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스페셜 > 스페셜1
노장이 돌아왔다

<시저는 죽어야 한다>

수상 리스트 황금곰상 <시저는 죽어야 한다>(Cesare deve morire)/ 파올로 타비아니 & 비토리오 타비아니 은곰상(심사위원대상) <그저 바람>(Csak a szel)/ 베네덱 플리고프 감독 은곰상(감독상) <바바라>(Barbara)의 크리스티안 펫졸트 감독 은곰상(남우주연상) <로열 어페어>(En Kongelig Affære)의 미켈 보에 폴스라르 은곰상(여우주연상) <전쟁 마녀>(Rebelle)의 레이첼 음완자 은곰상(각본상) <로열 어페어>의 니콜라이 아르셀, 라스무스 하이스터버그 은곰상(예술공헌상) <하얀 사슴 평원>(Bai lu yuan)의 촬영감독 루츠 라이트마이어 은곰상(특별상) <자매>(L’enfant d’en haut)의 위르실라 메이에 감독 알프레드 바우어상 <타부>(Tabu)의 미구엘 고메스 감독

노장이 돌아왔다. 제62회 베를린국제영화제 금곰상은 80살을 넘긴 노령의 형제 감독 파올로(80)와 비토리오(82) 타비아니의 <시저는 죽어야 한다>가 차지했다. <스크린 인터내셔널 데일리> 별점 4점 만점에 3.3점으로 선두를 달렸던 크리스티안 펫졸트의 <바바라>는 은곰상인 감독상을 수상했다. 영화제 내내 독일영화의 금곰상 수상을 점치며 설렘을 감추지 않았던 독일 언론들의 실망한 기색이 역력하다. 그래서 이번 금곰상 수상에 대해 현지 언론들은 “정치적이고 실험적인 작품을 선호하는 베를린영화제의 기존 이미지에 반하는 보수적인 선택”이라고 평가하는 분위기다. 일간 <타게스슈피겔>은 “심사위원장인 마이크 리는 69살이고, 이번 상은 이탈리아의 네오리얼리즘까지 거슬러 갔다. 이번 베를린영화제는 노장들의 축제인가?”라고 되물었다. 또 주간 <슈피겔>은 ‘성공적 영화제, 잘못된 수상자’라는 자극적인 제목과 함께 “62회 베를린영화제는 영화제가 갖출 수 있는 것은 모두 갖추었다. 젊고 추진력 강한 영화감독들의 강력하고 정치적인 영화들이 경쟁작에 포진해 있었다. 이 정도라면 칸과 베니스와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마이크 리가 주도하는 심사위원회가 보수적으로 수상작을 선정한 것은 유감”이라고 썼다.

황금곰상에 대한 독일 언론의 불평

과연 <슈피겔>의 말처럼 올해 베를린은 뚜껑을 열어보니 예년에 비해 수작이 넘쳤다. 특히 후반부에는 가족 갈등, 집시족에 대한 극우 테러, 아프리카 식민지에 대한 추억, 전쟁과 테러, 혁명과 계몽을 다룬 역사극 등 다양한 주제의 흥미로운 작품들이 선보였다. 영화제쪽은 ‘아랍의 봄’을 모토로 내걸었지만 정작 경쟁작에선 직접적으로 아랍사회와 관련된 작품은 보이지 않았다. 특히 올해 눈에 띄는 걸작들로는 스위스 출신의 위르실라 메이에 감독의 <자매>, 베네덱 플리고프의 <그저 바람>, 포르투갈 미구엘 고메스 감독의 <타부>, 아프리카의 전쟁과 테러를 소녀 군인의 눈을 통해 마술적으로 그려낸 <전쟁 마녀> 등이다. 그런데 한번 생각해보자. 젊고 신선한 감독들의 수작이 넘치는 영화제였지만 타비아니 형제의 황금곰상 수상에 대한 독일 언론들의 불평은 온당한가? 그렇지 않다.

