올리게 한다. <와호장룡>은 호금전 영화를 업그레이드한 것 같다. 허공에서 날아다니면서 담을 타고, 대나무 사이를 누비며 유영하는 이의 모습은 진기한 구경거리다. 영화를 만든 리안 감독의 행보는, 간단하게 요약하기 힘들다. <결혼 피로연>이나 <음식남녀>(1994), <아이스 스톰>(1997)처럼 가족에 포
설연휴 만끽할 DVD,만화,TV 가이드 [7]
-
시골의 어느 하루Un Dimanche A La Campagne 1984년, 감독 베르트랑 타베르니에 출연 미셸 오몽 EBS 2월1일(토) 밤 10시‘르누아르(Renoir)에게 바친다.’ <시골의 어느 하루>에 부제를 붙인다면 이 제목이 어울릴지 모른다. 영화는 짧게 표현하자면, 빛의 영화다. 여기서 우리는 어느 가족의 평화로운 일상을 들여다보게 된다. 할아버지에서 손자에 이르는 대가족이다. 그들이 함께 보내는 시간이 영화의 내용 전부를 차지한다. 이목을 끄는 것은, 몇 장면이다. <시골의 어느 하루>는 은은한 자연광을 전면에 배치하고 있다. 전원에 위치한 작은 저택엔 창문 틈새로, 그리고 투명한 커튼 사이로 빛이 살금살금 새어들어온다. 실내에서 비스듬히 떨어지는 빛은 영화 속 인물들을 감싸안은 듯하다. 실외장면도 마찬가지다. 정원에 있는 의자에 앉은 노인에게 떨어지는 한낮의 태양광은 매혹적이다. 영화 대사로 암시되고 있지만 <시골의 어느 하루>는, 프
설연휴 만끽할 DVD,만화,TV 가이드 [8]
-
프린스 앤 프린세스Princes et Princesses 2000년, 감독 미셸 오슬로 KBS2 2월2일(일) 오전 7시30분실루엣애니메이션이라는 용어는 낯설다. 1920년대 독일에선 로테 라이니거(Lotte Reiniger)라는 애니메이터가 선풍적인 화제를 일으켰다. 동양적인 선과 그림자의 배합을 애니메이션에 응용한 로테 라이니거는 <아흐메드 왕자의 모험>이나 <닥터 두리틀> 등을 만들었다. 그림자만으로 만들어진 흑백의 이미지에서 전설과 동화의 세계를 창조해낸 것이다. <프린스 앤 프린세스> 역시 실루엣 애니메이션이다. 디지털 시대, 컴퓨터로 창조해낸 영상에 익숙해진 세대에게 이 애니메이션은 진부한 것으로 비칠지도 모른다. 그럼에도, 심각하게 시대착오적이라는 인상은 전혀 없다. 그것은 <프린스 앤 프린세스>가 ‘사랑’이라는 보편적 주제를 건드리고 있기 때문일 터다.<프린스 앤 프린세스>는 여섯편의 에피소드로 구성된다. 첫 번째
설연휴 만끽할 DVD,만화,TV 가이드 [9]
-
김동원 감독은 좀처럼 청을 거절하지 못하는 부류다. 후덕한 인상 그대로다. 그래서 여기저기서 무료 강의를 도맡곤 한다. 그런 그도 <송환>(가제)에 관한 이야기만큼은 아껴왔다. 인터뷰 제의를 한 것만 해도 지난해만 수차례. 모두 “다음에 하자”고 미루었다. 세 번째는 차마 거절하지 못해서인지 “만나서 이야기나 나누자”는 승낙까지 받아내는 데 성공했으나, 갑작스런 아버지의 병세 악화로 만남은 기약없이 미뤄졌다.
새해 들어 그가 다시 미완성 프로젝트를 완성하기 위해 편집 작업에 돌입했다는 소식이 전해져왔다. 독립영화계의 대소사를 맡아왔던 자리도 이미 후임자를 물색한 뒤 <송환>의 편집 작업에만 몰두할 것이라는 전언도 함께 들려왔다. 10년 동안 대상이라기보다 가족처럼 지냈던 비전향 장기수들의 이야기를 담은 다큐멘터리 <송환>. 그동안 완성하지 못한 채 품고서 서성였던 이유는 무엇일까. 30여년 동안 가슴에 적갈색 수인표를 달고 0.5평에 몸과 정신을 의
김동원,장기수,그리고 <송환> [1]
-
식사는 잘하시는지, 남쪽 새각은 하시는지
돌아보면, 송환이 이뤄지던 날의 촬영만큼 그가 힘들어 했던 적도 없었다. 다들 얼싸안고 눈물을 흘리던 판문점에서, 객관을 의식한 카메라를 들고 묵묵히 서 있어야 했던 날의 씁쓸한 기억은 지금도 선연하다. 계속되는 환송회 일정에 결국 탈진한 채 앰뷸런스에 실려 판문점을 넘어야 했던 조창손 선생의 모습을 보면서 그는 “카메라를 던져버리고 싶었다”고 털어놓는다. 어쨌든 선생들이 떠나고 난 뒤 “찍어놓은 화면들을 보면서 어떻게든 정리를 해야겠다”고 마음 정한 그는 포커스를 달리해야 했다. 이전처럼 체제의 폭력을 비판하거나 결기어린 선생들의 신념만을 전면에 내세울 순 없었다. 상황은 변했고, 카메라가 개입하는 지점도 달라져야 했다. 가장 가까이서 지켜봤던 조창손 선생을 중심으로 등장인물을 줄이고, 지난 10년 동안의 카메라와 대상의 관계가 변화하는 양상을 담기로 했다.
