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칼럼 > 한창호의 오! 마돈나
[한창호의 오! 마돈나] 불안과 우울

비비안 리 Vivien Leigh

허구 속의 캐릭터가 배우의 실제 삶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종종 있다. 특히 강렬한 심리적 몰입이 필요한 메소드 연기자들 사이에서 그런 일이 잦다. 이런 테마의 고전으로는 조지 쿠커의 <이중생활>(1947)이 꼽힌다. 셰익스피어의 <오셀로>를 연기하는 남자 배우(로널드 콜먼)는 공연이 장기화되면 될수록 성공에 기뻐하기는커녕 점점 불안감에 빠져든다. 자신이 오셀로처럼 변해가는 것을 느끼기 때문이다. 이러다간 자신도 사랑하는 연인을 목 졸라 죽일지 모른다는 공포에 휩싸인다. 실제와 허구 사이의 ‘이중생활’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갈등을 그린 이 고전의 주인공처럼, 캐릭터와 거의 동화되어 성공과 불안을 동시에 경험한 대표적인 배우를 꼽자면 비비안 리가 단연 돋보인다. 비비안 리는 영원히 하나의 캐릭터, 곧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속 블랑시로 살았다.

신경증에 가까운 연기

물론 많은 관객에게 비비안 리는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1939)의 스칼렛 오하라로 더 유명하다. 남부의 강인한 여성 역을 맡은 비비안 리는 당시 26살이었는데, 뛰어난 외모와 강인한 인상으로 단숨에 할리우드의 별이 됐다. 그를 캐스팅한 감독 조지 쿠커(제작 중간에 감독은 빅터 플레밍으로 교체된다)는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야성적’이라며 비비안 리의 매력을 소개하기도 했다. 사랑하고 존경하는 배우 로렌스 올리비에를 따라 런던에서 이제 막 할리우드로 건너온 신참 배우였는데, 비비안 리는 연인보다 먼저 스타탄생의 주인공이 된 것이다.

원래 비비안 리는 런던의 연극배우였다. 셰익스피어의 주요 작품에 등장하며 경력을 쌓았 고, 특히 훗날 남편이 되는 로렌스 올리비에가 연출하는 공연을 통해 연극계의 스타가 된다. 연극과는 달리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의 성공에도 불구하고 영화와는 잘 섞이지 못했다. 자신을 절대 ‘영화배우’라고 소개하지 않았다. 그냥 ‘배우’라고 말했다. 영화배우는 ‘가짜의 가치와 선전을 위해 사는 거짓의 삶’이라고 생각했다. 말하자면 카메라 앞이 아니라, 관객과 호흡하는 무대 위의 연기에 더 큰 애정을 갖고 있었다.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로 아카데미 주연상까지 받았지만, 주위사람들에겐 “더이상 영화에 출연하지 않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실제로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이후 비비안 리는 자신의 전성기를 열 것으로 기대됐는데, 이듬해 발표된 <애수> 이외에는 영화사에 남을 작품을 내놓지 못하고 1940년대를 보냈다.

비비안 리는 1940년대를 런던에서 연극에 더욱 몰두한다. 셰익스피어, 버나드 쇼 같은 영국의 대표적 작가의 작품에서 올리비에 연출로, 올리비에와 공연하며 명성을 쌓았다. 이를테면 <로미오와 줄리엣>에서 자신은 줄리엣을, 올리비에는 연출과 로미오를 맡는 식이었다. 주로 영국의 대표작들을 연기하던 이들 부부는 1949년 테네시 윌리엄스의 희곡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를 무대에 올린다. 1947년 뉴욕에서, 엘리아 카잔이 연출을 맡고, 말론 브랜도, 제시카 텐디 등이 주연한 공연으로 큰 성공을 거둔 작품이라, 어느 정도 성공이 예상됐었다. 영국에서도 인기는 대단했다. 9개월 이상 공연되며, 326회를 무대에 올렸다. 단연 주목받은 것은 블랑시를 표현하는 비비안 리의 연기력이었다. 허구의 캐릭터인 블랑시가 만약 살아 있다면 그것은 비비안 리일 것이라는 말이 자연스럽게 나왔다. 신경쇠약의 허영심 가득한 블랑시의 이미지는 비비안 리를 통해 영원히 관객의 기억속에 각인된 것이다.