황금곰상의 주인공 타비아니 형제는 이미 1977년 칸영화제에서 <파드레 파드로네>로 황금종려상을 거머쥐며 명성을 날린 바 있다. 하지만 그들은 5년 뒤 칸영화제에서 <산 로렌조의 밤>으로 심사위원대상을 수상한 이후 국제 무대에서 이렇다 할 작품을 내놓지 않고 있었다. 황금곰 수상작 <시저는 죽어야 한다>는 세미 다큐멘터리 형식을 빌린 영화로 실제 교도소 내 연극 프로젝트를 따라다니며 찍었다. 영화의 대부분이 교도소의 높은 담장 안에서 일어난다. 타비아니 형제는 지난 2월18일 열린 시상식에서 “관객은 중범죄로 갇혀 있는 교도소 수감자들도 인간이고 또 인간으로 남는다는 사실에 대해 깊이 생각해봐야 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영화에서 수감자들이 무대에 올리는 <줄리어스 시저>는 우정, 배신, 권력, 자유, 의심, 살인까지 인간관계에서 일어날 수 있는 모든 고뇌와 감정이 집결해 있는 작품이다. <시저는 죽어야 한다>의 대사는 거의 대부분 셰익스피어 연극의 대사로만 이루어져 있다. 그래서 영화 속 개개인의 감정상태와 사정은 구체적으로 알 수 없지만 수감자의 개인적 비극과 극중 비극이 겹치면서 전해지는 감정의 깊이와 정도는 대단히 진득하다. 그러니 이 작품에 대한 독일 언론들의 불평은 좀 부당한 면이 있다고 해야겠다. 고전적인 것을 진부하다고 치부할 수는 없다. 노거장 형제가 연극이란 매개체를 통해 보여준 인간 본연의 모습은 심금을 울린다.

헝가리 집시족, 아프리카 10대 소녀… 정치적인 수상작들

<전쟁 마녀>

이번 수상작 중 베를린영화제가 선호하는 정치적이고 실험적인 영화는 심사위원대상을 차지한 헝가리 출신 베네덱 플리고프 감독의 영화 <그저 바람>과 비전문 배우인 15살 레이첼 음완 자가 여우주연상을 받은 <전쟁 마녀>를 들 수 있다. 두 영화 모두 비전문 배우를 기용한 꾸밈없는 다큐멘터리 분위기로 생생한 현장감을 전해주는 작품들이다. 특히 현재 극우가 득세하고 있는 헝가리의 정세를 생각해보면 영화 <그저 바람>이 다루는 소재의 시의성은 매우 크다. 지난 2008년부터 2009년 사이 실제로 헝가리에서는 극우테러로 인해 집시인 로마족들이 목숨을 잃거나 다쳤다. 영화에서는 주인공의 이웃 가족이 몰살당한다. 카메라는 언제 어디에서 공격당할지 모르는 집시 가족을 아침부터 저녁까지 따라다닌다. 주인공의 표정은 거의 시종일관 무표정하게 굳어 있다. 새벽에 겨우 잠자리에서 일어난 주인공 버디는 늙고 병든 아버지의 아침 식사를 준비하고, 아이들에게 등교를 재촉하며 흔들어 깨우고 일을 나간다. 10대 소녀인 딸이 학교에 가는 길, 학교에서의 생활, 아들이 학교에 빠지고 이곳저곳을 헤매는 장면, 버디가 청소부로 고된 하루를 보내는 장면들이 번갈아가며 이어지며 일상 속 차별과 로마족이 처한 빈곤의 실태를 여과없이 보여준다. 영화 속 집시의 모습은 우리의 고정관념에 박혀 있는 춤추고 노래하고 게으른 집시들과 동떨어져 있다. 그들은 그저 안전하게 살고 싶은 인간일 뿐이다. 일간 <베를리너차이퉁>은 “플리고프 감독은 로마족의 시각으로 삶 속에 내재한 위협을 환기시킨다. 위협당하는 자, 쫓기는 자와 함께 자기 길을 간다. 이는 영화 기술에서 최고의 완성이다”라고 격찬했다.

