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영화읽기 > 영화읽기
[영화읽기] 울프맨이어도… 괜찮아

고통 겪으며 망상에 빠진 이들 보여준 <울프맨>과 <포스 카인드>, 그들에게 해답이 있다면

<울프맨>은 ‘늑대인간’(lycanthrope)에 관한 영화가 아니라, 자신을 늑대인간이라고 생각하는 ‘늑대인간 망상증’(lycanthropy)에 관한 영화다. <포스 카인드> 역시 외계인 납치에 관한 영화가 아니라, 외계인 납치망상에 관한 영화다. 두 영화는 19세기와 21세기 판본을 달리하는 망상증과 실패한 정신치료에 관한 영화로, 문화정신의학적 고찰을 요하는 텍스트이다.

울프맨, 진짜 변신인가 분노발작인가

<울프맨>에는 정신의학 용어인 lycanthropy(자막에는 ‘미친늑대병’으로 나왔다)가 늑대인간과 혼용되어 여러 번 등장한다. 애매한 서사와 환영적인 화면, 정신분석학적 미끼를 통해 늑대인간으로의 변신이 객관적 사실인지, 주관적 망상인지 구분하기 어렵게 만든다. 이를 판단하기 위해선 주변인물들의 반응을 살펴야 한다.

가장 현실적인 느낌의 캐릭터는 실존인물 ‘살인마 잭’의 수사를 맡았었다는 런던 형사 ‘애벌라인’이다. 동생의 부고를 접하고 고향에 온 주인공이 늑대의 습격을 받고 치료받던 중 형사가 찾아온다. 그는 정신병력이 있는 살인마 짓이라며, 주인공에게 그날 행적을 묻는다. 이상하지 않은가? 표면의 서사대로라면 주인공이 오기 전 동생과 사람들이 죽었고, 그가 물리던 날 희생자와 목격자가 많았었는데, 형사는 왜 그를 의심하는가? 그는 늑대인간 전설을 믿지 않고 정신의학을 믿으며, 이전 사건과 그날 사건은 연관이 없다고 생각한다. 그는 정신병력자인 주인공이 살인하고, 위장을 위해 스스로 상처를 냈다고 믿는다. 한편 마을 사람들은 늑대인간의 전설을 믿으며, 25년 전 괴수출몰사건과 탈보트 성의 어머니의 죽음, 동생의 죽음, 그리고 주인공이 물린 것 등이 모두 저주 때문이라 생각한다.

늑대인간 전설이 신봉되는 곳에서 자란 주인공은 엄격한 아버지에 대한 공포와 어머니의 자살을 목격한 충격으로 늑대인간인 아버지가 어머니를 물어 죽였다는 망상으로 정신치료를 받은 뒤 아버지와 격리되어 미국에서 자란다. 다시 고향에서 아버지를 맞닥뜨리고, 어머니를 연상시키는 동생의 여자 그웬을 만나 금기된 성적 욕망을 느낀다. 아버지가 늑대인간이라는 망상은 이제 자신도 늑대인간이라는 망상으로 전환되어, 마을 사람들을 살육한다. 아버지는 피투성이가 된 그를 내주며, “당신들 말이 맞았어. 그는 미치광이야”라고 말한다. 그는 정신병원으로 끌려가는데, 내내 아버지가 어디 있느냐고 울부짖고, 그를 죽이지 않으면 살인이 계속될 거라고 소리친다. 여러 환영이 교차하는 가운데 “It’s not real”이라는 그웬의 목소리가 울려퍼지고, 홀연히 나타난 아버지에게 ‘지난 줄거리’를 듣는다. 그의 말은 지나치게 친절하고 아들의 입맛에 딱 맞는다. 만약 어머니가 정말 물어뜯겨 죽었다면 어떻게 자살로 처리될 수 있었을까? 그에게 당시 망상증 치료를 하던 의사들은 자신이 늑대로 변하지 않음을 직면시켜 치료하려는 ‘직면요법’을 시도한다. 이 장면을 <씨네21> 741호의 ‘경계하라! 다시 보름달이 뜬다’의 손주연은 ‘비이성적인 늑대인간을 과학기술로 치유할 수 있다고 믿는 오만한 인간 군상에 대한 신랄한 비평’으로 보았지만, 그의 변신이 객관적 사실이었는지는 불분명하다. 살육은 광기에 찬 분노발작으로 보이며, 신문삽화 역시 진짜 늑대인간인지 짐승처럼 포효하며 발작하는 미치광이 모습을 늑대인간에 빗대어 그린 건지 확실치 않다. 마침내 그는 억압적인 아버지를 죽임으로써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가장 폭력적으로 해소한다.

그의 망상은 어떻게 해소되었어야 하는 걸까? 최악의 분노발작을 부른 ‘직면요법’ 대신, 망상을 인정하는 반대로 갔어야 한다. 그웬은 “늑대인간이 있다면 저주를 푸는 마술도 있을 것”이라 말한다. 자신의 억압된 고통을 설명하고 해소하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차용한 늑대인간이라는 상징을 폐절시키는 게 아니라, 이를 고리삼아 실마리를 찾아야 한다. 가령 빙의를 호소하는 경우, 퇴마의식으로 빙의를 해소하거나 실패할 경우 아예 내림굿으로 빙의를 재구조화하는 것을 통해 환청 등 급성기적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물론 내림굿을 통해 망상이 만성화된다고 볼 수도 있지만, 그럴 때조차 사회와 조화를 이루며 살 수 있다.

