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피플 > 커버스타
<국가대표> 다섯 남자, 그들 각자의 이야기
정재혁 사진 최성열 2009-08-03

No 1. 밥, 차헌태 역의 하정우

내 생애 첫 12세 관람가

<잘 알지도 못하면서>의 하정우를 보고 기분이 좋았다. 힘을 놓은 연기가 편안한 리듬을 타고 자연스레 흘렀다. 배우 하정우의 얼굴도 다른 어떤 영화에서보다 편해 보였다. 가쁜 기 싸움이 아닌 행복한 숨 고르기랄까. 그도 그럴 것이 그는 꽤 바쁘게 뛰어왔다. <비스티 보이즈>부터 <추격자> <멋진 하루> 그리고 <국가대표>까지. 그는 지금도 이윤기 감독의 신작 <티파니에서 아침을>을 찍고 있고 그 이후엔 나홍진 감독의 <살인자>를 할 예정이다. “아직까지 열정이 식지 않았어요.” 그는 이 바쁜 와중에 새로운 고민도 했다. <국가대표>는 그가 처음 찍은 12세 관람가 영화다. “좀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는 캐릭터를 만났다고 생각해요. 업계나 평단에서 보는 하정우 말고 관객에게 친숙하게 다가가는 배우 하정우도 있었으면 좋겠다랄까요. 지금까진 거의 다 청소년 관람불가였으니까요.” 일종의 ‘엄마 찾아 삼만리’인 <국가대표>로 하정우는 한발을 더 넓힌 셈이다.

No 7. 최흥철 역의 김동욱

다양한 빛깔의 청춘

“신인인데 탄탄하게 너무 잘해요.” 김용화 감독의 멘트처럼 김동욱은 능수능란하다. <커피프린스 1호점>을 봐도, 그보다 전 작품인 TV영화 <램프의 요정>을 봐도 그에겐 신인배우의 어색함이 좀처럼 보이지 않는다. 기분 좋은 편안함이 느껴지고 왠지 모를 믿음도 간다. 최근 개봉한 <오감도>에서도 마찬가지다. 오기환 감독의 에피소드인 <순간을 믿어요>에서 김동욱은 단조로운 이야기에 리듬을 주는 유일한 캐릭터였다.

<국가대표>에선 물이 올랐다. 그가 맡은 최흥철은 나이트클럽의 웨이터에서 국가대표가 되기까지 가장 많이 부딪히는 인물이지만 동시에 가장 다양한 빛깔로 빛난다. “학교에서는 다 같이 학생 신분이니까 배우느라 시행착오도 많았어요. 하지만 나와서는 공부가 아니라 실력을 보여줘야 하는 거니까.” 겸손과 철저한 자기 검증의 덕일까. 연기를 “할수록 어렵다”고 말한 뒤 그는 “벌써 재밌다고 하기엔 건방진 거 같다”며 스스로에 대해 신중했다. 그는 현재 KBS 드라마 <파트너>에도 출연 중이다.

No 12. 강칠구 역의 김지석

강백호를 완전히 털어버리고

김지석은 TV스타다. 출연 영화가 없는 건 아니지만 그는 아직까지 KBS 연속극 <미우나 고우나>의 강백호로 기억된다. 멀쑥한 외모에 적당히 귀염성을 가진 전형적인 도시남. 하지만 그는 <국가대표>에서 속된 말로 망가졌다. 불우한 가정의 장남이 되기 위해 10kg 정도를 감량했고 덥수룩한 머리 모양과 수염으로 수더분한 시골 남자가 됐다. “0에서 시작했으면 좀 쉬웠을 거예요. 근데 강백호는 +10이었거든요. 그걸 0으로 만들고 다시 칠구의 -10까지 가져가려니 좀 힘들더라고요.”