캐나다 출신 킴 응엔 감독의 <전쟁 마녀>는 눈뜨고 볼 수 없는 참혹한 상황을 겪는 10대 소녀의 극한 삶을 그려냈다. 어딘지 모르는 아프리카의 한 마을에 반정부군이 들이닥치고, 주인공 소녀에게 자신의 부모를 죽이도록 강요하고 납치한다. 영화는 주인공 소녀 카모나처럼 납치된 10대 초반 어린이 군인들의 행보를 좇는다. 죽고 죽이는 전투의 강행군 속에서 카모나는 신비의 나무즙을 마신 뒤 죽은 자를 볼 수 있는 특별한 능력을 갖게 되고, 반군 우두머리의 ‘무당’이 된다. 영화는 이미 폭력과 테러가 일상생활이 되어 버린 삶에도 인간이 살아갈 힘을 얻어가는 과정을 담담히 그린다. 킴 응엔 감독은 “영화를 찍으며 다시 청소년으로 되돌아간 것 같았다. 일부러 정치적인 요소는 피하고 순수하게 10대의 시각으로만 영화를 찍었다. 그들이 폭력의 실태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가를 그렸다”고 말했다.

<타부>

알프레드 바우어상을 수상한 포르투갈 출신 미구엘 고메스 감독의 <타부>도 영화제 후반부에 호평을 받았던 작품이다. 모두 3부로 이루어진 이 영화는 모든 이야기가 내레이션으로만 펼쳐지는 흑백의 무성영화로, 최근 개봉한 <아티스트>를 연상케 한다. 1부는 정글과 아프리카 식민지 역사에 관한 이야기로 먼 옛날 식민지를 개척했던 남자의 에피소드를 보여준다. 2부는 리스본의 카지노에서 거액을 날리고 숨지는 노파의 이야기다. 3부부터는 점점 더 흥미로워진다. 2부의 주인공인 노파가 젊은 시절 아프리카 식민지에서 낙원처럼 살았던 이야기가 펼쳐진다. 멜로드라마, 슬랩스틱, 사파리, 60년대 밴드가 눈길을 사로잡는 이 영화에 대해 독일 <프랑크푸르터알게마이네차이퉁>은 “영화라는 도구에 대한 시적이고 영리한 흑백영화”라고 호평했다.

이해할 수 없는 남녀주연상 선정

다른 수상작들에 대해서는 현지 언론도 관객도 조금 못마땅한 눈치다. 덴마크 니콜라스 아르셀 감독의 <로열 어페어>는 각본상과 남우주연상을 차지했지만 뭔가 텔레비전 드라마에 가깝다. 프랑스 혁명이 일어나기 20여년 전 덴마크왕 크리스티안 7세의 이야기를 통해 개혁와 반동의 우화를 보여주는데, 그다지 특별한 점이 없어 보이는 이 영화가 두개의 상을 쓸어간 건 미스터리에 가깝다. 여우주연상과 남우주연상에 대한 불평의 소리도 높다. 개막작 <안녕, 나의 여왕>과 <자매>, 두편의 영화에서 주연을 맡은 레아 세이두와 <제인 맨스필드의 차>에서 열연한 로버트 듀발이 유력했었던 탓이다. 특히 <로열 어페어>의 남우주연상 선정은 현지에서도 이해하기 어렵다는 평이 자자하다. 원래 영화제란 그런 곳 아니겠는가. 모두의 예상을 벗어나는, 어쩌면 영원히 잊히게 될 작품에도 종종 거대한 상이 주어지곤 하는 장소 말이다.

황금곰 파티는 이제 막을 내렸다. 총평을 하자면 전에 없는 성공적인 파티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올해 베를린은 젊고 실험적인 감독들의 발굴에 성공했고, 노장의 귀환을 통해 전통적 영화의 영속성도 확인했다. 또한 전례없이 많은 할리우드 스타들이 대거 출현함으로써 관객몰이에도 크게 성공했다. 예술도 건지고 대중에게 볼거리도 선사한 제62회 베를린국제영화제는 양적으로 성장해도 질적으로 떨어지고 있다는 그간의 평을 무마할 수 있게 됐다. 이런 성공이 내년까지 이어질 수 있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