엘리아 카잔은 1951년 연극 멤버를 거의 그대로 캐스팅하여 영화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를 만든다. 단 한명만 바꾸는데, 바로 블랑시 역의 제시카 텐디를 비비안 리로 교체했다. 아카데미 주연상을 받은 배우라는 명성이 필요했고, 리의 신경증에 가까운 연기에 더 큰 매력을 느꼈다. 영화가 시작되자마자 관객은 경악했다.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의 스칼렛 오하라의 빛나던 미모는 온데간데없고, 바싹 마르고, 푸석한 얼굴에 화장을 너무 짙게 발라 심지어 ‘불결해’ 보이기도 했다. 그런데 바로 이 작품에서 비비안 리는 영화사에 오래 남을 명연기를 펼친 것이다.

영원히 ‘블랑시’로 살다

반쯤 미쳐 있고, 반쯤 꿈꾸고 있는 블랑시는 늘 과장된 동작에, 과장된 말투를 갖고 있다. 이를 표현하는 비비안 리의 연기는 이후 모든 블랑시 역의 배우들이 참조하는 어떤 전범이 됐다. 심지어 우디 앨런 같은 남자 배우도 리를 흉내냈다. 그의 SF물인 <슬리퍼>(1973)에서다. 200년 동안 타임캡슐에서 잠을 자다(슬리퍼) 깨어난 앨런은 미래세계에서 전제정부에 대항하는 반란군과 합류하여 자유를 되찾기 위해 싸운다. 어느 날 정신을 잃고 쓰러졌던 그는 깨어나자마자 갑자기 연극 동작을 흉내낸다. 바로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속 블랑시의 대사다. “나는 늘 낯선 남자의 친절을 기다렸어요.” “외관의 아름다움은 지나가는 것이에요. 찰나적이죠.” 우디 앨런은 마치 비비안 리처럼 과장된 동작과 과장된 말투로 블랑시를 연기하는 것이다. 그가 비비안 리의 블랑시를 얼마나 좋아했는지 단숨에 알게 하는 장면이었다.

최근작 <블루 재스민>에서 우디 앨런은 또다시 비비안 리에게, 그리고 원작자 테네시 윌리엄스에게 오마주를 보낸다. 주인공 재스민 역을 맡은 케이트 블란쳇을 통해서다. 역시 블랑시처럼 졸지에 쫄딱 망한 재스민은 샌프란시스코의 동생 집에 피신해 사는데, 반쯤 정신이 나가 있고, 여전히 화려한 삶을 꿈꾼다. 거의 정신을 잃고 길거리의 벤치에 앉아 혼잣말을 해대는 장면은 비비안 리에 대한 강렬한 오마주라고 봐도 좋을 순간이다. <블루 재스민>에서 어떻게나 블랑시에 대한 기억을 잘 살려내는지, 만약 앨런이 젊다면, 남자임에도 불구하고 직접 블랑시 역을 연기하는 훌륭한 코미디를 한편 빚어낼 수 있을 것만 같았다.

비비안 리는 실제로 블랑시처럼 건강이 좋지 않았고, 특히 극심한 우울증을 겪었다. 할리우드에서의 영화 경력이 비교적 짧은 데는 리의 통제되지 않는 성질 때문이라는 지적도 많았다. 특히 조울증 때문에 함께 일하는 사람들을 매우 힘들게 만들었다. 게다가 폐병까지 겹쳐, 런던에서의 연극 공연도 점점 줄어들었다. 비비안 리는 결국 조울증과 폐병으로 일찍 죽었다. 53살이었다. 그의 요절에는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속 블랑시라는 캐릭터가 한 원인이 됐을 것이란 지적이 많았다. 블랑시를 연기하며 실제로 조울증이 더욱 깊어졌다는 것이다. 말하자면 조지 쿠커의 <이중생활>의 허구를 실제에서 반복한 배우가 바로 비비안 리였다. 이쯤 되면 자연이 예술을 모방한 것이다.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