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칼럼 > 권혁웅의 일상어 사전
[권혁웅의 일상어 사전] 아기야
권혁웅(시인) 2014-07-04

[ 아기야ː ]

겉뜻 대개 남자가 자기 애인을 귀엽게 부르는 말 속뜻 그녀와 부비부비하고 싶다는 말

주석 설마 정말로 아기에게 “아기야”라고 부르지는 않겠지? 그렇게 불러서 안 되는 이유는 많다. 첫째, 아기에게는 부모가 붙여준 이름이 있다. 멀쩡한 이름을 놔두고 “아기야”라고 부르는 건 우리 집 뽀삐더러 강아지야, 라고 부르는 것과 마찬가지다. 둘째, “아기야”라고 부르면 애 엄마가 먼저 자신을 부르는 줄 알고 돌아본다. 셋째, 아기는 아직 말을 알아듣지 못한다. 그런 나이가 되었다면 이미 아기라고 부르기가 어렵다. 아기는 아기일 뿐 “아기야”라고 부름을 받는 대상은 아니다. 저 호칭은 주로 애인에게 쓴다.

남자들은 왜 그녀를 아기라고 부를까? 그녀가 아기만큼 귀여워서? 할머니가 손자더러 “아이고, 내 강아지” 하는 것처럼? 그렇다면 그건 일종의 스리쿠션을 거쳐 이상한 이름이 되어버린다. 귀엽다는 이유 하나로 그녀가 강아지가 되는 것이다. 그녀(실제의 그녀) → 아기(남자가 본 그녀) → 강아지(할머니가 본 아기). 이런 순서로.

인간은 언어를 통해 삼라만상을 나누고 모은다. 이런 분리와 결합작용을 합쳐서 분절이라고 부른다. 몸의 관절도 분절의 하나다. 팔꿈치 관절은 위팔과 아래팔을 나누면서 결합한다. 분절은 언어의 특성이다. 인간은 언어를 통해 세상을 분류하고 쪼개고 모으고 결합할 수 있었다. 무지개를 오색(五色)이라고도 부르고 일곱 빛깔이라고도 부르는 것은 동양과 서양이 색을 분절하는 기준이 달랐기 때문이다. 그것은 국악이 오음계이고 서양음악이 칠음계인 것과도 관련이 있다. 동양에서는 궁상각치우로 색을 보고 서양에서는 도레미파솔라시로 색을 보았다. 요컨대 언어는 세상을 분절하는 방법인 것이다.

아기는 아직 언어를 배우지 않았다. 이것은 아기가 세상을 분절하지 않았다는 뜻이기도 하고, 아기 자신이 언어에 의해 분절되지 않았다는 뜻이기도 하다. 아기는 언어 이전의 살(肉), 우리가 보고 만지고 느낄 수 있지만 거기에 어떤 설명도 덧붙일 수 없는 그런 살이다. 우리가 예쁘다, 매끄럽다, 부드럽다와 같은 말로 설명하려고 했던 원래의 그 살결 그대로 아기는 있다. 하지만 어떤 언어도 아기의 그 예쁘고 매끄럽고 부드러운 살결을 형용할 수가 없다.

남자가 애인을 아기라고 부르는 것은 그래서다. 그녀가 얼마나 예쁘냐고? 미치도록! 얼마나 매끄럽냐고? 만져보지 않았으면 가만히 계셔. 얼마나 부드럽냐고? 오 마이 갓. 말 시키지 말라 이거다. 남자는 아무 말도 할 수가 없다. 어서어서 그 옆에 누워서 같이 아기가 되고 싶을 뿐. 부비부비하고 싶을 뿐.

용례 한 아기와 세 아버지의 유쾌한 육아일기인 <세 남자와 아기 바구니>(1985)가 <세 남자와 아기 바구니 18년 후>(2003)라는 속편으로 이어진 것은 당연한 결과다. 아기 마리는 어느새 성숙한 여성으로 변신해 있다. 세 아버지는 다투어 그녀를 부른다. “아기야!”

관련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