하지만 아산요양원에서의 대면, 봉천동에서의 생활, 후원회원들과의 북한산 피크
김동원,장기수,그리고 <송환> [2]
-
혹여 꿈길에서 발자국을 남길 수 있었다면, 문 앞 돌길이 닳아 모래가 되었을 것을(若事夢魂行有跡 門前石路半成砂). 비전향 장기수 선생들의 꿈길을 따르기에 김동원 감독에게 10년은 부족한 것이었을지도 모른다. 명절 때면 선생들의 얼굴이 어른거린다는 그로부터 <송환>에 담지 못한 이야기를 들었다.
-10년 동안 찍었으니 카메라 기종도 가지각색이겠다.
=맞다. 방송용 유메틱부터 VHS, 베타, 6mm까지 안 쓴 게 없다. 기종만 놓고보면 열댓 가지 될 거다. 편집 과정에서 화질 조정하는 데 애먹고 있다.
-첫 만남에서 두려움도 느꼈다고 했는데.
=내 나름대로 진보를 맛보기 시작했고, 또 많이 태를 벗었다고 생각했었던 때였는데. 남파 간첩이라는 말을 듣고 그런 기분이 들었다. 아직도 내 의식 속에 레드 콤플렉스가 남아 있구나 했다.
-조창손 선생에게 더 이끌린 이유가 있나.
=아무래도 집이 가까워서 뵐 기회가 더 많아서였을 것이다. 성격은 두분이 많이 달랐는데 김석형
김동원,장기수,그리고 <송환> [3] - 김동원 인터뷰
-
이제는 ‘거장’이라는 엄숙한 칭호가 어울릴 법하지만 찰리 채플린을 거장이라 부르는 게 어색하듯 우디 앨런을 그렇게 부르는 것도 겸연쩍다. 아마 그의 익살에 배를 부여잡고 웃어본 사람은 누구나 비슷하리라. 현대 도시의 삶에 숨어 있는 희극성과 비극성을 발견하는 탁월한 작가지만 아마 우디 앨런을 좋아하게 된 첫째 이유는 그를 보면 진정, 확실히, 참을 수 없이 웃게 된다는 데 있을 것이다. <박봉곤 가출사건> 시나리오를 거쳐 <라이터를 켜라>로 데뷔한 장항준 감독과 전복적 웃음이 숨어 있는 그림을 그리는 만화가 이우일씨가 우디 앨런의 세계에 입문한 과정도 다르지 않다. 웃음을 생산하는 일이라는 점에서 비슷한 업종에 종사하고 있는 두 사람의 글과 그림은 그들이(그리고 우리가) 감탄하지 않을 수 없었던 우디 앨런의 유머와 작가정신에 대해 바치는 헌사다. - 편집자(<불어라 봄바람>이라는 시나리오의 막바지 수정작업이 한창일 때 <씨네21>에서 원고
에브리원 세즈 ˝I Love Woody˝[1]
-
당시 신사동 사거리에는 극장이 세개 정도 있었는데, 그중 하나가 새로 생긴 그랑프리였고 건너편에는 브로드웨이라는 극장이 있었다. <브로드웨이를 쏴라>라는 커다란 극장 간판은 맞은편 브로드웨이극장에 마치 선전 포고를 하듯 향해 있었던 것이다. 당시 사귀던 여자친구와 그것을 보며 낄낄거렷던 기억이 아직도 난다. 그건 그렇고 극장에서 대하는 우디 앨런의 작품 <브로드웨이를 쏴라>는 나에게 코미디영화가 주는 풍자와 해학의 극치를 경험케 해주었다. 채즈 팔민테리의 안상적인 연기는 아쉽게도 출연하지 않은 우디 앨런의 빈자리를 완전히 메워주었고, 브로드웨이의 허와 실, 그리고 진정한 예술이 무엇인지, 진짜 예술가는 과연 누구인지를 영화는 쉴새없는 웃음 속에서 보여주고 있었다.잠깐 생각난 김에 옆길로 이야기를 돌려보면(원래 난 주위가 산만한 성격이라 매번 이런 식이다), 이번에 우디 앨런에 대해 글을 쓰면서 알게 된 것 중 가장 놀라운 사실은 그의 나이였다. 50대 후
에브리원 세즈 ˝I Love Woody˝[2]
-
<<<
이전 페이지
기사처음
다음
페이지 >>>
에브리원 세즈 ˝I Love Woody˝[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