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칼럼 > 김혜리의 영화의 일기
[김혜리의 영화의 일기] 뱀도 태워요?
김혜리 2014-04-10

※ 3월11일 일기에 <노아>의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배우의 매력이 지아장커 영화의 손꼽히는 장점은 아니다. 그의 인물에게서 눈을 떼기 힘들게 만드는 힘은 대개 배우보다 카메라의 시선에서 나온다. 감독의 오랜 파트너 자오타오가 예외지만, 그녀는 종종 지나치게 만사를 꿰뚫어보는 관찰자의 표정을 지어 영화 밖으로 돌출한다. 픽션의 양식에 전례 없이 충실한 <천주정>에서 제일 생동하는 배우는 유흥업소 종업원 역의 조연 리멍(李夢)이다. 그녀는 장면과 메이크업에 따라 표변하는 인상 속에서도, 캐릭터의 견고한 본령인 정직함과 상냥함을 보존한다.

3/9

일요일 아침 조조 영화 나들이는 즐겁다. 휴일 오전 영화관에는 오후 인파가 밀려들기 직전의 아슬아슬한 호젓함이 있다. 관람을 마치고 입장 무렵과 딴판으로 북적이는 로비를 통과하며 느끼는 뿌듯함은 뭐랄까, 한식 새벽에 성묘를 마치고 귀경하며 하염없이 정체된 하행선을 곁눈질하는 우월감과 비슷하다. 전 벌써 한편 봤습니다, 하하! 일요일 아침 상영관은 장내 분위기마저 바람직하다. 주중에 별렀던 영화를 혼자 보러 온 직장인, 최대한 긴 하루를 함께 보내려는 연인들, 일찌감치 일과를 시작한 장년층 부부가 드문드문 흩어져 있는 객석은 차분하다. 그들은 맑은 머리로 조용히 영화에 집중한다. 영화 관람 다음 식순으로 이어질 모처럼의 일요일 외식 입맛을 망치고 싶은 사람은 드문지라 팝콘 소음과 스낵의 냄새도 현저히 적다. 시간이 시간이니만큼 휴대폰을 꺼내 바쁜 문자를 확인하고 전화를 받는 훼방도 드물다. 마치 온 세상이 나의 영화 관람을 응원하고 축복하는 듯하다.

<모뉴먼츠 맨: 세기의 작전>(이하 <모뉴먼츠 맨>)은 여러모로 일요일 조조에 최적인 조건을 갖췄다. 화제작도 문제작도 오랫동안 고대한 영화도 아니므로 부담이 없는 데다가 감독 조지 클루니는 ‘정치적으로 올바르고’ 미학적으로 온건한 취향의 연출자이며 그의 친구들이 대거 참여한 출연진 면면은 연기의 기본 재미와 유머를 보장한다. 허를 찔릴 위험이 없다고나 할까. 영화는 2차대전 당시 유럽의 중요 미술품을 군사 폭격과 나치의 약탈로부터 보호한 특수부대 이야기다. 여덟자로 하면 ‘세이빙 미켈란젤로’다. <세계의 미술관>류 다큐멘터리에 혹하는 관객에게는 ‘숨은그림찾기’의 즐거움이 부록인 셈이다. <모뉴먼츠 맨>은 이야기의 전제도 유유자적(?)하다. 징집 연령을 예전에 넘겨 전쟁터에 갈 필요가 전혀 없는 조각가, 건축가, 미술사학자, 큐레이터들이 대중도 정치인도 주목하지 않는 가운데 전쟁에서 결코 최우선 순위가 아닌 목표를 위해 싸운다. 전쟁의 시대를 뒤덮기 마련인 애국심과도 그들의 활동은 무관하다. 모뉴먼츠 맨이 목숨을 거는 미술품은 미국 재산이 아니다. 노르망디상륙작전 몇주 뒤인 1944년 7월, 모뉴먼츠 맨들이 똑같은 해안에 터덜터덜 상륙하는 긴장감 제로의 장면은 꽤나 함축적이다. 이것이 <라이언 일병 구하기>와 <미켈란젤로 구하기>의 차이다. <모뉴먼츠 맨>의 주인공들은 병사의 목숨이 가장 중요하므로 ‘배부른’ 미션에는 협조 못한다는 야전 사령관의 말에 토를 달지 못하고 돌아선다. 그들은 교전 상황의 틈새를 알아서 요리조리 활용해야 한다.

