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진표 감독의 장편 디지털 영화 「죽어도 좋아」가 북한영화 「동물의 쌍붙기(원제 동물의 번식)」에 이어 `제한상영가' 등급을받음으로써 제한상영관을 둘러싼 논란이 재연될 것으로 보인다.영상물등급위원회(위원장 김수용)가 23일 오후 영화등급분류소위원회(위원장 유수열)를 열어 제한상영가 등급을 부여한 것은 7분간의 롱테이크 섹스 신 가운데 구강 성교 대목과 성기 노출 장면 등이 국내 정서에 맞지 않는다고 판단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SBS 다큐멘터리 PD 출신인 박감독이 실제 부부인 박치규(73) 할아버지와 이순예(71) 할머니를 내세워 디지털 카메라로 찍은 「죽어도 좋아」는 전주국제영화제와 프랑스 칸 국제영화제 비평가주간에서 호평을 받은 작품. 영화진흥위원회도 자막 번역 및 프린트 제작비 지원 대상작과 디지털 장편 영화 배급 지원 대상작으로 선정했다.이에 대해 제작사인 메이필름의 관계자는 "국내외 평론가들과 영화전문기자, 그리고 영화정책기관까지 인정한 작품을 낡은 통념과 기계적인 기준에
잇따른 ‘제한상영가’ 결정으로 논란 불가피
-
70대 노인 부부의 사랑과 성생활을 담은 박진표 감독의 영화 <죽어도 좋아>가 `제한상영가` 등급을 받았다.영상물등급위원회(위원장 김수용)는 23일 오후 영화등급분류소위원회(위원장 유수열)를 열어 제한상영관에서만 상영할 수 있는 제한상영가 등급을 부여했다. 9명의 위원 중 8명이 출석해 표결 결과 `제한상영가`와 `18세 이상 관람가`가 4대 4로 동수를 이뤘으나 위원장이 `제한상영가` 결정을 내렸다. 영등위 관계자는 "7분간의 롱테이크 섹스 신 가운데 구강 성교 대목과 성기 노출 장면 등이 국내 정서에 맞지 않는다고 판단했다"고 전했다.영등위가 제한상영가 등급 결정을 내린 것은 지난 1월 26일 개정 영화진흥법이 발효된 이래 5월 21일 북한영화 <동물의 쌍붙기(원제 동물의 번식)>에 이어 두번째이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서는 제한상영관이 들어서지 않은 상태여서 <죽어도 좋아>의 극장 개봉은 사실상 불가능한 형편이다.제작사인 메이필름의 서영희 팀장은
영화 <죽어도 좋아>에 제한상영가 등급
-
“힘든 촬영이었지만 이보다 더 즐거웠던 현장도 없었던 것 같아요.”지난 17일(수) 영화 <연애소설>의 손예진이 마지막 촬영을 끝내고 밝힌 소감이다. 5개월여간의 촬영을 마치고 <연애소설>을 함께 써왔던 세 주인공 차태현, 이은주, 손예진은 촬영기간 함께 했던 갖가지 추억과 크랭크업에 대한 아쉬움을 함께 나눴다. 이 날 촬영은 '연애소설'답게 지환(차태현)과 수인(손예진)이 서로의 첫사랑에 대해 이야기하는 장면. 두 사람은 어릴 적 잊을 수 없었던 첫사랑의 기억을 도란도란 이야기하며 서로를 더 잘 이해하게 되는 내용이었다. 마지막 촬영현장의 분위기는 여느 때와 다름없었지만, 차태현과 손예진 두 배우의 느낌은 사뭇 대조적이었다. 차태현은 여느 촬영장에서와 마찬가지로 촬영 틈틈이 스텝들과 장난을 치거나 입담을 과시하는 데 비해, 손예진은 차분한 마음으로 조용히 촬영에 임했기 때문. 여느 때 같으면, 차태현의 장난에 손예진도 재밌어하며 반응을 보였을 테지만 이 날만큼
<연애소설> `이제 막 끝냈어요`
-
“영화투자를 중단하는 일은 없다”<아 유 레디?>의 흥행 참패로 주위의 우려가 많다.항간에서는 우리가 문을 닫는다느니 영화투자를 중단한다느니 하는 루머가 나도는 모양이다. 모두 근거없는 소리다. 그동안 영화산업을 총괄하던 하성근 본부장이 7월 말로 사퇴하지만, 실적과 관련된 것은 아니다. 그동안 성적이 나쁘긴 했지만, <울랄라 씨스터즈> <해적, 디스코왕 되다> 등은 돈을 벌었다. 사업이란 어차피 6개월, 1년 단위로 진행되는 게 아니다. 아무튼 자금에 어려움이 많다는 얘기가 들린다. 모회사인 KTB네트워크 차원에서 따질 때 영화투자의 비율은 매우 작은 비중을 차지한다. 400억원 정도만으로 운용하고 있다. 전체 수익률로 따지자면 <공동경비구역 JSA> <번지점프를 하다> 등도 있고 지난해 개봉작의 정산도 아직 끝난 게 아니라 전체로 보면 소폭 손실을 기록하고 있을 것이다. 향후 투자는 어떤 기준으로 진행할 것인가.최근에는 한 영