이 고생을 선택한 건 연기자에 대한 한 단계 높은 이상 때문이다. “한 드라마의 같은 역할을 7, 8개월 하고 있으니 좀 물리더라고요. 공장에서 물건 찍어내듯 하는 것 같기도 하고. 다른 캐릭터를 연기해보고 싶단 마음이 좀 있었어요.” 그는 천생 연기자다. 뮤직비디오에서 연기를 하기 위해 가수 데뷔도 했었고, “소를 때려잡을 정도로 열정”이 풍만했을 때엔 배경이 2020년인 조금은 황당한 설정의 저예산영화에도 출연했다. <미우나 고우나>로 한발, 그리고 <국가대표>로 다시 한발. 김지석의 상승 중인 + 포인트를 더 기대해본다.

No 20. 마재복 역의 최재환

7년 만에 얻은 배우 의자

최재환은 사진을 찍었다. 생애 처음으로 가져본 배우 의자. 자신의 이름이 선명하게 새겨진 파란 의자를 찍어 싸이월드에 올렸다. 그리고 그 아래에 다음의 멘트를 적었다. “연기는 나에게 7년이라는 시간을 이 의자로 멋지게 영광스럽게 보답해주었습니다.” 그는 꽤 오랜 시간 엑스트라였고, 조연배우였다. 역할의 비중이 조금씩 커지긴 했지만 <국가대표>는 그가 주연으로 처음 이름을 올린 작품이다. “의자를 보는 순간 뭉클했어요. 예전엔 남는 의자가 있어도 못 앉았거든요. 그냥 서 있는 게 편하더라고요. 근데 이건 저 앉으라고 해주신 의자니까. 좋던데요. 다리도 안 아프고.”

그래서 최재환은 <국가대표>를 첫 영화처럼 떠올렸다. 의욕도 더듬었다. “캐스팅이 확정됐을 때 축하도 받았지만 시기하는 사람도 있었어요. 너는 연기 때문이 아니라 운동선수처럼 생겨서 뽑힌 거라고.” 아픔이 있었던 만큼 욕심도 냈고 ‘연기로 보여주겠다’는 마음으로 1년여의 현장을 버텼다. 극중 아버지와의 갈등을 극복하고 성장하는 재복이처럼 최재환 역시 싸움 하나를 보기좋게 풀어나간 게 아닐까. 그의 첫 번째 의자가 자신에게의 선물이었다면 그의 두 번째 의자는 우리에게도 선물일 것 같다.

No 38. 강봉구 역의 이재응

“처음의 떨림”으로 다시 서서

3년 만이다. 어디에 갔었나 싶었다. <괴물> 이후 이재응이 보이지 않았다. 순수한 눈망울을 굴리며 스크린을 응시하던 그 소년이 사라진 거다. 아무런 소식도 없었다. 그리고 2009년. <국가대표>로 이재응이 돌아왔다. 정신지체의 중학생 강봉구로 말이다. 만나자마자 물어봤다. 무슨 일이 있었던가요. 그는 아팠다. <괴물>을 끝내고 아토피가 심해졌고 학교조차 쉬이 다니지 못했다.

물론 이게 다는 아니다. 어린 나이에 힘차게 밀어붙였던 영화는 그를 조금 지치게 했다. “연기를 한 게 영화를 너무 좋아해서거든요. 참여할 수 있는 게 연기밖에 없으니까. 그런데 제가 거의 쉬지를 못했어요. 학업도 제대로 못했고요. 그러다보니 흥미를 잃어서.” 그는 사춘기를 겪었다. “격변기”였다고도 한다. 막연하게 좋아했던 것에 물음표를 달아봤고 긴 시간 끌어안고 고민도 해봤다. 그리고 결론도 냈다. 현재 고등학교 3학년인 이재응은 연극영화과에 진학할 계획이다. 영화도 물론 계속할 거다. 3년 만에 다시 해본 연기에 “처음의 떨림”을 느꼈다. “열정도 다시 생기는 것 같다”고 한다. 여전히 자신은 없다지만 현장에 대한 애정은 되찾았다. 이제 그를 다시 잃을 일은 없을 것 같다.

관련영화