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ovie > 무비가이드 > 씨네21 리뷰
이유없는 전쟁의 아물지 않은 상처 <작은연못>
이영진 2010-04-14

synopsis 전쟁이 터졌으나 대문 바위골 사람들은 태평이다. 할배들은 정자나무를 그늘 삼아 바둑 삼매경에 빠져 있고, 짱이(신명철)와 자야(김의진)는 서울 구경 생각에 들떠 전국노래 경연대회 연습에 열심이다. 노름꾼과는 한 이불 못 덮는다며 아이 들쳐업고 나선 아내를 만류하느라 민씨(민복기)는 안절부절못한다. 하지만 싱그러운 대문 바위골의 여름은 오래 지속되지 못한다. 퇴각을 거듭하던 미군은 대문 바위골 사람들에게 마을을 비우라고 명하고, 원치 않게 피난길에 나섰던 대문 바위골 사람들은 죽음의 다리를 건너게 된다.

“깊은 산 오솔길 옆~자그마한 연못엔~.” 김민기의 <작은연못>은 활기찬 동요처럼 시작하지만 이내 비가(悲歌)로 바뀐다. 먼 옛날 예쁜 붕어 두 마리가 살던 작은 연못은 어찌하여 “지금은 더러운 물만 고이고 아무것도 살지 않”는가. 1950년 7월, 한국전쟁 당시 ‘노근리 사건’을 영화화한 <작은연못>은 김민기의 동명 노래와 똑 닮았다. “대동아전쟁 때도 미군들이 일본놈들을 싸그리 때려잡았잖어~.” “뭔, 변이 나겄어~ 우리 같은 농사꾼들이야 빨갱이하고 웬수진 일도 없고.” 읍내까지 인민군들이 들어왔다는데도 ‘성인군자’연하는 남편들을 타박하며 서둘러 피난을 가야 한다고 재촉하는 아내들이지만, 전쟁을 실감하지 못하긴 매한가지다. 배가 부른 아낙에게 남쪽으로의 피난은 그저 친정에 가서 몸을 풀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일 뿐이다. 미군의 명령에 의해 억지로 마을을 떠나야 하는 순간까지도 마을 사람들은 순진한 믿음을 버리지 않는다. 피난길에 나선 자신들을 위해 미군이 ‘도라꾸’를 곧 보내줄 것이라고 말하는 마을 사람들의 순진한 믿음은, 얼마 지나지 않아 미군의 무차별 폭격과 사격으로 난자당한다.

<작은연못>은 전쟁 소재 영화들의 흔한 서사와는 궤가 다르다. 마을 사람들 중에 주인공 혹은 화자를 따로 설정하지 않았다. 악인도 두드러지지 않는다. 서사를 이끌 주인공이 없으니 카메라는 굳이 인물들을 나눠 찍을 이유가 없다. (영화적) 서사와 일부러 ‘거리두기’를 했다고 말하는 것이 적절할지도 모른다. 이상우 감독은 연우무대, 차이무 등에서 <칠수와 만수> <늘근도둑이야기> <B언소> 등을 만들었던 연극 연출가다. 그는 데뷔작에서 아픈 역사를 이야기로 윤색하고픈 일체의 유혹을 포기한다. <작은연못>은 특정 인물에의 감정이입을 강요하는 대신 이해할 수 없는 전쟁, 그 자체를 문제삼고 싶어 하는 영화다. 피난길에 죽어가는 대문 바위골 사람들의 아우성보다 “어떤 피난민도 전선을 넘지 못하게 하라. 전선을 넘으려는 자는 모두 사살한다”는 미군의 지령이 더 끔찍하다. 누군가는 이유없이 쏘고, 누군가는 이유없이 죽는다. 이유없는 전쟁의 아물지 않은 상처를 먼 옛날, 작은 연못의 끔찍한 전설로만 여길 수 없다는 태도는 이상우 감독이 택한 윤리적 선택이다.

관련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