‘콜래트럴 데미지’(collateral damage)는 의도된 타깃과 무관한 민간인과 시설물이 군사작전에 의해 입는 애먼 피해를 가리키는 용어로, 아놀드 슈워제네거 주연의 액션영화 제목이기도 하다. <맨 오브 스틸>의 시가지 파괴 시퀀스나 <분노의 질주> 시리즈의 난폭 운전이 웅변하듯 할리우드는 관습적으로 콜래트럴 데미지를 없는 셈 친다. 이를테면 <모뉴먼츠 맨>은 전통적으로 무시돼온 콜래트럴 데미지를 영화의 제재로 선택한 드문 예다. 콜래트럴 데미지를 줄이려면 용기와 힘보다 절충과 타협이 긴요한데 절충과 타협은 영화적으로 멋져 보이기 힘든 활동이다. 그러나 현실 세계에는 분명 차선과 차악이 존재한다. 어떤 행위- 특히 폭력을 포함한- 의 큰 목표가 무엇이건 실행과 집행의 국면에서 콜래트럴 데미지가 안중에 없는 경우와 조금이라도 희생을 줄이려는 조치가 수반되는 경우가 낳는 결과의 차이는 크다. 박민규 작가는 소설 <핑퐁>에서, 우리는 각자 품은 9볼트의 해악이 적어도 직렬로는 연결되지 않도록 경계해야 한다고 쓴 적이 있는데 <모뉴먼츠 맨>을 보는 동안 나는 평소 좋아하던 그 문장을 정확히 기억해내려고 한참 애를 썼다. 사실 영화가 좀 느슨해서 딴생각을 할 틈이 많기도 했다. 우선순위를 둘러싼 딜레마는 얄궂게도 <모뉴먼츠 맨>을 범작으로 주저앉힌 덫이기도 하다. 조지 클루니는 이 영화를 <오션스 일레븐>의 2차대전판으로 만들지, 전쟁의 폭넓은 해악을 파헤치는 심각한 드라마로 밀어붙일지 입장을 정리하지 못한다. 그렇지 않고서야 바에서 조지 클루니가 맷 데이먼을 섭외하는 장면이 살아남았을 리가 없다. 영화는 케이퍼무비의 상투적 에피소드를 끼워넣다가는 정색하고 문명과 예술을 논한다. 휴일의 나머지 시간을 강렬한 여운으로 잡아먹지 않는, 한갓진 일요일 조조 영화였다.

3/11

“사람 살리기도 바쁜데”라는 말로 일축되는 대표적 항목으로 문화, 예술과 더불어 동물의 생명권이 있다. 오늘 언론 시사회를 한 대런 애로노프스키의 <노아>는 다양한 기준에서 뜻밖인 영화였는데 채식주의와 환경운동 슬로건을 지금껏 접한 어떤 주류영화보다 직설적으로 설파한다는 점도 놀라움의 하나였다. 대런 애로노프스키의 노아(러셀 크로)는 최초의 동물권 옹호자이며 은둔형 환경주의자다. 인류는 당연히 세계의 필수불가결한 구성원이라는 대전제를 노아는 호락호락 받아들이지 않는다. 그는 인간의 생존권이 동물의 그것보다 우위에 있다고 가정하지 않을 뿐 아니라 나아가 타락하지 않은 동물이 더 우월한 존재라고 믿는다. 주지하다시피 멸종 위기의 동물을 구했을 뿐 아니라 방주를 짓고 남는 시간에는 다친 동물을 돌본다. (그의 아이 중 한명이 묻는다. “뱀도 태워요?”) 반면 카인의 타락한 자손들이 모여 사는 마을이 영화에 보일 때는 도축과 고기를 둘러싼 다툼의 지옥도가 꼭 끼어든다. “동물을 왜 죽이죠?” “먹어서 강해지려고.” “힘은 창조주로부터 오는 거잖아요?” 경악한 아들과 노아의 대화는 이 집안의 식탁 메뉴를 암시한다. 대조적으로, 노아의 적대자를 대표하는 인물 두발가인(레이 윈스턴)이 방주에 밀항해 살아 있는 파충류를 씹어 먹는 순간을 영화는 강조한다(영화에 따르면 두발가인은 적어도 동물 2종의 멸종에 책임이 있다). 애로노프스키 감독은 <노아>의 촬영에 살아 있는 동물을 동원하지 않았다. 지난 2월17일 <가디언>은 애로노프스키가 제작 현장에서 플라스틱 물병을 금지하는 바람에 새벽 촬영 중 목이 탄 배우 에마 왓슨이 상한 물을 들이켜 탈이 났다고 보도했다. 나의 댓글. 노아의 일관성과 사명감이 누굴 닮았겠는가.

그럼에도 현대적 관점에서 노아를 ‘진보적’ 인물이라고 말하긴 어렵다. 일단 그는 노동으로 환경을 변화시키느니 자연이 때가 되면 떨어뜨려주는 결실에 족하는 삶을 이상으로 삼는다. 농사짓는 수고를 벌로 받기 이전 아담과 이브의 상태라고 할 수 있다. 반면, “노동해서 먹고살라는 저주를 내려 노동하고 먹고살고 있는 게 무슨 잘못인가”라고 창조주에게 반문하는 두발가인은 문헌에 따르면 놋쇠와 쇠를 쓰는 장인들의 감독자다. 둘째로 노아는 마음 깊은 곳으로부터 염세적인 인물이다. 그는 필연적으로 사회악을 하수(下水)처럼 배출하기 마련인 인간의 공동체 생활 자체에 회의적이다. 어찌 보면 현대인의 눈에 비친 노아는 갈 길을 제시하는 자라기보다, 깊은 탄식으로 각성을 촉구하긴 하지만 스스로도 어찌할 바를 몰라 고통받는 자다. 말하자면… 노아에게 신이 그랬듯이. (다음에 계속)

좋아요

<노아>의 암석 거인

<노아>에 등장하는 ‘감시자들’(watchers)은 성경에 언급된 거인족에 기초한 크리처로 생김새와는 딴판으로 천사 출신이다. 인간에게 환멸을 느끼고 칩거했던 그들은 선택된 인간 노아에 의해 다시 깨어나 방주 건설의 역군으로 기중기마냥 일한다. 노아네 식구 숫자와 방주의 규모를 생각하면 합리적인(?) 설정이다. <반지의 제왕>의 나무수염을 닮은 미니멀한 자연주의 디자인과, 옛날 판타지영화 속 괴물의 스톱모션 액션을 연상시키는 움직임이 정겹다. 사진은 감독이 트위터(@DarrenAronofsky)에 올린, 거인 캐릭터 더빙 중인 닉 놀테.

관련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