권재륜 KTB엔터테인먼트 대표 인터뷰
-
-
“프로듀싱이 과정이 더욱 강조돼야”상반기 실적이 안 좋은 것 같다.오해가 있다. <예스터데이>에 우리가 실제로 투자한 비율은 20% 정도뿐이다. <아 유 레디?>는 마케팅 비용을 대여한 것뿐이다. 우리가 배급한다고 해서 전체를 투자하는 것은 아니다. 어쨌건 상반기만 놓고 보면 적자는 사실이지만, 하반기의 <YMCA야구단>과 <성냥팔이 소녀의 재림>이 좋은 실적을 낼 것으로 보기 때문에 걱정하진 않는다. 수익률을 올리는 것이 급선무겠다.우리는 다른 투자사와 입장이 다르다. 극단적으로 말해, 한국영화 수익이 마이너스만 나지 않으면 된다. 매년 50억원이 넘는 극장수익이 들어오고 있다. 우리가 한국영화에 투자하는 이유는 배급력 유지, CGV에 라인업 제공, 케이블TV 콘텐츠 확보, 라이브러리 구축 등 다양하다. 물론 제작비의 거품을 걷는 작업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제작관리팀에 2명의 직원을 새로 고용했을 정도다. 현재 한국영화계의 문제는 무엇인
최평호 CJ엔터테인먼트 상무 인터뷰
-
수익률 하락으로 하반기 한국영화 투자위축 조짐, 철저한 제작관리 시스템 시급요즘 한국영화 투자자들을 만나면 한결같은 발언을 듣게 된다. “당분간 한국영화에 대한 투자는 위축될 것이며, 최소한 이전보다는 보수화, 안정화될 것”이라는 얘기다. 이건 얼핏 납득이 되지 않는다. 통계에서 보이는 수치는 한국영화의 활황세를 보여주는 듯하기 때문이다. 영화진흥위원회에 따르면, 올해 6월까지 한국영화의 시장점유율은 46.1%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상반기의 38.3%와 비교할 때 크게 상승한 수치. 상반기 한국영화에 몰린 808만명의 관객 수(서울 기준)는 지난해 동기의 571만여명에 비해 41.5% 늘었다. 제작편수도 지난해 상반기 24편이던 게 올 상반기에는 38편을 기록하는 등 한국영화는 그야말로 단군 이래 최고의 호시절을 누리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투자자들은 무엇을 두려워하고 있는 걸까.투자 대비 수익 하향곡선투자자들이 꼽는 첫째 투자위축 요인은 올 상반기를 비롯해 최근 한국영화
충무로 이상 기류, 고개 숙인 투자자들
-
BOX OFFICE (서울) 7월 20일 - 7월 21일순위TITLE개봉일스크린좌석수서울주말서울누계(전야제)전국누계1맨인블랙 22002.07.11581681610815864619915153772라이타를 켜라2002.07.174311885783141529164419933센과 치히로의행방불명2002.06.283068685906063500013047524스타워즈에피소드22002.07.044083543700049600011960005릴로앤 스티치2002.07.192449703249941832824236스쿠비두2002.07.1727478821200432001148007긴급조치 19호2002.07.178챔피언2002.06.2891830933455524917317019스피릿2002.07.05496935009830022620010서프라이즈2002.07.12411222373103957299719# 참고사항1) 배급위원회 회원사 및 자사 관객수 공개를 천명한 영화배급사외 공개를 수락하지 않은 배급사는
BOX OFFICE 7월20-21일
-
프루트 챈 감독, 장혁·조인성 주연의 <화장실, 어디에요?>가 9월 개봉을 앞두고 일부 장면의 사진을 공개했다. <화장실, 어디에요?>는 공중화장실을 주요 공간으로 젊은이들의 희망과 좌절을 그리는 아시아 합작영화. 시나리오에서부터 스탭, 배우, 배급, 투자까지 한국과 홍콩을 중심으로 한 아시아 여러 나라의 참여로 완성됐다.
