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칼럼 > 내 인생의 영화
[내 인생의 영화] 채수응 감독의 <베니스에서의 죽음>
채수응(영화감독) 2019-01-08

다시 찾아온 아이러니

감독 루키노 비스콘티 / 출연 더크 보가드, 비오른 안드레센 / 제작연도 1971년

어릴 때 <베니스에서의 죽음>을 끝까지 채 못 보고 잠든 적이 있다. 자막도 없이 수염 난 백인 할아버지와 이국적인 마을을 무겁게 쫓아다니더니 결국 나의 VCR은 이 영화를 단숨에 뱉어냈다. 베니스국제영화제에 초청받아 호텔방에 갇혀 대기하면서 피 말렸던 베니스의 시간들 때문이었는지, 귀국 후 다시 이 영화를 찾아보게 되었다. 노 작곡가 구스타프(더크 보가드)는 요양차 베니스에 도착하고, 그곳에서 마주친 완벽한 미소년 타지오(비오른 안드레센)에게 인생의 마지막 사랑을 느낀다. 그러나 말 한번 못 걸어보고 소년의 뒤만 쫓아 헤매다 호텔 지배인으로부터 소년의 가족이 그날 오후에 떠날 것이라는 이야기를 듣는다. 노인은 어설픈 화장으로 치장한 채 소년을 찾지만 노을이 지는 바닷가 저 멀리서 소년의 찬란한 모습을 바라만 보다가 숨을 거둔다는 이야기다.

스토리는 단편영화 분량이지만 글로 표현할 수 없는 기운들로 가득 차 있다. 섬으로 들어가던 통통배 안에서 구스타프의 얼굴을 스쳐 지나갔을 바닷바람의 염내, 광대가 비꼬듯 암시하는 죽음의 색채를 아는 자들은 저렇게 웃고 있겠지라는 생각도 잠시, 예술에 지친 노장에게 다가온 아름다움에 대한 새로운 욕망, 애써 젊게 치장하려 하지만 감출 수 없는 깊은 주름과 동반된 죽음은 그만의 사랑을 비극으로 완성시킨다. 또 1971년작답게 빈티지한 결은 있지만 고전다운 독창적인 문법으로 사라져가는 것, 붙잡을 수 없는 것에 대한 인생의 고뇌를 우아하게 펼쳐낸다. 화려한 기교 없이 2.35:1 애너모픽 화면에 꽉 채워 인물과 베니스의 풍경을 담아낸 트래킹숏과 음악 위에 떠 있는 듯 흘러가는 호흡, 간혹 인물로 플라잉 줌인되는 클로즈업으로 불안함을 증폭시켜주는 것 이외에는 카메라의 미세한 떨림조차도 자이로헤드가 없던 그 시절의 날것으로 받아들여진다.

타지오에 대한 구스타프의 갈망은 루키노 비스콘티 감독이 안고 있던 아름다움에 대한 집착의 투영이다. 미소년을 사랑한다는 것은 마치 그가 일생에서 추구했던 아름다움과 예술에 집착하는 것과 같다. 나는 여기서 시네키드를 꿈꾸던 유년기와 재회하며 오늘날 커리어라는 이름으로 영화에 잠식되어간 나를 보았다. 동경했던 아름다움에 다가가기 두려워하는 구스타프가 멀리서 타지오를 바라보듯, 나 역시 붙잡지 못하는 것에 미련을 두는 건지도 모른다.

‘영화는 죽었다’는 발언을 했던 피터 그리너웨이 감독이 동명의 원작소설을 바탕으로 이 영화를 다시 만들겠다고 한 적 있다. 80살 가까워진 그도 비스콘티의 탐미적 귀족주의에 동감했던 것 같다. 심지어 그는 “이제 영화는 인터랙티브해야 한다”라며 하이테크놀로지를 주창한 바 있는데, 끝없는 예술에 대한 갈망으로 변질되는 자신을 바라보며 기술로 치장하려고 한 건 아닌지. 나 역시도 연지로 분칠하듯 영화에 3D와 VR을 가져오려 했던 것은 아니었을까.

영화가 끝나면 무겁게 잔재된 고민은 곧 해소된다. 노년의 작곡가가 그의 삶에서 마지막으로 보여줬던 제일 값지고 멋진 행위, 결국 죽음으로 끝났지만 그 과정이 찬란하고 아름다웠기 때문이다. 무언가를 끝까지 갈망하고 ‘심쿵’ 하며 살아갈 수 있다는 건 요즘 시대에 주어진 새로운 행복이다. 그것이 비극일지라도 타지오 같은 영화의 마법이 영원히 풀리지 않기를 바란다. 자연스럽게 흘러갈 것은 흘러가고 올 것은 때가 되면 올 것이다. 그렇게 성인이 되어서야 <베니스에서의 죽음>이 내 인생의 영화로 다시 찾아오는 것처럼.

채수응 영화감독. 7살 때 처음 캠코더를 접한 계기로 시작해 다양한 영화 커리어 쌓는 중. 한·중 합작 장편영화 <초능소년사건>(2016)을 비롯해 제75회 베니스국제영화제 베스트 VR 익스피리언스상 수상작 <버디 VR>(2018)을 연출했다.

관련영화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