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스페셜 > 스페셜1
[스페셜] 한국영화 속 인상적인 여성 캐릭터 공동 16위
이주현 2017-04-10

16 <미몽> 감독 양주남, 1936 애순 문예봉

“봉건적 부부관계와 여성혐오에 맞서 자존과 애정을 갈구하며 자신의 욕망을 실현하려는 <미몽>의 애순은 이후의 <자유부인>을 비롯한 많은 여성들의 선배 격인 인물이다.”(신은실 인디다큐페스티발 집행위원) “전통적인 여성상이라는 통념을 깨부순다. 영화 속 여성상이 선형적으로 변해왔다는 편견을 단숨에 깨줄 착하지 않은, 그렇다고 악하다고 할 수도 없는 캐릭터.”(김소희 평론가) 지금으로부터 80년 전인 1930년대에 이미 “화려한 일탈”(정종화 한국영상자료원 선임연구원)을 감행한 애순은 “자신의 욕망을 위해 가정 그리고 아이까지도 망설임 없이 버리는 여성 캐릭터의 시작”(모은영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프로그래머)이었다. “조선의 고전미로 유명했던 문예봉 선생”(오성지 한국영상자료원 영화사연구소)이 애순 캐릭터에 특별한 애수를 드리웠다.

16 <길소뜸> 감독 임권택, 1985 화영 김지미

<길소뜸>은 이산의 아픔을 간직한 주인공 화영이 시간이 한참 흘러 헤어진 아들과 마주했을 때 모성에 근거한 선택이 아닌 “과거를 극복하고 어쨌든 미래로 나아가”(한창호 평론가)기 위해 현실적 선택을 하는 이야기다. 조혜영 서울국제여성영화제 프로그래머는 <길소뜸>이 “민족과 혈통에 대한 대응이 성차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보여준 급진적 영화”이며 “마지막 장면에서 그녀를 돌아 세우려는 가부장제 민족주의의 목소리에 응하지 않고 재차 거부하며 냉정할 정도로 자신의 길을 가는 화영의 모습이 너무나 강렬하다”며 화영을 지지했다. 변재란 교수 역시 “희생과 헌신이라는 전형적인 모성에 대한 거부가 이 영화에 현실감을 부여했고 거친 목소리의 화영을 현실적인 인물로 되살렸다”고 평했다.

16 <바람난 가족> 감독 임상수, 2003 호정 문소리

<바람난 가족>의 호정은 남편과의 섹스에서 더이상 오르가슴을 느끼지 못한다. 춤도 추고, 물구나무도 서고, 자전거도 타고, 자위도 해보지만 결국 남편 말고 애인이 필요한 게 아닐까 싶어 맹랑하게 추파를 던지는 옆집 고등학생(봉태규)과 바람도 피운다. 영화에서 ‘바람’은 호정을 설명하는 특별한 단어가 아니다. 제목이 말해주듯 호정의 남편 영작(황정민)도, 호정의 시어머니 병한(윤여정)도 바람을 피운다. 호정에게 중요한 것은 솔직하게 사는 것이다. 호정이 더없이 쿨한 여성인 이유는 그 솔직한 태도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호정은 “스스로 인형의 집을 걸어나오는 캐릭터, 더불어 가족 이데올로기를 벗자는 영화의 주제를 대표하는 캐릭터”(심재명 명필름 대표)가 된다.

16 <해피엔드> 감독 정지우, 1999 보라 전도연

가정의 바깥에서 새로운 사랑과 욕망을 탐한다는 점에서 <해피엔드>의 보라는 동순위인 <미몽>의 계보를 이어받은 작품이라 할 수 있다. “그녀는 억척스러운 주부이고, 정신없는 엄마이고(누구에게나 첫아이는 거의 재난이다), 사랑스러운 요부이고, 뻔뻔스러운 아내이며, 똑 부러지는 직장여성이다. 이 모든 것이 합쳐져서 그녀이고, 그녀는 그 모든 것을 분열적으로 해치운다. 그녀는 그 어떤 불륜녀 캐릭터가 가져보지 못했던 생생한 삶의 외피를 입었고, 단순한 동정이나 일방적인 비난을 넘어선 감정을 유발하는 존재였다.”(김지미 평론가) “아이에게 수면제가 든 우유를 먹이고 달려나가던 그녀의 뒤틀린 욕망이 잊히지 않는다”(김선아 서울국제여성영화제 집행위원장)는 의견도 꽤 있었다.

관련영화

관련인물

사진 한세준 스틸작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