공중화장실에서 생긴 일
-
김응수 감독의 <욕망>이 55회 로카르노 국제영화제 '현재의 필름메이커'(Filmmakers of the Present)부문에 진출했다. 오는 8월 1일부터 11일까지 스위스 로카르노에 열릴 이 영화제의 '현재의 필름메이커' 부문은 새로운 영화작가를 소개하는 비경쟁 섹션이다.
<욕망> 로카르노 `현재의 필름메이커` 진출
-
LA 최대의 퀴어영화제 아웃페스트 20주년 맞아로스앤젤레스 최대의 퀴어필름페스티벌 아웃페스트가 올해로 20주년을 맞았다. 7월12일부터 열흘 동안 열린 이번 행사에는 세계 30개국에서 온 241개의 영화가 소개돼 LA에서 열리는 영화제로 최대임은 물론 퀴어영화제로는 세계적인 수준에 이르렀음을 보여줬다. 82년 UCLA 필름스쿨 졸업생 네명이 모여 만든 소박한 모임으로 시작됐던 이 행사는 당시만 하더라도 메인스트림에서 심한 검열의 대상이었던 게이 레즈비언 영화가 90년대 이후 퀴어시네마라는 새 이름으로 영화계의 언더그라운드에서 벗어나 바깥세상과 만나는 데 일조했으며, 영화제의 자식들인 토드 헤인즈, 구스 반 산트, 그렉 아라키가 1991∼92년 각각 <포이즌> <내 청춘 아이다호> <더 리빙 엔드> 등으로 돌풍을 일으키며 당당히 메인스트림 영화계에 그 존재를 알리는 모습을 흐뭇하게 지켜보았을 뿐만 아니라 <프렌즈식스피트 언더윌엔 그레이스>
[LA리포트] 마이너리티 퀴어 리포트
-
일본과 한국, <아멜리에> 등 흥행 성공하며 새로운 시장으로 떠올라지난 2001년 <늑대들의 후예>나 <아멜리에>와 같은 프랑스 상업영화의 부흥으로 해외시장에서 프랑스영화의 판매도 크게 증가했다고 한다. 근접 유럽국가나 미국이 지속적인 시장이었다면, 최근 이곳 언론이 주목하는 것은 한국과 일본으로 대표되는 아시아 국가들이다. 이는 올해 10회째인 요코하마프랑스영화제나 2회째인 서울프랑스영화제를 맞아 프랑스영화 해외 진출을 돕는 기구인 유니프랑스의 적극적인 주도로 베르트랑 타베르니에 감독이나 제라르 랑뱅과 같은 유명 배우들이 한국과 일본을 방문했고 이를 계기로 프랑스 영화시장에서 이 지역에 대한 관심이 커졌기 때문이다. 2001년 일본의 경우 50여개의 프랑스 제작영화가 수입돼 420만명의 관객을 모았고, 한국의 경우 15개의 프랑스 제작영화가 수입돼 230만명의 관객을 끌었다. 이곳에서 프랑스영화의 성공은 크게 뤽 베송으로 상징되는 스펙터클한 상업적
[파리리포트] 프랑스영화는 동진(東進)중!
-
<레지던트 이블>로 성공을 거둔 폴 앤더슨 감독이 <에일리언 vs 프레데터>의 시나리오와 연출을 맡는다. <프레데터> 1, 2편을 제작한 조엘 실버와 존 데이비스, 로렌스 고든, <에이리언> 시리즈를 제작한 데이비드 가일러와 월터 힐 등 거물급 흥행 프로듀서들에게 발탁된 것. 이십세기 폭스에서 제작하는 이 영화는, 폭스 인터랙티브에서 출시된 동명 인기 비디오 게임 시리즈에 바탕한 작품이다.
에일리언+프레데터+폴 앤더슨
-
영국아카데미영화상 시상식이 2004년부터 2월8일에 개최될 예정이다. 미국의 영화예술과학아카데미가 오스카 시상식을 2월 말로 앞당기기로 잠정적으로 결정한 것에 대한 일종의 연동 작용 때문. 2년 전 영국영화TV예술아카데미(BAFTA)는, 3월 말에 열리는 오스카의 전야제로 부각시키기 위해 영국아카데미영화상 개최 시기를 4월 중순에서 2월22일로 바꾼 바 있다.
영국아카데미상 2월 초로 앞당겨
-
<스타워즈 에피소드2: 클론의 습격>이 일본 시장에서 역대 최고의 오프닝 성적을 거뒀다. 630개관에서 개봉한 <스타워즈 에피소드2>는 주말 이틀 동안 107만5287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1380만달러를 벌어들였다. 이는 139만525명을 동원하고 1340만달러를 벌어들인 <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의 이전 최고 기록을 능가했다.
일본 최고 오프닝은 <에피소드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