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ovie > 무비가이드 > 씨네21 리뷰
경계(境界)에 대한 경계(警戒) <지난여름, 갑자기> <백야> <남쪽으로 간다>
장영엽 2012-11-14

이송희일은 길과 밤의 감독이다. 그의 영화에서 등장인물들은 밤의 어둠처럼 깊고 혼탁한 마음의 그늘을 안고 있다. 사회와 세상이 선사한 이 어둠을 떨쳐내기 위해 그들은 어딘가로 뻗은 길을 정처없이 걷는다. 교차로에서 누군가를 만나 사랑하고, 갈등을 겪고, 우정을 나누는 과정에서 그들 마음의 빗장도 어느새 서서히 풀린다. 이송희일 감독이 <후회하지 않아> 이후 6년 만에 연출한 세편의 퀴어 단편영화, <지난여름, 갑자기>와 <백야> <남쪽으로 간다> 역시 이러한 길과 밤의 법칙을 따르는 작품이다. 세 영화 모두 두 남자가 주인공이며, 길 위에서 그들이 겪는 여정과 사랑을 조명한다. 다만 각자의 어둠과 마주하는 방식이 다를 뿐이다.

<지난여름, 갑자기>의 두 주인공은 교사와 학생이다. 지난날 어떤 일이 일어났던 것인지 상우(한주완)는 집요하게 선생인 경훈(김영재)을 쫓아다니고 선생은 그런 제자를 외면하려 한다. 그들의 소박한 추격전은 학교를 벗어나 한강 부지에서 계속된다. 이 영화에서 ‘길’은 아리아드네의 미로 같은 스승의 속마음일 거다. 제자는 결국 이 미로의 끝에 당도하게 되지만, 그 끝엔 출구가 아니라 괴물이 기다리고 있는 것 같다. 하지만 새드엔딩을 걱정할 필요는 없다. 이송희일 감독의 차기 장편영화 <야간비행>의 프리퀄이라는 이 작품은 크나큰 비극에 당도하기 전, 빛과 어둠이 마주하는 찰나의 반짝임을 조명하는 영화이기 때문이다. 모든 비밀이 해소되는 순간, 두 사람의 실루엣 뒤로 석양이 내려앉는 엔딩 신이 깊은 인상을 남긴다.

<지난여름, 갑자기>가 소녀적 감수성을 가진 팬들의 마음을 간질일 영화라면, <백야>는 도스토예프스키의 동명 소설처럼 서정적이면서도 한층 격렬한 감정의 결을 느낄 수 있는 작품이다. ‘원 나이트 스탠드’를 하기 위해 만난 퀵서비스 배달원 태준(이이경)과 오랜만에 고국을 찾은 외국 항공사 직원 원규(원태희)가 주인공이다. 처음부터 티격태격하던 그들은 원규가 관련된 과거의 어느 사건에 함께 휘말리며 짐작과는 다른 밤을 보내게 된다. 애초에 예정된 하루살이 만남. 이 제한된 시간은 <백야>의 긴장감을 끌어올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낯선 이를 대하는 마음으로 상대방을 밀어내다가도 내일이 없는 만남이라는 생각에 오히려 자신의 가장 깊은 비밀을 드러내 보이기도 하는 이 커플의 자석 같은 호흡을 지켜보는 즐거움이 있다. 잠들지 않는 도시의 불야성을 서정적으로 담아낸 <백야>의 촬영은 이 영화가 다루고 있는 소재의 무거움을 한층 완화해주면서 보다 긴 호흡으로 인물의 감정을 길어올리려는 감독 이송희일의 변화를 느낄 수 있게 한다.

<남쪽으로 간다>는 표현 수위로 보나, 감정의 크기로 보나 세편 중 가장 ‘센’ 작품이다. 복귀를 앞둔 군인 기태(김재흥)가 제대한 선임 준영(전신환)을 납치한다. 기태는 준영의 차를 대신 운전하며 남쪽으로 가겠다고 말한다. 벗고, 뛰고, 진흙탕을 구르며 전쟁보다 더한 마음의 고통을 달래려는 두 남자의 모습이 영화의 메인 테마곡인 뽕짝 노래처럼 애절하다. 구남과여라이딩스텔라의 2집 앨범 수록곡이기도 한, <남쪽으로 간다>가 울려퍼지는 엔딩 신이 등장하기까지, 절대로 눈을 떼서는 안되는 영화.

사회가 욕망하지 말아야 한다고 말하는 존재를 욕망해도 될 것인가. 그 소망을 이루기 위해 떠날 것인가, 머무를 것인가. 욕망의 대상은 언제나 이성애라는 일방통행이어야만 하는가. 결국 길과 어둠과 사랑의 언어를 빌려 세편의 영화가 말하고자 하는 건 여전히 우리 사회에 너무나도 견고히 자리잡은 경계(境界)에 대한 경계(警戒)다. 이곳도 저곳도 아닌, 사이에 위치한 이들에 대한 이송희일 감독의 애정은 ‘퀴어 연작 시리즈’에서도 변함없이 발휘되는 것 같다.

관련영화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