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News & Report > Report > 영화제
[영화제] ‘세상의 끝’으로 떠나자
김보연 2013-07-31

‘서머 스페셜 2013-영화, 세상을 유목하다’ 부산 영화의전당 시네마테크에서 7월30일부터 8월25일까지

피터 위어의 <모스키토 코스트>.

이 영화제를 제대로 즐기려면 세계지도부터 펼쳐봐야 할 것 같다. 부산 영화의전당 시네마테크에서 7월30일부터 8월25일까지 열리는 ‘서머 스페셜 2013-영화, 세상을 유목하다’는 그 부제에 걸맞게 세계 각 지역의 다채로운 풍경을 스크린 속에 펼쳐낸다. 루키노 비스콘티의 <베니스에서의 죽음>, 에릭 로메르의 <녹색 광선>, 자크 타티의 <윌로씨의 휴가> 등 여름 휴가지의 공기를 임계점까지 압축한 영화들에서부터 <아이 엠 러브> <미드나잇 인 파리> 등 아름다운 풍경을 그린 최근 개봉작들까지 한꺼번에 만날 수 있는 기회다.

4개 섹션 중 지중해의 경관을 담은 ‘지중해의 기억’ 섹션이나 <퐁네프의 연인>이 속해 있는 ‘도시의 연가’ 섹션, 허우샤오시엔의 <동동의 여름방학>을 만날 수 있는 ‘휴가의 추억’ 섹션도 기대되지만 가장 궁금증을 불러일으키는 건 바로 ‘세상 끝에서’ 섹션이다. 다른 상영작들이 비교적 우리에게 익숙한 지역들의 풍경을 그린다면 이 섹션에 포함된 다섯편의 영화는 문자 그대로 “세상 끝”의 낯선 풍경과 그곳에서 일어나는 기이한 일들을 그린다. 특히 스크린으로 볼 기회가 적었던 작품들이라 이번 상영이 더욱 반갑다.

F. W. 무르나우의 <터부>.

존 포드의 <허리케인>.

먼저 타히티의 이국적인 풍경을 배경으로 아름답고 슬픈 사랑 이야기를 그린 F. W. 무르나우의 마지막 작품 <터부>(1931)가 눈에 들어온다. ‘남쪽 바다의 이야기’란 부제가 붙은 이 영화의 제작에는 특별히 로버트 플래허티가 참여했는데, 그의 도움과 함께 무르나우는 로케이션 촬영뿐 아니라 원주민들을 출연시키고 현장스탭으로 고용까지 하며 다큐멘터리에 가까운 생생함을 담아냈다. 현장의 생생함이라면 다음 두 작품도 빼놓을 수 없다. 먼저 호주 출신 감독으로 ‘미국적인 것’에 대한 진지한 고민을 영화에 담아왔던 피터 위어의 <모스키토 코스트>(1986)는 임순례 감독의 <남쪽으로 튀어>의 친척뻘쯤 되는 영화다. 미국이 망가지는 모습을 제 눈으로 볼 수 없어 남아메리카 정글에 가족을 이끌고 제 발로 들어간 괴짜 주인공이 그곳에서 자신들만의 유토피아를 건설하며 겪는 일을 때로는 유쾌하게, 때로는 진지하게 다룬다.

또 한편의 주목할 작품은 자연에 숨은 미지의 두려움을 그리는 데 일가견이 있는 존 부어먼의 <에메랄드 포리스트>(1985)이다. 댐 건설 때문에 브라질의 원시림을 파괴하려는 문명사회와 이에 맞서는 원주민의 싸움을 그린 이 영화는 정글의 원시성을 지독하리만큼 생생히 그린다. 같은 정글이라도 이곳을 ‘살 만한 곳’으로 그린 피터 위어와 접근 가능성 자체에 회의적인 존 부어먼의 차이를 비교해보는 것도 작은 즐거움일 것이다. 물론 ‘세상 끝’에는 정글만 있는 것은 아니다. 어쩌면 이번 상영작 중 가장 낯선 작품일지 모를 프리드릭 토르 프리드릭슨 감독의 <자연의 아이들>(1991)은 아이슬란드의 광활한 벌판과 바다로 우리를 데리고 간다. 나이를 먹어 일할 수 없게 된 할아버지가 젊은 시절의 연인과 함께 떠나는 마지막 여행을 그린 이 작품은 현실의 잔인함에서 시작해 어느 순간부터 마법적인 순간들을 슬그머니 집어넣어 삶의 신비함을 그려낸다.

마지막으로 존 포드의 <허리케인>(1937)은 존 포드의 ‘바람’에 관심이 많은 관객이라면 절대 놓칠 수 없는 영화로서, 아름다운 섬마을을 집어삼키는 바람과 파도의 압도적인 위력은 어떤 초월적인 기운마저 느끼게 한다. 이는 ‘세상 끝에서’ 섹션에서 상영하는 작품들의 공통점일 수도 있을 텐데, 우리 눈앞에 펼쳐진 영화 속 자연의 모습은 단순한 아름다운 볼거리를 넘어 영화 속 인물과 스크린 밖의 관객에게 말로 설명하기 힘든 기운을 불어넣는다. 그 매혹, 혹은 두려움의 정체를 생각해볼 좋은 기회다.

관련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