정신치료에 실패한 환자의 이야기 <포스 카인드>

<포스 카인드> 역시 객관적 사실과 주관적 망상을 분간하기 어렵게 만든 텍스트다. 영화는 <로스웰의 비밀> 등 UFO물에서 아쉽게 지적되던 진짜 느낌을 주기 위하여 6중의 장치를 활용한다. 첫째, 시작과 함께 “밀라 요보비치입니다”라는 소개와 함께 실제 영상과 녹음이 포함되어 있다고 말한다. 둘째, 실제 감독과 함께 기이한 포스의 ‘진짜 박사’의 인터뷰 장면이 나온다. 셋째, 박사의 진술을 토대로 재연장면이 시작되며, 이를 통해 주관적 진술이 객관적 사실인 양 보이게 한다. 넷째, 재연장면을 실제 촬영했다는 비디오클립과 병치시켜 둘 다 사실처럼 보이게 한다. 다섯째, 최면상태에서 본 기억도 재연함으로써 최면 중 환영까지 객관적 사실인 양 느끼게 한다. 여섯째, 여러 사람의 UFO 목격담으로 마무리한다.

영화는 이같은 형식을 통해 외계인 납치를 객관적 사실로 믿게 하려는 의도를 보여주면서도 서사를 통해 모든 게 주관적 망상임을 역설하는 다층성을 보인다. 인터뷰 장면에서 그녀의 첫마디는 ‘남편의 피살’에 관한 것이었고, 재연화면도 심리전문가에게 ‘사건의 해결을 위해’ 상담받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그러나 재연화면의 마지막은 남편의 자살을 증명하는 사진과 그녀의 ‘자살할 사람이 아니다, 전문가인 내가 몰랐을 리 없다’는 강한 부정, 그리고 형사의 ‘정신병을 스스로 통제할 순 없으니…’라는 단언으로 끝난다. 뒤이은 인터뷰 장면에선 남편의 자살을 인정하면서, ‘희망을 이어나가기 위해… 옳은 것이라고… 도움이 된다고 믿어야 해요’라는 횡설수설로 맺는다. 그녀는 정신분석 원리에 능통한 자이면서, 정신치료에 실패한 환자다.

남편의 자살은 그녀에게 엄청난 충격과 죄의식을 안겼다. 그녀와 남편은 외계인 납치에 심증을 갖고 연구 중이었다. 알래스카는 기후로 인해 불면증을 가진 사람이 많은데, 이들 중 올빼미를 보았다는 여럿 중 한명에게 최면을 걸자 억압되어 있던 ‘실재’를 본 그는 이를 해소하지 못하고 가족을 죽이고 자살한다. 그녀는 책임을 부인하지만, 죄의식을 느낀다. 또 한명에게 최면을 걸자, 외계인 납치담과 유사한 구술을 펼친다. 한편 녹음기에 담긴 괴음의 정체를 찾아 기억을 재구성하던 그녀는 환자와의 역전이를 통해 자신의 피랍서사를 완성시킨다. 홍적반과 손톱은 발작의 증거로 볼 수도 있고, 수메르어는 빙의, 다중인격, 방언 등에서도 나타날 수 있지만, 그녀의 믿음은 21세기 강력한 전설 ‘UFO신드롬’으로 구조화된다. 그러나 이는 그녀의 심리 전문가에게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그는 외계인이라는 상징을 활용해 죄의식과 공포를 해소해주기는커녕 ‘분석하지 않고 들어주기’라는 기본조차 해주지 않아, 그녀는 이를 해준 언어학자에게 감읍한다. 애초 외계인의 존재를 믿었고, 최면에 동석하였으며, 형사의 증거사진은 보지 못한 언어학자는 그녀의 믿음에 동조한다. 극중 가장 흥미로운 반응을 보인 인물은 아들이다. 그는 엄마에게 “이제 (아빠의 자살을) 믿어?”라며, 다른 이들은 도우면서 자신은 돕지 못한다고 한심해한다. 동생의 실종 당시 함께 있던 그는 엄마에게 “이제 그만 해”라고 소리치며, 엄마를 뿌리치고 나와 연을 끊는다. 아들은 <디 아더스>에서 미쳐서 자신들을 죽인 엄마를 대하는 딸의 태도를 연상시킨다.

그녀의 ‘…도움이 된다고 믿어야 한다’는 말은 심리 전문가로 부여잡은 어렴풋한 병식이다. 그러나 이는 당위로 말해지는 것이 아니라, 상징적 치유를 통해 새로운 신념으로 고양되어야 한다. 즉 4종 피랍체험이 3종 접촉체험으로 변환되어, 자신을 외계인의 메시지를 전하는 선지자이고, 딸은 다른 세계에서 살고 있다고 믿는 ‘망상의 안정화 혹은 만성화’ 단계에 이르러야 그녀의 당위가 완수될 것이다.

상징적 치유에 성공하는 법

<울프맨>과 <포스 카인드>는 동일한 이야기의 다른 판본이다. 형언할 수 없는 고통을 안은 이들은 자신이 속한 문화권과 신념체계로부터 상징을 빌려와 환상을 구성한다. 이에 대한 치유는 환상을 부정하는 방식이 아니라, 인정하고 활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상징적 치유의 성공사례를 <싸이보그지만 괜찮아>에서 보았다. ‘울프맨’이지만 괜찮아, ‘포스 카인드’지만 괜찮아. 이게 답이다.

관련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